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27일 (일) 16:1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개념정보상세

정의

용의 모양을 새긴 비석 머릿돌.

내용

'이(螭)'자는 본래 뿔이 없는 용, 혹은 교룡(蛟龍)을 가리키는 글자로서, 이수(螭首)는 뿔이 달리지 않은 가상적인 동물인 용 두 마리가 서로 어울려 있는 것이다.[1]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2]

우리나라에서는 경주 태종무열왕릉비(慶州 太宗武烈王陵碑, 국보 제25호)가 이수를 갖춘 석비양식의 첫 시도이다. 이후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이수는 석비 건립의 하나의 양식으로 정립되어 대부분의 석비 정상은 이수로 장식되어 있다. 용은 상상의 동물이지만 항상 하늘을 향하면서 신성, 웅장함을 나타내고 있어 이수는 비의 품격을 더욱 높인다는 의미가 있다.[3]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탑비 귀부 A는 B를 포함한다
탑비 이수 A는 B를 포함한다
탑비 제액 A는 B를 포함한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정영호, "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정영호, "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정영호, "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