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관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5월 25일 (목) 17:51 판 (기타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34쪽.)

이동: 둘러보기, 검색
면관
(冕冠)
[[file:|360px|thumb|center|『국조오례의』]]
대표명칭 면관
한자표기 冕冠
이칭별칭 면(冕), 면류관(冕旒冠), 평천관(平天冠)
착용신분 황제, 황태자, 왕,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정의

면복(冕服)을 입을 때 착용하는 관모이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조선의 왕세자, 왕세손, 대한제국 황제황태자가 착용하고, 신분에 따라 류(旒)의 개수와 색이 다르다.
대한제국의 황제 : 12류(황, 적, 청, 백, 흑, 홍, 녹)
조선의 , 대한제국 황태자 : 9류(적(주), 백 청, 황, 흑)
조선의 왕세자 : 8류(주, 백, 청)
조선의 왕세손 : 7류(주, 백, 청)

착용상황

국가 의례 및 일생 의례를 행할 때 착용한다.

형태

면관의 몸체인 무(武)와 그 위에 부착하는 직사각형의 면판(冕版)이 있다. 면판의 앞뒤에는 류(旒), 양옆에는 충이(充耳)를 늘어뜨리고 있다. [1]
무(武) : 가늘게 쪼갠 대나무올을 둥그런 통 형태로 만들고 검을 칠(漆)을 한 후, 겉은 검은색[玄], 안은 붉은색[朱;纁] 직물로 감싼다. 뒤의 높이를 앞보다 1촌 남짓 높게 한다.
면판(冕版) : 연(延;綖)이라고 한다. 길이 1척 6촌, 너비 8촌의 오동나무로 제작되었다. 면판의 앞은 하늘을 상징하여 양쪽 모서리의 각을 다듬어 둥그스름하게 하고, 뒤는 땅을 상징하여 모나게[前圓後方] 한다. 윗면은 검은색, 아랫면은 붉은색 직물로 감싸고 있다.
류(旒) : 12류는 각 류에 12개, 9류는 9개, 8류는 8개, 7류는 7개의 옥을 꿰었다.
충이(充耳) : 『예서(禮書)』에 '주광(黈纊)'이라는 누런 솜을 둥글게 말아 끝에 매달았다. 후대로 오면서 옥이 일반화되어 '전(瑱)'이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무(武) : 관모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관통하여 꽂는 비녀와 관끈인 굉(紘)영(纓)이 있다.
굉(紘) : 한 가닥으로, 비녀에 걸어 아래로 느슨하게 늘어뜨린 후 반대편으로 올려 다시 비녀에 묶는다.
영(纓) : 두 가닥으로, 관모의 양 옆 아랫쪽에 난 구멍에 건 후 아래로 늘어뜨려 턱 밑에서 묶는다.

기타[2]

면(冕): '기울어진 쓰개'라는 의미이다.
모(冒): '쓰개'의 뜻 + 면(免)은 '기울어지다(俛)'의 뜻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국조오례의서례 면관 A는 B를 기록한다
대한예전 면관 A는 B를 기록한다
노드 면관 A는 B를 기록한다
면관 면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제 면관 A는 B를 착용한다
면관 A는 B를 착용한다
황태자 면관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자 면관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손 면관 A는 B를 착용한다
면관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한다
노드 면관 A는 B를 소장한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면류관을 쓴 왕",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면류관",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주석

  1. 최연우,『면복』, 문학동네, 2015, 33~38쪽
  2.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34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