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3월 24일 (금) 22:4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문헌정보2

정의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1]

내용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자(朱子)〈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2]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3]

시각자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산구곡가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세종 고산구곡가 A는 B을 읽었다 1438년
효령대군 고산구곡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신미 고산구곡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정빈 한씨 고산구곡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세종 수양대군 A는 B의 아버지이다
고산구곡가 회암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수양대군 고산구곡가 A은 B를 창작하였다 1462년
고산구곡가 교서관 A는 B에서 간행되었다 활자본
고산구곡가 간경도감 A는 B에서 간행되었다 목판본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462년 세조가 고산구곡가을 창작하였다.

공간정보

공간정보 내용
127.054364/37.392258 고산구곡가이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 단행본
    1. 이응백·김원경·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 논문
    1. 고정희,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제141호, 국어국문학회, 2005.
    2. 류해춘,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한국시가문화연구』제27집, 한국시가문화학회, 2011.
    3. 서명희, 「교육을 위한 노래, <도산십이곡> '언지(言志)'의 뜻」, 『고전문학과 교육』제32집,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4. 성기옥, 「<도산십이곡>의 구조와 의미」, 『한국시가연구』제11집, 한국시가학회, 2002.
    5. 정상균, 「이황의 <도산십이곡> 연구」, 『한국시가문화연구』제14집, 한국시가문화학회, 2004.
  • 온라인
    1. 네이버 지식백과 '고산구곡가'의 검색결과로 나온 이응백·김원경·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한국사전연구사, 1998)

주석

  1. 네이버 지식백과 '고산구곡가'의 검색결과로 나온 이응백·김원경·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한국사전연구사, 1998)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가'의 내용에서 발췌·편집.(2016/12/27)
  2. 네이버 지식백과 '고산구곡가'의 검색결과로 나온 이응백·김원경·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한국사전연구사, 1998)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가'의 내용에서 발췌·편집.(2016/12/27)
  3. 대표 이미지로 소개한 것은 2016년 장서각 한글특별전 도록 <고산구곡도> 항목에 소개된 한글본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가'에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