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사

Encyves Wiki
김선미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1일 (금) 20:25 판 (지식 관계망)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광사(李匡師)
대표명칭 이광사
한자표기 李匡師
생몰년 1705-1777
본관 전주(全州).
원교(圓嶠), 수북(壽北)
도보(道甫)
시대 조선
국적 조선
이진검(李眞儉)


정의

이광사(李匡師, 1705∼1777)넌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서화가이다.

내용

생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도보(道甫), 호는 원교(圓嶠) 또는 수북(壽北). 예조판서를 지낸 진검(眞儉)의 아들이다. 소론이 영조의 등극과 더불어 실각함에 따라 벼슬길에 나가지 못하였으며, 50세 되던 해인 1755년(영조 31) 소론 일파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부령(富寧)에 유배되었다가 신지도(薪智島)로 이배(移配)되어 그 곳에서 일생을 마쳤다.[1]

학문과 작품활동

  • 학문

강화학파의 거두인 정제두(鄭齊斗)에게 양명학(陽明學)을 배웠고, 윤순(尹淳)의 문하에서 필법을 익혔다. 시·서·화에 모두 능하였으며, 특히 글씨에서 그의 독특한 서체인 원교체(圓嶠體)를 이룩하고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2]

  • 화풍

그림은 산수와 인물·초충(草蟲)을 잘 그렸다. 인물에서는 남송원체화풍(南宋院體畫風)의 고식(古式)을 따랐으나, 산수는 새롭게 유입된 오파(吳派)의 남종화법(南宗畫法)을 토대로 소박하면서 꾸밈없는 문인취향의 화풍을 보였다.[3]

  • 대표작 및 대푲서

대표작으로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행서4언시(行書四言詩)」, 간송미술관 소장품인 「고승간화도(高僧看畫圖)」,국립중앙박물관의 「산수도」 등이 있으며, 서예의 이론을 체계화시킨 『원교서결(圓嶠書訣)』을 비롯하여 『원교집선(圓嶠集選)』 등의 저서를 남겼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제두 강화학파 A는 B에 소속된다
이광사 정제두 A는 B의 제자이다
이광사 윤순 A는 B의 제자이다
이광사 고승간화도 A는 B를 제작하였다
고승간화도 간송미술관 A는 B에 보관되었다
이광사 산수도 A는 B를 제작하였다
이광사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보관되었다
이광사 행서4언시 A는 B를 저술하였다
행서4언시 서울대학교 규장각 A는 B에 보관되었다
이광사 원교시결 A는 B를 저술하였다
이광사 원교집선 A는 B를 저술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55년 이광사는 소론 일파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부령(富寧)에 유배되었다

주석

  1. 홍선표, "이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홍선표, "이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홍선표, "이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홍선표, "이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최경준,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의 서예론 일고」, 『東方漢文學』Vol.58, 동방한문학회, 2014.
    • 문저자, 「백하(白下) 윤정(尹渟)과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의 심미이상(審美理想)과 서예술(書藝術)」, 『東洋學』Vol.4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8.
  • 단행본
    • 이진선, 『강화학파의 서예가 이광사 : 유배지에서 원교체를 완성하다』, 한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