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진보언해
고문진보언해 | |
한자명칭 | 古文眞寶諺解 |
---|---|
영문명칭 | A Korean translation of ancient Chinese writings |
간행시기 | 영조 연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4-389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0.3×23.5㎝ |
판본 | 필사본 |
수량 | 8책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정의
송나라 황견(黃堅)이 편찬한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을 조선 후기에 한글로 번역한 언해서(諺解書)이다.
내용
이 책은 본래 전집 12권, 후집 10권, 모두 22권으로 되어 있으나 본 장서각본 '고문진보언해'는 전집 권 1~5・7, 후집 권6・7만이 현존한다. 번역한 연대와 번역자는 알 수는 없다. '고문진보'는 옛 글의 참된 보배라는 뜻으로, 중국의 고전작품 중 훌륭한 작품을 가려 뽑아놓은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도 문인들의 시문(詩文)을 수련하기 위한 교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내용은 주나라 전국시대 굴원(굴원)의 초사(초사)로부터, 진나라・한나라, 그리고 육조시대 및 당나라・송나라 등 역대의 유명한 시문을 망라하여 수록하였다. 본 장서각 소장본은 그 한글 표기나 영빈이씨(영빈이씨, 1696-1764)의 장서인(장서인)으로 보아 영조 연간(1694-1762)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문진보'를 모두 언해한 것은 아니고 발췌하여 언해한 것이다.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에는 한자음을 한글로 먼저 쓰고 그 왼쪽에 한문 원문을 싣고 있고, 하단에는 상단의 한문을 언해하였다. [1]
부연설명
현재 고려대학교 육당문고에 전집 권2∼12, 후집 권1∼6의 17권 8책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도서에 후집 권7∼10의 4권과 『문장궤범』이 모두 6책으로 소장되어 있다. 육당문고본과 장서각본의 필체는 동일인의 것이며, 제목도 모두 ‘상설고문진보언해’로 되어 있다. 필사기가 없어 그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언해에 나타난 한글표기로 추정하여 보면 18세기말에서 19세기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2]
이 책의 전집 권3과 후집 권1의 앞에 조선시대 서화가인 윤용구(尹用求)가 68세 때 쓴 ‘고문진보언해낙질보충사실(古文眞寶諺解落秩補充事實)’에 의하여서도 이 책이 19세기초에도 존재하였던 것을 알 수 있어 그러한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언해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이 책은 한문 원문이 그 한자음과 토가 한글로 쓰여진 채 앞에 실려 있고 그 뒤에 한글로 된 언해문이 실려 있다. 언해문에도 한자와 한자음을 달아놓고 있다. 또, 다른 이본인 장서각본은 제목이 ‘고문진보언해’로 되어 있으며, 전집 권1∼5·7, 후집 권6·7만이 현존하는 8권 8책의 낙질본이다. 이 책은 그 한글표기나 장서인(藏書印)으로 보아 영조연간(1694∼1762)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나 그 필사자 및 언해자는 알 수 없다. 앞의 『상설고문진보언해』와는 달리 『고문진보』를 모두 언해한 것이 아니고 발췌하여 언해한 것이다. 상하 2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에는 한자음을 한글로 먼저 쓰고 그 왼쪽에 한문 원문을 싣고 있고, 하단에는 상단의 한문을 한글로 언해하여놓고 있다. 장서각본은 앞의 육당문고본에 비하여 의역체(意譯體)이다.[3]
『고문진보』는 고문의 참된 보배라는 뜻으로, 중국의 고전작품 중 그 진수를 가려 뽑아놓은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 나라에서도 문인들의 시문 수련을 위한 교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 책은 한문학연구와 국어사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주는 문헌이다. 1986년 고려서림(高麗書林)에서 4책으로 묶어 영인하였으나 장서각본은 제외하였다.[4]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견 | 상설고문진보대전 | A은 B를 편찬했다 | |
초사 | 고문진보언해 | A는 B에 포함된다 | |
굴원 | 초사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고문진보언해 | 영빈이씨 장서인 | A는 B를 포함한다 | |
고문진보언해 | 고문진보 | A는 B의 언해본이다 | |
고문진보언해 | 고문진보언해낙질보충사실(古文眞寶諺解落秩補充事實) | A는 B에 언급된다 | |
윤용구(尹用求) | 고문진보언해낙질보충사실(古文眞寶諺解落秩補充事實) | A는 B를 저술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영조연간 | 고문진보언해가 간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고문진보언해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참고문헌
- 단행본
- 정규복, 「상설고문진보대전언해본해제」, 『영인본고문진보언해』 1, 고려서림, 1986
- 논문
- 천혜봉, 「고문진보대전에 대하여」, 『역사학보』 61, 1974
- 조윤제, 「고문진보언해의 편영」, 『현대문학』 102, 1963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52쪽.
- ↑ "고문진보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4월 12일 확인
- ↑ "고문진보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4월 12일 확인
- ↑ "고문진보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4월 12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