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
Encyves Wiki
원삼(圓衫)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원삼(圓衫) |
---|---|
이칭별칭 | 단삼(團衫)[1], 대수(大袖)[2], 대의(大衣)[3], 장오자(長襖子)[4] |
착용신분 | 왕실, 궁중, 서민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성 소례복의 하나.
복식구성
기본정보
착용신분
- 왕실의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내외명부부터 일반 백성.
- 조선 후기에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착용상황
형태
- 깃이 서로 마주하는 대금형(對衿形)의 맞깃 혹은 배자깃으로 불리는 깃이 달려있어 앞자락이 겹치지 않음.
-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이 대부분이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
-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음.
-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汗衫)을 연결.
-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대(帶)를 둘러 착용.
시대별 형태
- 15~16세기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5]
- 17세기 초중반의 원삼[9]
김확 배위 동래정씨(1567~1631)묘 출토 원삼[10]
- 17세기 후반~19세기 초반의 원삼.[11]
- 깃 모양이 대금형의 원삼 깃으로 변화.
- 예외가 있지만 두리소매가 등장하며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린 형태로 변해가는 추세.
- 도련선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
- 전단후장(前短後長,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의 강화.
- 겹으로 만든 원삼이 등장.
- 19~20세기 원삼[15]
- 조선 후기로 가면서 원삼은 궁중 여성의 대례복이자 반가 및 서민들의 혼례복으로 형태적인 이분화를 이루며 착용.
- 『가례도감의궤』에 의하면 왕비 원삼은 없고 왕세자빈과 왕세손비의 녹색 원삼이 있으며, 실제로 왕자비나 공주, 외명부와 같은 높은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예복으로 입음.
- 1897년 대한제국 선포 후에는 왕비를 황후로 격상시켜 부르며 황색 원삼을 입도록 하고 황태자비는 홍색 원삼을 그 이하의 신분에서는 녹색 원삼을 입도록 함.
- 민가의 혼례용 원삼은 왕실 복식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직금과 금박으로 장식한 궁중원삼과 달리 민가에서는 금장식이 배제되고 대신 소매에 색동의 수가 많아지며 직선미가 돋보이는 단순한 형태.
- 궁중 원삼은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로 길이가 매우 긴 특징을 보이며, 민가의 원삼은 길이가 짧은 편.
- 궁중 원삼은 소매가 매우 넓고 길며 두 줄의 색동과 한삼이 달리는 반면 민가의 원삼은 색동의 수가 정해진 양식이 없이 많이 부착.
- 원삼의 옆선과 도련의 형태가 점차 직선형으로 변화.
- 겹원삼이 정착, 흑색 원삼만 홑.
- 민가 원삼의 특징으로 길과는 다른 색의 깃과 고름을 달음.
동궁비 홍원삼(앞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8호[16]동궁비 홍원삼(뒷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8호[17]전 황후 황원삼(앞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9호[18]전 황후 황원삼(뒷면)
중요민속문화재 제49호[19]서민이 혼례시 착용한 원삼(조선)[20]
기타
- 유래
- 여성이 착용한 단령(團領)에서 맞깃형태로 변천.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원삼 | A는 B를 보여준다 | |
눌재집 | 원삼 | A는 B를 기록한다 | |
미암집 | 원삼 | A는 B를 기록한다 | |
사례편람 | 원삼 | A는 B를 기록한다 | |
상변통고 | 원삼 | A는 B를 기록한다 |
복식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한삼 | 원삼 | A는 B의 부분이다 | |
대 | 원삼 | A는 B의 부분이다 |
===인물 → 복식===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후 | 원삼 | A는 B를 착용한다 | |
황태자비 | 원삼 | A는 B를 착용한다 | |
왕비 | 원삼 | A는 B를 착용한다 | |
왕세자빈 | 원삼 | A는 B를 착용한다 | |
왕세손빈 | 원삼 | A는 B를 착용한다 | |
내명부 | 원삼 | A는 B를 착용한다 | |
외명부 | 원삼 | A는 B를 착용한다 |
복식 → 기관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삼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기관/소장처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원삼 | A는 B를 소장한다 |
참고문헌
- 『눌재집(訥齋集)』
- 『미암집(眉巖集)』
- 『사례편람(四禮便覽)』
- 『상변통고(常變通攷)』
- 朴東媛, 「圓衫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6.
- 송미경,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출토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2권 8호, 한국복식학회, 2002.
- 李眞英, 「金仁淑 韓國 圓衫의 由來 糾明을 위한 形態的 考察」,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이태옥, 김혜영, 조우현 「안동김씨묘 출토 조선후기 원삼의 특징」,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권 2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5.
-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전정희, 박현정, 「靑色 圓衫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제2권, 1999.
- 周錫保, 『中國古代服飾史』, 中國戲劇出版社, 1991.
주석
- ↑ 조선 초기 명나라로부터 사여된 관복 중 왕비의 상복으로 15세기 중반(1450년)부터 17세기 초반(1617년)에 걸쳐 기록되어 있으며, 1617년을 마지막으로 단삼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연대 차이는 있지만 통수에 스란 장식을 한 15세기 단삼과 17세기 원삼이 조형성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2~34쪽.).
- ↑ 이재의 『사례편람(四禮便覽)』.
- ↑ 이재의 『사례편람』.
원삼은 즉 대의(大衣)이다. 색이 있는 견(絹)이나 혹은 주(紬)를 써서 만드는데 아래 제례삭참조에 보인다.(卽大衣, 用色絹或紬爲之, 制見下祭禮朔參條.) 출처: 李縡, 『四禮便覽』 卷3, 「喪禮, 襲」. - ↑ 유득공의 『상변통고(常變通攷)』.
『상례비요(喪禮備要)』에서 여자의 상에는 원삼이나 몽두의(蒙頭衣) 혹은 장오자(長襖子), 치마, 채색 신을 사용한다.(『備要』女喪圓衫, 或蒙頭衣, 或長襖子, 裳, 彩鞋.) 출처: 柳長源, 『常變通攷』 卷7, 「喪禮」. - ↑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51~85쪽.
- ↑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74쪽.
- ↑ 안동대학교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81쪽.
- ↑ 안동대학교박물관 소장, 『龍仁 靈德洞 遺蹟-용인흥덕 택지개발사업부지내 문화유적 시‧발굴조사보고서』, 427쪽.
- ↑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5~99쪽.
- ↑ 경기도박물관 소장,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336쪽.
- ↑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9~120쪽.
- ↑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2』, 125쪽.
- ↑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2』, 126쪽.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해평윤씨 출토복식』, 34쪽.
- ↑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21~160쪽.
- ↑ 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80000,11 문화재청)
- ↑ 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80000,11 문화재청)
- ↑ 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90000,11 문화재청)
- ↑ 세종대학교박물관 소장,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90000,11 문화재청)
-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