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Encyves Wiki
청도 운문사 (淸道 雲門寺) |
|
대표명칭 | 청도 운문사 |
---|---|
한자 | 淸道 雲門寺 |
주소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89 |
교구정보 | 대한불교조계종 |
건립시기 | 557년 |
경내문화재 | 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 청도 운문사 동호,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청도 운문사 비로자나삼신불회도,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
|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虎踞山)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1]
내용
역사
557년(진흥왕 18)에 한 신승(神僧)이 대작갑사(大鵲岬寺)[2] 를 중심으로 동서남북 사방에 네 개의 작은 절(가슬갑사, 대비갑사, 천문갑사, 소보갑사)을 창건하고 이를 오갑사(五岬寺)라 불렀는데 그 중 대작갑사가 지금의 운문사다.[3]
600년에는 원광국사가 절을 제 1차 중창하였고, 동쪽에 있는 가슬갑사에 머물면서 귀산과 추항 등 두 화랑에게 세속오계를 전수하였다. 930년에는 보양국사가 제 2차 중창하고 절 이름을 작갑사(鵲岬寺)라 하였다. 973년에는 고려 태조가 운문선사라는 사액을 내리면서 이 때부터 운문사라고 부르게 되었다.[4] 1105년에는 원응대사가 제 3차 중창하였고 제 2의 선종사찰이 되면서 전성기를 맞는다.[5] 1193년에는 운문사 일대를 중심으로 김사미난 등 농민항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1277년에는 일연이 5년간 주지로 머물면서 삼국유사를 집필을 시작했다.[6]
임진왜란 때는 건물들이 불에 타 소실되었는데, 1718년에 설송대사가 대대적으로 중창하였다. 1954년 이후에는 비구니 중심의 도량으로 변모하면서 비구니 전문 강원이 개설되었다.[7]
특징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A는 B에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557년 | 한 신승이 운문사를 창건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사진
영상
주석
- ↑ 김위석, "운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작갑(鵲岬)이란 이름은 까치가 찾아준 벽돌로 탑을 조성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박순천,「청도 운문사의 나한신앙 고찰」, 『정토학연구』26집, 2016, 175쪽.
- ↑ "청도 운문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진관스님, "운문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청도 운문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진관스님, "운문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흥선, 답사여행의 길잡이8 - 팔공산 자락』, 한국문화유산답사회, 1997. 온라인참조:"운문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