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29일 (토) 17:3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順天 仙巖寺 大覺庵 僧塔)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영문명칭 Stupa at Daegagam Hermitage of Seonamsa Temple, Suncheon
한자 順天 仙巖寺 大覺庵 僧塔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117호
문화재 지정일 1992년 1월 15일
소유자 순천 선암사
관리자 순천 선암사
크기 높이 2.42m
건립시대 고려시대
관련승려 의천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 대각암에 있는 고려 전기의 승탑.[1]

내용

이 부도는 고려시대 초반기에 속한 선조암지 부도와 무우전 부도 등과 같은 계통의 양식과 형태를 갖춘 것으로, 구전에 의하면 대각국사 의천(1055~1101)이 이 선암사에 딸린 암자에서 크게 깨달았다 해서 대각암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현재 선암사에 대각국사 영정과 유품 일괄 그리고 선암사 중창도 등이 전해지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각암 부도 (답사여행의 길잡이 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초판 1998., 14쇄 2008., 돌베개)

대각국사(大覺國師)의 승탑이라고 하며, 대각국사가 합천 해인사에 주석한 1086년(선종 3) 무렵 이곳 대각암에도 주석한 일이 있어 현재 선암사에는 대각국사의 영정과 가사 등 관계 유물이 전한다. -두산


대웅전에서 서북쪽으로 약 600미터 정도 오르면 대각암이 자리잡고 있는데 대각암 부도는 대각암 뒤편에 있다. -문화원형백과

갤러리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순천 선암사 A는 B에 있다

참고문헌

  • 김광호, 『국보 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도 편』, 혜성출판사, 2015.
  • 소재구, 『미술사학지』2,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7.
  • 엄기표,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2003.
  • 엄기표, 『지방사와 지방문화』2권 1호, 역사문화학회, 2009.
  • 정영호, 『부도』, 대원사, 2003.
  • 정영호, 『한국의 미』15 석등·부도·비, 중앙일보사, 1983.

주석

  1. 정영호,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