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장서각본)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3월 29일 (수) 22:1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천자문
한글팀 천자문 03.jpg
한자명칭 千字文
영문명칭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작자 미상
간행시기 19세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1-205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40×26.3㎝
판본 필사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천자문』은 고전古典에서 내용을 뽑아 각기 다른 한자 1,000자로 사언四言 250구를 지은 것으로, 19세기 궁중에서 전하는 천자문의 하나이다.

내용

19세기 궁중에서 전하는 천자문의 하나이다. 『천자문』은 고전古典에서 내용을 뽑아 각기 다른 한자 1,000자로 사언四言 250구를 지은 것이다. 적赤·청靑·황黃·홍紅·녹綠·백白의 여섯가지 색지 바탕에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의 서체로 필사하였다. 조선시대 천자문은 한자 학습의 도구로 널리 읽혔는데, 그 중에서도 한호의 『해서천자문楷書千字文』이 글자마다 한글로 음音과 훈訓이 붙어 있어 조선 중기 이후 널리 보급되었다. 이 책도 서체로 보면 『해서천자문』의 형식을 갖춘 후대 필사본으로 보인다. 이 책은 세자나 왕자의 돌상床에 붓, 실과 함께 놓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화려한 색상으로 돌을 맞는 아기의 시선을 끌어 손으로 잡게 함으로써 자라면서 학문을 가까이 하고 좋아했으면 하는 왕실의 바람이 담긴 책이다.[1]

부연설명

본문(대자大字)은 기본적으로 『해서천자문』(석봉천자문)을 따랐다. 음훈의 경우 오자도 있지만 국어의 변화를 반영하여 동사 '(*고한글)하-(爲)'가 대부분의 예에서 '허-'로 나타나는 등 『해서천자문』 과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이 책이 대한제국기에 제작되 것으로 추정된다. 새김도 잘못된 경우가 많다. 『해서천자문』에는 ''이 '고기 곤'으로 ''가 '멀 료'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 천자문에는 '큰고기 곤', 과 '동료 료'로 기술되어 있는데, 18세기 중엽의 『주해천자문』과 동일하다. 즉 이 천자문은 대자는 『해서천자문』을 따르고 음훈은 『주해천자문』을 따른데서 착오가 생겼다. [2]

우리나라에 중국의 천자문이 언제 들어왔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백제의 왕인이 『천자문』을 가지고 왔다는 일본 『고사기(古事記)』의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시기 한반도에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 천자문은 크게 한자교육와 서체교육의 두가지 용도로 사용됬다. 한자교육을 우선한 천자문은 1행에 4자를 배열하고 해서체 한자 아래 하나의 음 훈만 제시했다. 서체교육을 우선한 천자문은 1행에 5자에서 7자까지 다양하게 배열하고 한자의 음훈이 달려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 어떤 방식으로 음훈이 표기되었는지는 알수 없으나 (기록이나 초기의 간본이 전해지지 않는다) 구전이나 한자차용표기로 대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천자문은 큰 변화를 얻게 된다. 한자의 음과 훈이 한글로 표기되면서 독학이 가능해진 것이다. [3]


우리나라의 천자문은 크게 2계통으로 나뉜다. 1575년판인 『광주천자문』과 1583년판인 『해서천자문(석봉천자문)』이다. 석봉천자문 계열의 女慕貞烈 구절이 광주천자문에서는 女慕貞潔로 나타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이다. (이 때문에 석봉천자문 계통은 열자본(烈子本)으로 광주천자문 계통은 결자본(潔字本)으로 불린다.) 또 광주천자문에서는 성조가 표기되어 있지만 석봉천자문에는 성조의 표기가 없다. 1583년 선조의 명으로 석봉천자문이 간행되면서 우리나라의 천자문은 대부분 열자본의 형태를 띄게 되었다. 주해천자문은 1572년 홍성원이 지은 것으로 석봉천자문과 같은 계통의 책이다. 필요에 따라 2,3종의 새김과 독음을 달고 구절마다 전체풀이를 한문으로 덧붙인 점에서 기존의 천자문과 구별된다.[4]

시각자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해서천자문 천자문(장서각본) A는 B의 모델이다
주해천자문 천자문(장서각본) A는 B의 모델이다
해서천자문 주해천자문 A는 B의 모델이다
선조 해서천자문 A는 B의 편찬을 명하였다 1583(선조 16)
석봉 한호 해서천자문 A는 B를 저술하였다 1583(선조16)
홍성원 주해천자문 A는 B를 저술하였다 1752(영조 28)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38년 선조해서천자문의 편찬을 명하였다.
1538년 석봉 한호해서천자문을 저술하였다.
1752년 홍성원주해천자문을 저술하였다.
19세기 천자문(장서각본)이 저술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장서각천자문이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 단행본
    1. 『천자문-장서각 소장 왕실 천자문 역해』, 황문환·김건곤·신익철·조융희·박부자·이현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 논문
    1. 심경호, 「천자문의 구조와 조선시대 판본에 관한 일고찰

」, 『한자한문연구』7, 2011

    1. 안병희,「천자문의 계통」,『정신문화연구』1982.4,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
    2. 박병철,「《千字文》編纂의 變貌 樣相에 대한 硏究」,『어문연구』4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 온라인
    1. "석봉천자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주해천자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3. "천자문" , 『장서각』,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60-61쪽.
  2. 안병희,「해제」,『천자문-장서각 소장 왕실 천자문 역해』,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13-15쪽
  3. 박승철,「《千字文》編纂의 變貌 樣相에 대한 硏」,『어문연구』4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4. 안병희,「천자문의 계통」,『정신문화연구』1982.4,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