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삼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58번째 줄: 58번째 줄: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4/A004.htm 홍무정운역훈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4/A004.htm 홍무정운역훈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5/A005.htm 용비어천가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5/A005.htm 용비어천가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E010/E010.htm 김시습과 성삼문과 박팽년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11/E011.htm 김시습과 성삼문과 박팽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class="wikitable sortable"

2017년 11월 24일 (금) 17:09 판

성삼문(成三問)
대표명칭 성삼문
한자표기 成三問
생몰년 1418년-1456년
본관 창녕(昌寧)
매죽헌(梅竹軒)
근보(謹甫)
출생지 홍성(洪城)
시대 조선
국적 조선
대표저서 매죽헌집
대표직함 예방승지
성승(成勝)
자녀 성맹첨(成孟瞻)·성맹년(成孟年)·성맹종(成孟終)
성격 문인
유형 인물


정의

조선 전기 문신으로 사육신 중 한명이다.

내용

성삼문의 가계에 대해서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 충청남도 홍성(洪城) 에서 태어났다. 개성유후(開城留后) 성석용(成石瑢)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성달생(成達生)이고, 아버지는 도총관(都摠管) 성승(成勝)이다. 어머니는 현감 박첨(朴襜)의 딸이다. [1]

관직 초기 세종, 문종시기(1418-1450) 활동

1435년(세종 17)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1438년(세종 20) 식년 문과에 정과로 급제했다. 그리고 또 1447년(세종 29)에 문과 중시 장원으로 다시 급제하였다. 집현전학사로 뽑혀서 세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으며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직집현전(直集賢殿)으로 승진하였다. 1442년(세종 24) 사가독서(賜暇讀書: 문흥을 위해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 전념하게 하던 제도)기간에 세종의 명으로 『예기대문언두(禮記大文諺讀)』을 편찬 하였다. 세종훈민정음 28자를 만들때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이개 등과 함께 이를 도았다. 특히 신숙주와 함께 여러번 명나라 요동을 왕래하면서 한림학사 황찬을 만났으며, 명나라 사신을 따라 명나라에 가서 음운과 교장(敎場) 제도를 연구해와 훈민정음 반포에 큰 역할을 하였다. [2]

단종 복위운동과 죽음

1453년(단종 1)에 수양대군계유정난을 일으켜 정권과 병권을 장악하고는 성삼문을 정난공신(靖難功臣) 3등의 칭호를 내렸다. 그러나 성삼문은 이를 사양하는 소를 올리면서 세조를 따르지 않는 모습을 보였으며 3년 후 1455년(세조 1)에 세조단종을 위협하려 선위하려하자 성삼문은 옥새를 끌어안고 통곡을 하였다. 이후 아버지 성승의 은밀한 지시로 박중림, 박팽년, 유응부, 허조 등 여러 사람들을 포섭하여 단종 복위운동을 벌였다. 하지만 1456년(세조 2) 에 계획했던 거사일이 세조의 변덕으로 무산 되었고, 이에 불안을 느낀 김질 과 장인인 정창손이 밀고를 하여 단종 복위운동에 참여한 인사들은 모두 처형 당했으며 이때 성삼문 및 직계 가족들이 모두 죽임을 당하여 혈손이 끊겼다. [3]

지식 관계망

  • 세종의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에 관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성삼문 표준영정(1998) 성삼문 A는 B를 모델이다 1998년
성승 성삼문 A는 B의 어버이다
세종 성삼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문종 성삼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단종 성삼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세조 성삼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집현전 성삼문 A는 B를 포함한다
집현전 정인지 A는 B를 포함한다
집현전 이개 A는 B를 포함한다
집현전 박팽년 A는 B를 포함한다
집현전 신숙주 A는 B를 포함한다
계유정난 성삼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3년
계유정난 신숙주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3년
계유정난 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3년
계유정난 단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3년
단종 복위운동 성삼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6년
단종 복위운동 성승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6년
단종 복위운동 유응부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6년
단종 복위운동 박팽년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6년
단종 복위운동 박중림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6년
단종 복위운동 김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6년
단종 복위운동 정창손 A는 B와 관련이 있다 1456년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재범, 성삼문,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재범, 성삼문,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재범, 성삼문,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웹자원
    • 이재범, 성삼문,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