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공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효종과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셋째 딸이다. | |
+ | |||
==내용== | ==내용== | ||
===생애=== | ===생애=== | ||
− | 1640년 [[조선 효종]]과 [[인선왕후]]의 | + | |
+ | 1640년(인조 18) [[조선 효종]](당시 봉림대군)과 [[인선왕후]]의 셋째 딸로 태어난 [[숙명공주]]는 1650년(효종 원년), 12살의 나이로 당시 10살이던 이조참판 [[심지원|심지원(沈之源)]]의 아들 청평위(靑平尉) [[심익현|심익현(沈益顯)]]에게 하가하여 아들 둘([[심정보|심정보(沈廷輔)]], [[심정협|심정협(沈廷協)]])을 낳았다. 60이 되던 해인 1699년 병이 깊어지자 조카인 [[조선 숙종|숙종]]이 무덕문 밖 사직동에 있던 공주의 집으로 친히 문병을 하였다. 1699년 3월 17일, 60세로 훙서하니 [[조선 숙종|숙종]]이 매우 슬퍼하며 조회를 중지하고 부의를 내렸다. [[숙명공주]]의 무덤은 고양시 덕양구 흥도동에 있다. | ||
===『[[숙명신한첩|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 | ===『[[숙명신한첩|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 | ||
− | 『[[숙명신한첩|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은 [[숙명공주]]가 생전에 왕과 왕비들로부터 받은 편지를 [[심익현]]의 후손들이 모아 작첩(作帖)해서 전해 온 것이다. 1955년에 발굴된 『[[숙휘신한첩|숙휘신한첩(淑徽宸翰帖)]]』보다 7년 후인 1962년에 발견되었다. 분량은 꽤 많으나 보존상태가 좋지 못하여 뒷부분이 낙장이 되고 표지가 확실하지 못하다. | + | 『[[숙명신한첩|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은 [[숙명공주]]가 생전에 왕과 왕비들로부터 받은 편지를 [[심익현]]의 후손들이 모아 작첩(作帖)해서 전해 온 것이다. 1955년에 발굴된 『[[숙휘신한첩|숙휘신한첩(淑徽宸翰帖)]]』보다 7년 후인 1962년에 발견되었다. 분량은 꽤 많으나 보존상태가 좋지 못하여 뒷부분이 낙장이 되고 표지가 확실하지 못하다. 서문 · 발문도 없고 보존경위도 분명하지 않으나, 앞에 나온 『[[숙휘신한첩]]』이 있는 까닭에 내용파악이 용이하다. 수신자는 숙명공주이며 발신자는 계조모 [[장렬왕후]]가 2건, 부왕 [[조선 효종 | 효종]]이 9건, 모후 [[인선왕후]]가 53건, 동생 [[조선 현종 | 현종]]이 2건, 올케 [[명성왕후]]가 1건 도합 67건이다. 특기할 것은 현종의 편지에는 인주색(印朱色)이 생생한 어보(御寶) 세 개가 찍혀 있다. 이 신한첩은 당시 실용어로 쓰여진 편지로서, 효종 · 현종 · 숙종대에 친필로 씌여진 한글편지(諺簡)와 더불어 국문학사, 역사, 풍속 연구의 중요한 사료이다.<ref>이응백 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2825&cid=41708&categoryId=41711 신한첩]",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7년 11월 24일 (금) 20:54 판
숙명공주(淑明公主) | |
대표명칭 | 숙명공주 |
---|---|
한자표기 | 淑明公主 |
생몰년 | 1640-1699 |
본관 | 전주 |
시대 | 조선 |
국적 | 조선 |
대표저서 | 숙명신한첩 |
배우자 | 심익현 |
부 | 효종 |
모 | 인선왕후 |
자녀 | 심정보, 심정협 |
정의
조선 효종과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셋째 딸이다.
내용
생애
1640년(인조 18) 조선 효종(당시 봉림대군)과 인선왕후의 셋째 딸로 태어난 숙명공주는 1650년(효종 원년), 12살의 나이로 당시 10살이던 이조참판 심지원(沈之源)의 아들 청평위(靑平尉) 심익현(沈益顯)에게 하가하여 아들 둘(심정보(沈廷輔), 심정협(沈廷協))을 낳았다. 60이 되던 해인 1699년 병이 깊어지자 조카인 숙종이 무덕문 밖 사직동에 있던 공주의 집으로 친히 문병을 하였다. 1699년 3월 17일, 60세로 훙서하니 숙종이 매우 슬퍼하며 조회를 중지하고 부의를 내렸다. 숙명공주의 무덤은 고양시 덕양구 흥도동에 있다.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은 숙명공주가 생전에 왕과 왕비들로부터 받은 편지를 심익현의 후손들이 모아 작첩(作帖)해서 전해 온 것이다. 1955년에 발굴된 『숙휘신한첩(淑徽宸翰帖)』보다 7년 후인 1962년에 발견되었다. 분량은 꽤 많으나 보존상태가 좋지 못하여 뒷부분이 낙장이 되고 표지가 확실하지 못하다. 서문 · 발문도 없고 보존경위도 분명하지 않으나, 앞에 나온 『숙휘신한첩』이 있는 까닭에 내용파악이 용이하다. 수신자는 숙명공주이며 발신자는 계조모 장렬왕후가 2건, 부왕 효종이 9건, 모후 인선왕후가 53건, 동생 현종이 2건, 올케 명성왕후가 1건 도합 67건이다. 특기할 것은 현종의 편지에는 인주색(印朱色)이 생생한 어보(御寶) 세 개가 찍혀 있다. 이 신한첩은 당시 실용어로 쓰여진 편지로서, 효종 · 현종 · 숙종대에 친필로 씌여진 한글편지(諺簡)와 더불어 국문학사, 역사, 풍속 연구의 중요한 사료이다.[1]
지식 관계망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숙명신한첩 |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숙명신한첩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숙명신한첩 | 효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숙명신한첩 | 인선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숙명신한첩 | 명성황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숙명신한첩 | 숙명공주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숙명신한첩 | 장렬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숙명신한첩 | 현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인선왕후 | 숙명공주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효종 | 숙명공주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효종 | 인선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현종 | 숙명공주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현종 | 명성왕후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숙명신한첩 | 숙명공주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숙명신한첩 | 명성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 숙명공주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 효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 현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주석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장수찬, "'조선제일' 애묘가 숙명공주", 『오마이뉴스』, 작성일:2017년 7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