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록유산 Encyves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4월 14일 (일) 10:13 판 (한글 고문헌 가상 전시관)

이동: 둘러보기, 검색
WWW 프로토콜 전환(http => https)으로 네트워크 그래프, 가상현실 등 일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As WWW protocol is switched (http => https), some screens such as network graphs and virtual reality are not displayed. We will try to fix it as soon as possible. We apologize for the inconvenience. (Center for Digital Humaniti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백과사전 기사

Contents
가상 전시관

VR Pavilions
기사별 관계망

Graphs
전자지도

Maps
전자연표

TimeLine
애니메이션

Graphic Animation
온톨로지 설계

Ontology

백과사전 아카이브
"백과사전 아카이브"는 아날로그 세계에서 독립된 두 영역에 존재했던 백과사전 정보와 아카이브 자료가 상호 의미적 관련성을 추구하여 긴밀하게 엮어진 디지털 데이터 아카이브입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는 사용자가 한국 전통 문화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백과사전적 지식과 그 지식의 증거인 아카이브 자료를 의미론적 맥락에서 연결하고 탐구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편찬하고 있습니다.

Encyves: Encyclopedic Archives
“Encyclopedic Archives” is a digital data archive in which information in encyclopedias and materials in archives that existed in two independent areas of the analog world are closely woven in pursuit of mutual semantic relevance.
Center for Digital Humanities at AKS has been compiling digital archives where users can link and investigate the encyclopedic knowledge of various topic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the archival objects that are evidence of that knowledge in a semantic context.

데이터 기반 인문지식 백과사전 편찬

데이터 기반 인문지식 백과사전

기존의 백과사전과 어떻게 다른가?

편찬의 목적 및 배경

한국의 문화유산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게 하는 연구 자원이자, 한국문화의 교육 수요자들에게 한국학 지식을 흥미롭게 종합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교재이며, 다양한 문화 콘텐츠 개발의 원천 소재를 제공하는 문화산업 자원입니다. 특히 국내외에서 학생들에게 ‘한국문화’를 알리고 가르치고자 할 때, 유형의 실물이 있는 문화유산을 보여주고 그것을 실마리로 삼아 한국학 지식의 스토리를 전달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지식 전파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저작물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오랫동안 연구 역량을 집중해 온 ‘한국의 기록문화 유산’ 중에서 스토리텔링 자원으로서 활용 가치가 높은 분야를 선정하고, 그 범주에 속하는 대표적인 기록물들을 찾아서 다양한 수준의 한국학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한 것입니다.
기록물의 내용뿐 아니라, 역사적 배경, 지리적 배경, 관련 인물, 관련 일화, 다른 문화유산과의 관계 등을 조사하여 정보화하고, 그 지식 정보 상호간의 관계를 시각적인 관계망으로 표현함으로써, 이로부터 흥미로운 ‘한국 문화 이야기’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문화유산 스토리텔링 자원의 저장소’를 백과사전적 아카이브(Encyclopedic Archives)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인문지식 백과사전" 기존의 백과사전과 어떻게 다른가?

2016-2017 편찬 연구 주제: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

한글 고문헌 가상 전시관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는 2016년 6월~12월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개최한 한글 고문헌 전시입니다. 전시 자료는 한글로 쓰인 고문서 및 고서의 필사본, 목판본, 금속활자본, 석인본, 회화 등 총 155 점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전시를 디지털 환경으로 옮겨 와 재구축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지속적으로 전시 내용을 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155 점의 전시 자료를 중심으로 의미적으로 관련이 있는 500여 건의 지식 노드(한글 고문헌 해설 155 건, 고문헌 해독 자료 91 건, 주제별 해설(기획기사) 5 건, 인물·단체 정보/공간 정보/사건 정보/연구저작물·물품 정보/개념어 해설 250 건)를 조사, 편찬하였고,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제작하여 대상 자료의 시대적, 지리적 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습니다. 아울러 모든 노드 사이의 관계를 담은 지식 관계망을 네트워크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독자들이 이 가상 전시 콘텐츠 속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한글 고문헌 가상 전시관

※ 후속 연계 성과물(2024년~ 디지털 큐레이션) : '소통과 낭만의 한글기록유산, 그리고 역사 레고(lego)'

