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
허균(許筠) | |
대표명칭 | 허균 |
---|---|
한자표기 | 許筠 |
생몰년 | 1569년(선조 2)-1618년(광해군 10) |
본관 | 양천(陽川) |
호 | 교산(蛟山), 학산(鶴山), 성소(惺所), 백월거사(白月居士) |
자 | 단보(端甫) |
대표저서 | 『』 |
부 | 허엽(許曄) |
모 | 강릉김씨(江陵金氏) 김광철(金光轍)의 딸 |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허균(許筠)의 아버지는 허엽(許曄)이고, 어머니는 강릉김씨(江陵金氏)로서 예조판서 김광철(金光轍)의 딸이다. 임진왜란 직전 일본통신사의 서장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허성(許筬)이 이복형이다. 문장으로 이름 높았던 허봉(許篈)과 허난설헌(許蘭雪軒)과 형제이다.[1]
21세인 1589년(선조 22)에 생원시에 입격하고, 1594년(선조 27)에 정시(庭試)에 합격하여 승문원 사관(史官)으로 벼슬길에 올랐다. 1597년에는 문과 중시(重試)에 장원하였고, 이듬해 황해도 도사(都事)가 되었다가 서울의 기생을 가까이 한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그 후 춘추관 기주관(記注官)과 형조좌랑을 거쳐 1602년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냈으며, 이 해에 원접사(遠接使) 이정구(李廷龜)의 종사관이 되었다. 1604년에는 수안군수로 부임하였다가 불교를 믿는다는 탄핵으로 파직되었고, 1606년(선조 39)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을 영접하는 종사관이 되어 문장과 학식으로 이름을 떨쳤다.[2] 이때 누이 허난설헌의 시를 주지번에게 보여 이를 중국에서 출판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 공로로 삼척부사가 됐다.[3] 1614년(광해군 5)에는 천추사(千秋使)로, 그 이듬해에는 동지겸진주부사(冬至兼陳奏副使)로 중국에 다녀왔다.[4] 두 차례의 사행에서 많은 명나라 학자들과 사귀었으며 귀국할 때에 『태평광기(太平廣記)』를 비롯해 많은 책을 가지고 왔다. 그 가운데에는 천주교 기도문과 지도가 섞여 있었다고 한다.[5] 1617년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 폐모론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등 대북파의 일원으로 광해군의 신임을 얻었으며 같은 해 좌참찬(左參贊)으로 승진하였다. 3년 뒤 조카 사위인 의창군(義昌君)을 왕으로 추대한다는 역모 혐의를 받았다. 하인준(河仁俊)·김개(金闓)·김우성(金宇成) 등과 반란을 계획하다가 탄로되어 1618년 가산이 적몰(籍沒)되고 참형되었다.[6]
비문의 찬자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각자료
주석
- ↑ 김동욱, "허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호, "허균",
『디지털강릉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동욱, "허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호, "허균",
『디지털강릉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동욱, "허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허균",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정구복, "김부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