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건
Encyves Wiki
망건 (網巾) |
|
대표명칭 | 망건 |
---|---|
한자표기 | 網巾 |
구분 | 수식 |
착용신분 |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성인 남성들이 상투 튼 머리를 정리할 때 머리에 두르던 쓰개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 성인 남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성인 남성들이 상투를 틀 때 머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망건을 착용한다.
형태
말총을 엮어 직사각형으로 만들어 머리를 감쌀 수 있게 하였고, 관자놀이 부분에 당줄을 매기 위한 관자를 달았다. 이마 윗부분에 풍잠을 달아 장식하기도 한다.[2]
기타
이마의 비치는 부분이 그물[網]처럼 비쳐 보인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3]
관례(冠禮)를 한 후에는 귀천 없이 누구나 상투를 틀고 망건을 쓰게 되므로 성인의 상징이기도 하였다.[4]
망건을 착용할 때는 먼저 망건을 이마에 대고 망건당에 꿰어 있는 윗당줄로 뒤에서 졸라맨 다음 나머지를 상투에 얽어매고, 편자(邊子) 양쪽 끝에 단 좌우 당줄은 뒤통수에서 서로 맞바꾸어 편자의 좌우 귀 부근에 달린 관자를 꿰어 다시 망건 뒤로 가져다 엇걸어 맨 다음, 두 끝을 상투 앞으로 가져와 동여맨다. 흘러내린 살쩍은 살쩍밀이를 사용하여 망건 속으로 밀어 넣어 정리한다. 망건의 부속품인 관자는 아랫당줄을 걸어 매는 실용적인 역할과 함께 재료는 품계를 구분 짓기도 한다. 또한 망건 앞 중앙에 풍잠을 부착하기도 했는데 이는 갓을 머리 위에 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망건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망건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망건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망건 | 문무백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망건 | 탕건 | A는 B에 착용한다 |
망건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6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6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6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89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