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현화사
개성 현화사 (開城 玄化寺) |
|
대표명칭 | 개성 현화사 |
---|---|
한자 | 開城 玄化寺 |
주소 | 개성시 |
건립시기 | 1020년 |
정의
개성시에 있었던 절.
내용
1020년(현종 11) 준공한 현화사(玄化寺)는 현종이 온 정성을 기울여 세운 부모를 위한 원찰(願刹)이다. 현화사 진전(眞殿) 안에는 현종의 부모인 안종과 헌정왕후(獻貞王后) 그리고 누이 성목장공주(成穆長公主)와 현종의 비 원정왕후(元貞王后)의 진영(眞影)을 봉안되었고, 현종이 죽은 뒤에는 그의 진영도 함께 봉안했다.[1]
거란과의 전쟁이 한창이던 1017년(현종 8)에는 최사위(崔士威) 등을 시켜 부모의 새 원찰(願刹)인 현화사 개창 공사를 시작했다.[2]
비로소 현화사(玄化寺)를 창건하여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한 바탕으로 삼았다. | ||
출처: 『고려사절요』 권3,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 현종(顯宗) 9년, 6월.[3] |
현화사(玄化寺) 창건 과정은 전적으로 현종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현종은 절의 외관을 갖추는 한편으로 송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대장경(大藏經)을 구해 오게 하여 이 사찰에 봉안했다. 그러고는 『대반야경(大般若經)』, 『화엄경(華嚴經)』 등의 경전을 특별히 간행하여 현화사에 봉안하게 하고 따로 반야경보(般若經寶)를 설치하여 대장경 간행을 위한 기반을 닦았다.[4]
1020년에는 진신사리(眞身舍利)[5]를 수습하여 현화사에 칠층석탑을 세우고 탑 1층에 사리를 봉안했다.[6]
즉위 초부터 거란의 침입에 시달린 현종에게는 무엇보다 국가의 안위와 융성이 중요한 일이었으므로 매년 4월 8일부터 사흘 밤낮 동안 현화사에서 미륵보살회(彌勒菩薩會)를 개설하여 국가의 번성과 평화를 기원했고, 일찍 세상을 떠난 부모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매년 7월 15일부터 사흘 동안 미타불회(彌陀佛會)를 개설하였다.[7]
현화사는 고려 왕실의 대표 원찰이었지만, 절은 폐사되었다. 이후 절터에 남아 있던 현화사 당간지주(玄化寺 幢竿支柱), 현화사비(玄化寺碑), 칠층석탑(七層石塔), 현화사 석등(玄化寺 石燈)은 근대에 다른 곳으로 옮겨졌는데 현화사 당간지주, 현화사비, 칠층석탑은 개성역사박물관으로 옮겼고, 현화사 석등은 1915년 일제가 경복궁 뜰로 옮긴 이후 지금도 경복궁 뜰 한쪽에 있다.[8]
현화사와 관련한 문화재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개성 현화사 | 고려 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개성 현화사비 | 개성 현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개성 현화사 칠층석탑 | 개성 현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개성 현화사 당간지주 | 개성 현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개성 현화사 석등 | 개성 현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주석
- ↑ "현화사비", 금석문연구,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현화사비", 금석문연구,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현화사를 창건하다", 『고려사절요』 권3,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 현종(顯宗) 9년, 6월,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현화사비", 금석문연구,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석가모니 부처님의 사리. 한국콘텐츠진흥원, "진신사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현화사비", 금석문연구,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현화사비", 금석문연구,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현화사비", 금석문연구,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현화사비", 금석문연구,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현화사를 창건하다", 『고려사절요』 권3,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 현종(顯宗) 9년, 6월,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