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계백 표준영정

Encyves Wiki
Nur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8일 (화) 12:5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계백 표준영정
"계백",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한자명칭 階伯影幀
작가 오태학
제작시기 1994년
소장처 삼충사
유형 표준영정
크기(세로×가로) 120×161㎝


정의

백제 말기의 장군 계백(階伯, ?-660년)표준영정.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오태학(吳泰鶴, 1938년-)이 그렸고 1994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현재 부여 삼충사에 소장되어 있다.
계백은 1973년 10월 영정동상심의위원회의 조사 결과 선정된 표준영정 제작 대상으로 109위의 선현 중 하나이다. 그는 백제 말기의 장군으로서 5만여 병력의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자 군사 5천을 거느리고 출천하여 황산벌(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싸웠다. 즉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수로서의 이미지를 국민의 안보의식 및 국방의식 함양을 위해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실제로 109위의 선현 중 명장(名將)이 10명, 구국 및 순국선열이 31명, 기타 구국과 국방 관련 인물이 11인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
또한 계백 표준영정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지역 축제인 '부여 백제문화제'와 연계해서 제작되었다. 즉 계백 장군을 기리는 사당과 관련 축제가 함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제작된 것이다. [2]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붉은 술과 챙이 달린 투구를 쓰고 여러개의 철판들을 연결한 찰갑(미늘갑옷)을 입은 전신상으로 그려졌다. 챙 달린 투구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라 여겨졌지만, 2007년 전남 고흥에서 5세기 전반 백제 유물로 챙 달린 투구가 나오면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3]
백제 갑옷을 완벽히 재현할 만한 연구자료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시대에 그려져, 복대나 신발 등 세부적인 부분에 작가의 상상력이 가해진 것을 볼 수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계백 표준영정 표준영정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계백 표준영정 계백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계백 표준영정 부여 삼충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계백 표준영정 오태학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94년 계백 표준영정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1-52쪽.
  2. 이영미,「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0쪽.
  3. 신형준,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4. "계백",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5. "삼충사", 『doopedia』online, 두산백과.
  6. 신형준, "1600년 된 백제 철갑옷·투구 공개",『조선일보』, 2007년 11월 23일.

참고문헌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