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
|
대표명칭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Master Honggak at Seollimwon Temple Site, Yangyang |
한자 | 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
주소 |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 산89번지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446호 |
문화재 지정일 | 1966년 09월 21일 |
찬자 | 김원(金薳) |
서자 | 운철(雲徹) |
각자 | 최경(崔瓊), 혜강(慧江) |
승려 | 이관(利觀) |
건립연대 | 886년 |
|
정의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지(禪林院址)에 있는 신라시대의 승려 홍각선사(弘覺禪師, 814-880)의 탑비.
내용
개요
신라시대의 승려 홍각선사(弘覺禪師)를 기리기 위한 탑비로 886년(정강왕 원년)에 세워졌다.[1]
비문은 김원(金薳)이 짓고, 최경(崔瓊)이 [제액|전액(篆額)]]을 썼으며, 승려 운철(雲澈)이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여 승려 혜강(慧江)이 새겼다.[2] 그러나 조선 중기 이래로 왕희지체(王羲之體)를 숭상하는 풍조가 크게 일어나면서 이 탑비는 탁본의 수난을 겪게 되었고, 이를 견디다 못한 인근 백성들이 결국 비석을 파괴하여 묻어버렸던 것으로 보인다.[3] 이후 비신이 깨져 방치되어 있던 것을 1747년 수습하여 양양부(襄陽府) 창고에 보관해왔으며, 1914년 조선총독부에서 이 비의 오른쪽 상단 부분의 비편(碑片)을 경복궁 근정전 회랑에 진열해놓았다가 국립박물관으로 이관하였다. 현재 이 비편은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크기는 가로 52cm, 세로 57cm, 두께 19.7cm 정도이다. 또 다른 비편의 일부가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4]
선림원지(禪林院址)에 남아있던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는 1966년 보물 제446호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에 비신을 새로 복원하였다.[5]
비문
비문은 [제액|전액(篆額)]], 제목, 비문 찬술자, 홍각선사(弘覺禪師)의 성품과 출가 후의 행적, 입적 내용, 선사의 입적 후 비석 건립 및 비문 찬술 경위, 비명(碑名), 건립시기, 관련인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7]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홍각선사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양양 선림원지 | A는 B에 있다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김원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최경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운철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혜강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왕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완수, "최완수의 우리문화 바로보기 27 - 唐 유학생 출신이 빛낸 신라 塔碑미술", 『신동아』 2001년 9월호.
- ↑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참고문헌
-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5-16쪽.
- 권덕영, 「홍각선사탑비문을 통해 본 신라 억정사지의 추정」, 『사학연구』 55, 56, 한국사학회, 1998, 75-88쪽.
- 권덕영, 「신라 홍각선사탑비 원형 탐구」, 『신라문화』 3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8, 299-325쪽.
- 김복순, 「선림원지 홍각선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71-8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2: 신라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최완수, "최완수의 우리문화 바로보기 27 - 唐 유학생 출신이 빛낸 신라 塔碑미술", 『신동아』 2001년 9월호.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