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28/E02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2017년 11월 24일 (금) 01:21 판
이원익 초상 | |
한자명칭 | 李元翼 肖像 |
---|---|
작가 | 미상 |
제작시기 | 17세기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문화재지정사항 | 보물 제872호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165.5×81.0㎝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인 이원익(1547∼1634)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원익 초상>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1970년 한 후손 집안에서 구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단이 아닌 종이 바탕에 그려진 초상화라는 점이 특이하다. 공신도상의 형식으로 그려졌지만 흰 수염의 아주 나이든 모습으로 58세 때의 호성공신화상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1623년에 있었던 이원익이 사궤장(賜几杖)을 하사받은 기념하는 초상으로 보는 의견이 있다.[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이원익 초상>은 이원익의 노년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아울러 견본 바탕이 아닌 지본에 그려진 전신관복본 초상화의 희귀한 예로 중요한 작품이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다산 정약용의 이원익의 초상을 보고 남긴 화상찬 가운데 오리 이원익의 외모에 대한 부분이 있다.
![]() |
실상은 섬약한 아래턱이며 불그레한 콧날에 꾀죄죄하게 주근깨만 여기저기 박혀 있었다 |
![]() |
출처: "故領議政梧里李公畫像贊", 여유당전서, |
초상에 묘사된 모습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의 <이원익 초상>은 좌안팔분면의 오사모를 쓰고 단령을 입은 정장관복본 전신교의좌상으로 그려졌다. 종이에 그려진 것이 이색적인데 이 때문에 필치 구사와 채색방법이 매우 자유롭다. 단령에 공작흉배와 서대를 하고 있어 당시 그의 품계가 정1품임을 알 수 있다. 이원익은 호성공신 녹훈 당시 이미 영의정을 역임하였다.[3] 단령의 트임 사이로 내비치는 관복의 안감과 철릭(帖裏)만 나란히 배열한 것은 17세기 후반에 나타나는 도상적 특징이다.
얼굴은 전체를 살색으로 선염하고 선묘와 약간의 색을 사용해 표현하였다. 길고 풍성한 수염은 한 올씩 그렸는데 유연하고 활달한 필치를 보여준다.
이원익의 얼굴은 마르고 긴 형태로 눈이 작은 모습이다. 코가 유난히 짧고 하관이 긴 모습으로 그려졌다. 대체로 호성공신도상에 나타난 얼굴과 유사하나 수염이 아주 길어지고 풍성해진 점이 이채롭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이원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이원익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여유당전서 | 고영의정오리이공화상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고영의정오리이공화상찬 | 이원익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여유당전서 | 정약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좌안팔분면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사모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단령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흉대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서대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철릭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이원익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238510 | 126.9804700 |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이원익 초상(국립중앙박물관)[4]
주석
- ↑ 조선미, 『한국초상화 연구』, 열화당, 1983, 224쪽.
- ↑ "故領議政梧里李公畫像贊", 여유당전서,
『한국고전종합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219쪽.
- ↑ 국립중앙박물관, "이원익영정",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 문화체육관광부.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조인수, "이원익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충현박물관, 『오리 이원익 영정 보물지정 기념전』, 오리 이원익 종가의 이야기, 충현박물관, 2005.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논문
- 권혁산, 「朝鮮 中期 『錄勳都監儀軌』와 功臣畵像에 관한 硏究」, 『미술사학연구』제266호, 한국미술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