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암집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2일 (화) 16:42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번암집(樊巖集)
Old book.png
대표명칭 번암집
한자표기 樊巖集
유형 고서
저자 채제공
간행시기 1824년
시대 조선
수량 60권 27책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정의

1824년(조선 순조 24)에 간행된 채제공의 시문집이다.

편찬

채제공이 죽은 뒤 조선 정조어정범례를 내리자 이에 따라 1799년부터 그의 아들 채홍원과 그의 문인 정약용, 이가환, 김도행, 이정운 등이 교정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1800년 정조가 죽고 순조가 즉위하자, 천주교인에 대한 탄압으로 채제공의 문인들이 다수 숙청되면서 번암집의 간행이 불가능해졌다. 1823년 홍시제의 상소를 계기로 채제공의 관작이 회복된 뒤 1824년에 홍시제유태화가 목판본으로 간행하여 안동 봉정사에 보관하였다고 전해진다.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1]

내용과 구성

시문집에는 2,147수의 시(詩)와 함께 채제공이 작성한 소(疏)·차(箚)·서계(書啓)·헌의(獻議)·계사(啓辭)·서(序)·기(記)·서(書)·제문(祭文)·애책(哀冊)·애사(哀辭)·지장(誌狀)·전(傳)·발(跋)·비탑문(碑塔文)·명(銘)·찬(贊)·교문(敎文)·전(箋)·장문(狀文)·상량문(上樑文)·설(說)·잡저(雜著) 등이 수록되었다. 책머리에 정조의 「어제어필제영(御製御筆題詠)」·「어정범례(御定凡例)」 등이 실려 있다.[2] 60권 27책. 목판본이다.

지식 관계망

  • 채제공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번암집 채제공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번암집 정약용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이가환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채홍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김도행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이정운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홍시제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유태화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번암집 안동 봉정사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번암집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번암집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번암집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어정범례 조선 정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번암집 어정범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김경희, "번암집", 해제,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2. "번암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경희, *"번암집", 해제,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 "번암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민식, "번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원호, "명승 전문가 채제공과 번암집", 공감 문화재,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08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