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사단
흥사단(興士團) | |
대표명칭 | 흥사단 |
---|---|
한자표기 | 興士團 |
영문명칭 | Young Korean Academy |
유형 | 시민사회단체 |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22 |
창립자 | 안창호 |
창립시대 | 현대 |
창립일 | 1913년 5월 13일 |
웹사이트 | www.yka.or.kr |
목차
정의
1913년 5월 13일 안창호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의해 창립한 민족운동단체.
설명
창립위원
창립 당시 조선 8도의 대표들이 창립위원으로 이름을 올렸는데, 경기도의 홍언(洪焉), 충청도 조병옥(趙炳玉), 경상도 송종익(宋鍾翊), 전라도 정원도(鄭源道), 평안도 강영소(姜永韶), 함경도 김종림(金宗林), 황해도 민찬호(閔燦浩), 강원도 염만석(廉萬石) 등이 그들이다. 흥사단은 미국 내에서 국권 회복에 기여할 인물을 양성하는데 주력하면서, 상해 임시 정부의 운영 자금을 조달하는 등 독립 운동을 적극 지원하였다.[1]
일제강점기의 활동
초창기에는 이민교포 및 유학생을 중심으로 학업과 인격수양, 생활개선, 경제력 증진에 주력하다가 1919년 3·1운동으로 중국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상해에 흥사단 원동위원부를 조직하였다.
또한 서울에 수양동맹회(1922), 평양에 동우구락부(1923)를 결성하여 국내에서 일제치하의 합법적인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국내의 두 단체는 수양동우회(1925)로 통합되었고, 그 뒤 동우회로 개칭하였다가 이른바 동우회사건(1937)으로 안창호를 비롯한 200여 명의 회원이 검거, 투옥된 가운데 강제 해산 당하였다.[2]
광복후 활동
1963년 9월 이후 전국 대학생·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아카데미 사업과 금요강좌, 전국순회강연, 월간 『기러기』 간행과 기타 출판사업 등을 통하여 국민정신과 민족혼을 불러일으키는 일에 전념해왔다. 현재 흥사단은 본부를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지부를 서울특별시를 포함하는 10개 시·도에 두고 있다. 본부에는 3권분립에 따라 이사회·공의회·심사회가 있으며, 이사회는 상설분과위원회와 사무국을 두고 있다.
전국적으로 50개 대학생 아카데미, 45개 고교생 아카데미 조직이 있으며, 회원수는 단우가 3,000명, 아카데미 회원이 3,500명, 이미 배출된 아카데미 회원수는 10만 명에 달한다.[3]
또한 흥사단은 민족화해 협력을 위한 6·15남측위원회 참여 등 민족통일운동, '흥사단 투명상' 시상 등 투명사회운동, 교육운동,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공명선거운동, 우리 땅 독도 지키기 운동 등 시민사회운동, 청소년운동을 하고 있다.[4]
지도이념
흥사단의 지도 이념은 무실(務實), 역행(力行), 충의(忠義), 용감(勇敢)이며, 건전한 민주시민이 갖추어야 할 덕(德)⋅체(體)⋅지(智) 삼육(三育)을 기본덕목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혁신⋅신성단결⋅단무봉사⋅책임완수⋅대공복무를 5대 생활지표로 삼아 실천하는 생활을 권장하였다.[5]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흥사단 | 안창호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흥사단 | 조병옥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신한민보 | 흥사단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13년 05월 13일 | 안창호는 흥사단을 설립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8563 | 127.003037 | 흥사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영상
- pcs4134 - 흥사단홍보영상(게시일 : 2010년 5월 17일)
주석
- ↑ "gmdtkvks",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류제철, "흥사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흥사단",
『두피디아』online , 두산백과. - ↑ 류제철, "흥사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gmdtkvks",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