궁중기록화 가상 전시관

궁중기록화는 조선 왕실에서 거행된 혼례, 진하, 책봉, 능행, 대사례 등의 국가행사 및 의례를 기록한 그림으로, 의궤에 실린 반차도와 궁중행사도 등을 말합니다. 의궤의 기록은 행사의 준비·진행 절차, 참여 인물, 참여자들이 입었던 복식과 당시 사용된 물목 등 행사 전모에 대한 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궁중기록화에 그려진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당시의 행사 장면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행사에 참여한 인물들이 착장하였던 다양한 복식을 재현해 볼 수 있습니다. 36여 편의 대표적인 궁중기록화를 대상으로 삼아 500여 건의 지식 노드(의궤 31건, 궁중회화 5건, 복장/복식 177건, 소장처 8건, 물품 120건, 인물 55건, 기관/장소/개념어 146여 건 등)를 발굴하고, 각 지식 노드 간의 유의미한 관계성을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살필 수 있게 하였습니다. 177여 건의 복장/복식 노드에 대해서는 그것의 형상을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보임으로써 왕실의 복식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습니다.

궁중기록화 가상 전시관

조선 왕실 의궤 가상 전시관

민족기록화 가상 미술관

민족기록화는 박정희 정부 시절 ‘민족’의 가치를 강조하고 ‘근대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7년부터 1979년 사이 당대의 저명한 화가들의 참여와 정부 지원으로 그려진 기록화들입니다. 개개의 작품은 모두 세밀한 묘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실감나게 다루고 있기에, 우리 역사와 문화의 현장을 연상하며 그 가치를 생각하게 하는 역사 문화 교육 교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팀은 1973년부터 1979년 사이에 문예진흥원의 공식적인 지원으로 제작된 104 점의 작품과, 1967년에 제작된 최초의 민족기록화 중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2 점의 작품, 이렇게 총 106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가상 미술관을 구현하였습니다. 그리고 106편의 민족기록화 작품을 중심으로 502건의 지식 노드(민족기록화 106편, 작가 45명, 소장처 7건, 인물 48건, 단체 73건, 사건 53건, 장소 39건, 관련 문헌 12건, 관련 물품 1건, 문화유산 49건, 개념어 64건, 주제별 해설 5건)를 추출하고, 해당 노드들을 중심으로 의미적 관계망을 시각자료와 함께 구현하여,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우리 역사의 다양한 지식들이 재미있는 이야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EncyvesEx3.png

승탑비문 가상 기록관

탑비(塔碑)는 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비(碑)로서, 이 비에 새겨진 금석문을 통해 해당 승려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탑비를 중심으로 그것과 관련된 여러 지식 노드를 추출하고 서로 간의 유의미한 관계망을 구성함으로써, 단일 비문을 읽으면서 곧바로 살피기 어려웠던 한국 불교사의 다양한 면모를 보다 넓고 자세히 조망할 수 있게 했습니다. 탑비의 내용을 들여다 보는 것에서 출발하여, 그 비의 주인인 승려의 행적에 관련된 역사적 사건, 역사적 인물, 그의 자취가 남은 다양한 문화유적을 연결함으로써 그가 살았던 시대의 불교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식 관계망을 구현하였습니다.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승탑비 48기를 중심으로 500여 개의 지식 노드(탑비 48기, 사찰 및 사지 113개소, 승려 103명, 관련 인물 68명, 관련 문화유산 95건, 관련 문헌 14건, 개념용어 51건 등)를 추출하고, 각각의 노드에 대한 해설과 현장에서 직접 촬영한 영상 자료를 수록하였습니다.

승탑비문 가상 기록관

2017 편찬 연구 주제: 한국의 인물 시각적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

역사인물초상화 가상 전시관

디지털 환경에서 역사적 인물과 그들이 남긴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흥미로운 이야기를 발굴해 낼 수 있는 스토리텔링 자원 데이터베이스입니다. 한국의 역사・문화를 대표하는 인물 100명을 선정해 개별 인물의 초상화를 중심 콘텐츠로 삼고, 해당 인물의 개인 정보뿐 아니라, 역사적 배경, 지리적 배경, 관련 사건, 관련 문헌, 여러 문화유산과의 관계 등을 조사하여 정보화하고, 해당 정보 상호간의 관계를 시각적인 관계망으로 구현하였습니다.


참고 자료

1차년도 결과 보고서 2차년도 결과 보고서 Presentation Project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