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 이하응

Encyves Wiki
김현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28일 (목) 20:1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하응(李昰應)
초상화 이하응-보물1499-2.jpg
대표명칭 이하응
한자표기 李昰應
생몰년 1820년-1898년
이칭 흥선대원군
시호 흥선헌의대원왕
석파(石坡)
시백(時伯)
출생지 조선 한성부 북부 안국방 소안동계 소안동 안동궁
사망지 대한제국 한성부 서서 용산방 공덕리계 염동 아소당
시대 조선시대
국적 조선
배우자 여흥부대부인 민씨
남연군
군부인 여흥민씨
자녀 흥친왕 이재면, 고종 이재황, 완은군 이재선
후임자 흥친왕



정의

조선후기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 대한제국 추존왕.

내용

생애 및 업적

1843년(헌종 9) 흥선군(興宣君)에 봉해지고, 도총관(都摠管) 등 한직을 지내면서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밑에서 불우한 생활을 하였다.[1]

1863년(철종 14) 철종이 승하하고 조대비에 의해 고종이 즉위하자 대원군에 봉해지고 어린 고종의 섭정이 되었다. 대권을 잡자 안동김씨의 주류를 숙청하고 당파를 초월하여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부패관리를 적발하여 파직시켰다. 47개 서원을 제외한 전국의 모든 서원을 철폐하고, 국가재정의 낭비와 당쟁의 요인을 없앴으며, 『육전조례(六典條例)』, 『대전회통(大典會通)』 등을 간행하여 법률제도를 확립함으로써 중앙집권적인 정치 기강을 수립하였다.[2]

비변사를 폐지하고 의정부와 삼군부를 두어 행정권과 군사권을 분리시켰으며, 관복과 서민들의 의복제도를 개량하고 사치와 낭비를 억제하는 한편, 세제(稅制)를 개혁하여 귀족과 상민의 차별 없이 세금을 징수하였으며, 조세의 운반과정에서 조작되는 지방관들의 부정을 뿌리뽑기 위하여 사창(社倉)을 세움으로써 백성들의 부담을 덜어 민생이 다소 안정되고 국고도 충실해졌다.[3]

반면 실책으로는, 경복궁을 중건 하면서 원납전(願納錢)을 발행하여 민생을 어렵게 만들었으며, 천주교를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외국인 선교사를 죽임으로써 1866년(고종 3) 병인양요를 일으킨 데 이어, 국제정세에 어두운 나머지 쇄국정책을 고집하여 71년 신미양요 등을 일으킴으로써 국제 관계를 악화시키고 외래문명의 흡수가 늦어지게 했다. 이러한 실정은 국민의 원성을 사서 마침내 최익현(崔益鉉) 등 유림의 탄핵으로 집권 10년의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4]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다시 정권을 잡고 난의 뒷수습에 힘썼으나, 민비의 책동으로 청나라 군대가 출동하고, 그는 마건충(馬建忠)에 의해 천진으로 납치되어 보정부(保定府)에 4년간 유폐되었다. 1885년 귀국하여 운현궁(雲峴宮)에 칩거하다가 1887년 청의 원세개(袁世凱)와 결탁, 고종을 폐위시키고 장남 재황(載晃)을 옹립하려다가 실패했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으로 인해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에 의해 옹립되어 친청파인 사대당(事大黨)을 몰아내고 갑오개혁이 시작되었으나, 집정이 어렵게 되자 청나라와 일을 꾸미다가 쫓겨났다.[5]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함에 따라 정국은 일본세력이 강성해졌으나, 3국간섭으로 친로파가 등장하여 민씨 일파가 득세하자 1895년 일본의 책략에 의해 다시 정권을 잡았다. 이때 명성황후가 일본인에게 살해되어 일본공사 미우라(三浦梧樓)가 본국으로 소환되자 정권을 내놓고 은퇴했다.[6]

문예활동

이하응은 추사 김정희(金正喜)에게서 글씨와 서화를 배워 특히 난초 그림에 자질을 보였다.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으로 청나라에 납치되었다가 귀국한 후 운현궁(雲峴宮)에서 난초 그림을 특히 많이 그렸다. 초기의 난초 그림은 힘차고 날카로운 반면에 후기의 난초는 잎이 가늘고 부드러워졌다. 이것은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시련을 반영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인왕산 자락에 있는 별장 석파정(石坡亭)은 안동 김씨 세도가인 김흥근(金興根)에게서 빼앗은 것으로, 흥선대원군이 풍류를 즐긴 곳이다. [7]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흥선대원군 이하응 조선 고종 A의 아들은 B이다
흥선대원군 이하응 육전조례 A는 B를 간행하였다
흥선대원군 이하응 대전회통 A는 B를 간행하였다
흥선대원군 이하응 임오군란 A는 B와 관련이 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 사창 A는 B를 창건하였다
흥선대원군 이하응 원납전 A는 B와 관련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 명성황후 A는 B와 관련있다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이하응 A는 B를 그렸다
이하응 초상(흑건청포본) 이하응 A는 B를 그렸다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이하응 A는 B를 그렸다
이하응 초상(복건심의본) 이하응 A는 B를 그렸다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이하응 A는 B를 그렸다

시각자료

주석

  1. "흥선대원군", 『두산백과』online.
  2. "흥선대원군", 『두산백과』online.
  3. "흥선대원군", 『두산백과』online.
  4.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근현대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참조: "흥선대원군", 한국근현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근현대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참조: "흥선대원군", 한국근현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근현대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참조: "흥선대원군", 한국근현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세도정치가 아들을 왕으로 만든 흥선대원군 이하응", 한국의 위대한 인물, 『국립중앙도서관』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