마경초집언해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16일 (목) 04:38 판 (시각자료)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마경초집언해
한글팀 마경초집언해 01 마경초집언해 표지.jpg
한자명칭 馬經抄集諺解
영문명칭 A Korean annotation of veterinary medicine book for horses
작자 이서
작성시기 1634년(인조12)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C7-74
유형 고문헌
크기(세로×가로) 34.9×21.2㎝
판본 목판본
수량 2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인조 연간에 사복시제조 이서, 1580~1637가 『마경대전』의 주요 내용을 발췌하여 언해한 수의학서

텍스트

인조 연간에 사복시제조司僕寺提調 이서李曙, 1580~1637가 『마경대전馬經大典』의 주요 내용을 발췌하여 언해한 수의학서이다. 권수제는 ‘마경초집언해’이고 판심제는 ‘마경언해馬經諺解’이다. 권수에 목록이 실려있고, 서발문은 따로 수록되지 않았다. 최명길崔鳴吉, 1586~1647의 『지천집遲川集』에 수록된 「마경발馬經跋」에 의하면, 이서는 1634년인조12 중국에서『마경馬經』 4권을 얻어 목활자로 간행한 바 있다.『마경초집언해』에는 수록되지 않았지만 장유張維, 1587~1638의 『계곡집谿谷集』 권7에 「마경언해서馬經諺解序」가 실려 있다. 장유는 다음과 같이 『마경』과 『마경초집언해』의 간행 경위를 밝혔다. "국가에서 말을 기르는 정사는 모두 사복시 관할이다. 그런데 완풍부원군 이서가 실로 그 일을 주관하면서, 마병馬病의 치료가 어려운 점과 마의馬醫들이 치료 방법에 어두운 점을 늘 염려해 오던 나머지 일단 『마경馬經』을 4권으로 간행한 후, 또다시 주요 내용만을 간추려 언문으로 번역하고 이를 간행하여 널리 유포시켰다.” 이 책은 주로 말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실려 있는데 한문 원문을 앞에 놓고 한자에 음을 단 뒤, 언해하였다. 주요 내용은 외형으로 좋은 말을 구분하는 방법, 말의 수명과 치아, 좋은 말을기르는 방법, 마구간 관리와 먹이 주는 방법,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방법, 증상에 따른 치료법 등 말을 사육하는 데 필요한 제반 사항을 망라하고 있다. 실제 말을 관리하는 자들은 마의馬醫를 비롯한 노비 등의 하층민이다. 다양한 도판을 삽입하고 언해를 시도한 것은 이들이 말을 사육하는 데 필요한지식을 쉽게 습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였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마경초집언해 인물 인조
마경초집언해 인물 이서
마경초집언해 개념 마경대전
마경초집언해 개념 수의학서
마경초집언해 인물 최명길
마경초집언해 개념 지천집
마경초집언해 개념 마경발
마경초집언해 개념 마경
마경초집언해 인물 장유
마경초집언해 개념 마경
마경초집언해 개념 사복시
마경초집언해 장소 완풍기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마경초집언해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마경초집언해 간행년 1634년(인조12)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06-10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