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죽계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42번째 줄: 42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안향과 주세붕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0/E01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2017년 11월 24일 (금) 18:35 판

죽계지(竹溪誌)
대표명칭 죽계지
한자표기 竹溪誌
저자 안시중, 안병렬
저술시기 1544년
간행시기 1803년(초간), 1824년(중간)
간행인 시중(時中), 정진(鼎鎭), 병렬(炳烈)
시대 조선
수량 3권 1책
판본 목활자본
판사항 필사본
소장처 규장각,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


정의

조선시대 백운동서원에 관한 기록을 수집해 엮은 책.

내용

목활자본, 필사본. 3권 1책.

백운동서원주세붕(周世鵬)이 풍기군수로 재임하던 1542년 순흥의 백운동에 안향(安珦)의 사당인 회헌사(晦軒祠)를 세우고 그 이듬해 주희(朱熹) 백록동학규(白鹿洞學規)를 본받아 창설한 서원으로, 뒤에 안축(安軸) · 안보(安輔)도 배향하였다.[1]

죽계지는 본래 주세붕(周世鵬)백운동서원을 건립한 이듬해인 1544년(중종 39) 편찬한 것을 1803년(순조 3) 안향(安珦)의 후손 시중(時中)·정진(鼎鎭) 등이 3책으로 간행하였다. 이어 1824년 20대손 병렬(昞烈)안향에 관한 기록을 모아 『회헌실기(晦軒實記)』를 간행한 뒤 부록으로 삼기 위해 3권 1책으로 줄여 중간하였다.[2]

권1은 「안씨행록(安氏行錄)」 「고적기(古蹟記)」 등, 권2는 「백운동서원기(白雲洞書院記)」 「학전기(學田記)」 등, 권3은 「백록동부(白鹿洞賦)」 및 「차운(次韻)」 등이 수록되어 있다.[3]

주세붕의 서문에서는 회헌사와 백운동서원의 건립 경위, 이 책의 편찬 경위를 밝혔다.[4]

지식 관계망

  • 안향과 주세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죽계지 영주 소수서원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죽계지 시중 A는 B가 간행하였다 A dcterms:publisher B
안향 시중 A의 후손은 B이다 A ekc:hasDescendant B

주석

  1.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죽계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정선남, "죽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죽계지", 『두산백과』online.
  4. 정선남, "죽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죽계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정선남, "죽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죽계지", 『두산백과』online.

더 읽을거리

  • 논문
    • 옥영정, 「「竹溪志」의 編纂과 版本에 관한 書誌的 硏究」, 『書誌學硏究』 第31輯, 297-321,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