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창섭 (토론)의 99679판 편집을 되돌림)
1번째 줄: 1번째 줄:
 +
 +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세종대왕_표준영정.jpg
 
|사진=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세종대왕_표준영정.jpg
20번째 줄: 22번째 줄:
 
|필드수= 9
 
|필드수= 9
 
}}
 
}}
 +
<!--
 +
{{한글고문헌 샘플
 +
|이미지=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세종대왕_표준영정.jpg
 +
|대표명칭= 세종대왕 표준영정
 +
|한자명칭= 世宗大王 標準影幀
 +
|로마자명칭=
 +
|영문명칭= Portrait of Sejong
 +
|작자= [[김기창]]
 +
|원저자=
 +
|작성시기= 1973년
 +
|간행시기=
 +
|간행처=
 +
|기탁처=
 +
|소장처= [[세종대왕 유적관리소]]
 +
|청구기호=
 +
|문화재지정사항=
 +
|유형=
 +
|크기(세로×가로)= ×㎝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를 삭제할 것)
 +
|판본=
 +
|수량=
 +
|표기문자=
 +
|해독문= 기사명 (해독)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기사명 (해독)"을 삭제할 것)
 +
|해독문2= 해독문이 여러개일 때 사용
 +
|해독문3= 해독문이 여러개일 때 사용
 +
|해독문4=
 +
|해독문5=
 +
|기획기사= 기사명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기사명"을 삭제할 것)
 +
|기획기사2=
 +
|기획기사3=
 +
|기획기사4=
 +
|기획기사5=
 +
|원문기사= 기사명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기사명"을 삭제할 것)
 +
|필드수=
 +
}}
 +
-->
 
</noinclude>
 
</noinclude>
 
=='''정의'''==
 
=='''정의'''==

2017년 11월 26일 (일) 16:54 판


세종대왕 표준영정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세종대왕 표준영정.jpg
한자명칭 世宗大王 標準影幀
영문명칭 Portrait of Sejong
소장처 세종대왕 유적관리소
유형 회화
크기(세로×가로) 210.0×180.0㎝


정의

조선의 제4대 국왕인 세종(1397∼1450)의 표준영정으로, 1973년 김기창 화백이 그린 것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세종대왕

조선의 제4대 국왕인 세종(1397∼1450)의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도(祹), 자는 원정(元正)이다. 1397년(태조 6) 태종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閔氏)이다. 비는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이다. 1408년(태종 8)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졌고, 1412년(태종12) 충녕대군에 진봉(進封)되었다. 1418년 6월 왕세자에 책봉된 뒤 같은 해 8월에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33년간의 재위 기간 동안 유교국가로서의 정치기반을 확고히 했고, 공법(貢法)을 시행하는 등 각종 제도를 정비하여 조선왕조의 기반을 다졌다. 또한 한글 창제를 비롯하여 조선시대 문화의 융성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1450년 54세의 나이로 서거하였다. 능은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에 있는 영릉(英陵)이며, 시호는 장헌(莊憲)이다.[1]

  • 표준영정과 세종대왕 초상화

표준영정(標準影幀)이란 우리나라에서 추앙받는 역사 인물들의 초상화가 여러 형태로 난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한다. 세종대왕 표준영정은 1973년 김기창 화백이 세종대왕 기념사업회의 의뢰를 받아 그린 것이다. 세종대왕은 재위 기간에 초상화(御眞)를 그린 기록이 있으나 임진왜란 이후 전해지지 않는다.[2]

부연 설명

세종대왕 표준영정은 1973년 세종대왕 기념사업회의 의뢰를 받아 김기창 화백이 그린 것이다. 이후 표준영정세종대왕의 모습을 참고로 하여 많은 작품들이 모사되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만원권 지폐에 담긴 세종대왕의 모습도 이 표준영정의 모습을 본떠 그려졌으며, 김영원이 제작한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옥동환이 제작한 여의도공원 세종대왕 동상 또한 표준영정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3] 근래에 김기창 화백의 친일문제와 화가가 자신의 모습을 영정에 담아냈다는 논란이 있었다. 이에 안태성 교수는 세종대왕 표준영정에 불신을 제기하기도 하며, 세종의 형제인 효령대군초상화를 비교언급하기도 하였다.[4]. 현재 세종대왕 표준영정은 여주 영릉에 자리한 세종대왕 유적관리소에 소장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저작권은 화가에게 귀속되어 운보문화재단이 관리하고 있다.

지식 관계망

  • 세종의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에 관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세종대왕 표준영정 표준영정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세종대왕 표준영정 세종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세종대왕 표준영정 김기창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세종대왕 표준영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만원권 지폐 세종대왕 표준영정 A는 B를 담아냈다 A ekc:depicts B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세종대왕 표준영정 A는 B를 담아냈다 A ekc:depicts B
여의도공원 세종대왕 동상 세종대왕 표준영정 A는 B를 담아냈다 A ekc:depicts B
여의도공원 세종대왕 동상 옥동환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김영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세종대왕 표준영정 세종대왕 유적관리소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세종대왕 표준영정 운보문화재단 A의 저작권은 B에 있다 A dcterms:rightsHolder B
세종대왕 표준영정 효령대군 초상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안태성 세종대왕 표준영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김기창세종대왕 표준영정을 제작하였다.
1998년 옥동환여의도공원 세종대왕 동상을 제작하였다.
2009년 김영원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을 제작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04606 127.604538 세종대왕 표준영정세종대왕 유적관리소에 보관되어 있다.
36.692223 127.565045 세종대왕 표준영정의 저작권 소유처는 운보문화재단이다.
37.573069 126.976897 세종대왕 표준영정을 토대로 제작된 것으로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이 있다.
37.526961 126.924724 세종대왕 표준영정을 토대로 제작된 것으로 여의도공원 세종대왕 동상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4쪽.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4쪽.
  3. 강창욱, "세종대왕님, 용안이 왜 다 달라요?", 『국민일보』, 작성일: 2009년 12월 16일.
  4. 안태성, "세종대왕의 생김새", 『청강문화산업대학 안태성 교수의 블로그 : 5-9반 안태성』online, 작성일: 2015년 06월 16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문화체육부 편, 『(선현의) 표준영정』, 문화체육부, 1997.

유용한 정보

  1.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 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2.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위키백과』online.
  3. "표준영정", 『나무위키』online.
  4. 이상규, "세종대왕 동상 만든 김영원씨", 『경남신문』, 작성일: 2009년 10월 20일.
  5. 강창욱, "세종대왕님, 용안이 왜 다 달라요?", 『국민일보』, 작성일: 2009년 12월 16일.
  6. 박득진, "새 만원권 세종대왕 영정 교체되나", 『사람일보』, 작성일: 2005년 09월 30일.
  7. 김정대, "서울시의 세종대왕동상 건립 코미디", 『환타임스』, 작성일: 2009년 11월 20일.
  8. theqoo, "세종대왕 어진", 『커뮤니티 모아』online, 작성일: 2016년 12월 19일.
  9. 진성당거사, "이당 김은호, 그리고 세조 어진(!)을 담은 사진 한 장....그리고 사소한 발견", 『블로그 - 進省堂居士의 跆緣齋』online, 작성일: 2013년 01월 29일.
  10. 안태성, "세종대왕의 생김새", 『청강문화산업대학 안태성 교수의 블로그 : 5-9반 안태성』online, 작성일: 2015년 06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