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 초상(학남서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치원 초상(학남서원).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최치원 초상(...)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역사인물초상화 | {{역사인물초상화 |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치원 초상(학남서원).jp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치원 초상(학남서원).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臥草-조성재,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NATB&articleno=45&categoryId=1®dt=20081128213813 고운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강산애드』<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3월 23일. |
|대표명칭=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 |대표명칭=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 ||
|한자명칭= 崔致遠 肖像 | |한자명칭= 崔致遠 肖像 | ||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치원 초상(학남서원).jpg|[[최치원 초상(학남서원)]]<ref>臥草-조성재,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NATB&articleno=45&categoryId=1®dt=20081128213813 고운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강산애드』<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3월 23일.</ref>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82번째 줄: | 86번째 줄: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
− |
2017년 11월 23일 (목) 23:46 판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 |
한자명칭 | 崔致遠 肖像 |
---|---|
작가 | 미상 |
제작시기 | 1793년 |
소장처 | 청도 학남서원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105×74㎝ |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문신, 학자였던 최치원(857~919)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최치원의 초상화는 현재 여러 곳에 봉안되어 있는데 모두 조선조 후기 이후 근,현대에 걸쳐 제작된 이모본이다. <최치원 초상>은 원래 쌍계사본과 해인사본이 있었는데 무성서원본이나 청성사본, 운암영당 소장본은 쌍계사본을 범본으로 하여 그리고 학남서원본은 해인사본을 범본으로 하여 이모된 것이다.[1]
학남서원의 <최치원 초상>은 1900년에 해인사 서장각에서 발견되어 경주 최씨 문중에 의해 학남서원의 계동사에 봉안되어 제향하고 있다. 화면의 왼쪽 상단에 세로로 ‘신라최선생고운지진영(新羅崔先生孤雲之眞影)’이라고 제기가 쓰여 최치원의 초상임을 알 수 있다.
선명한 극채색을 사용하고 진홍색 배경에 최치원의 좌우에 동자들을 둔 구성 등 무속화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작품으로 최치원 초상의 다양한 형식 중 하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학남서원의 <최치원 초상> 속 고운은 검은 사방모에 녹색 도포를 입고 오른손에 깃털 부채를 쥐고 편안한 자세로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최치원의 왼쪽에는 파초선을 든 시녀가 있으며 오른쪽에는 청자 그릇에 담은 석류를 공양하는 동자가 있다.
이 작품은 초상화의 주인공이 문인의 옷을 입고 있을 뿐 전체적인 구성은 산신도와 유사하며 민화처럼 짙은 채색으로 처리되어, 최치원을 마치 신선처럼 생각했던 민간신앙적 요소가 반영된 작품으로 추정된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 최치원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 청도 학남서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 최치원 초상(해인사) | A는 B의 이모본이다 | A ekc:isCopyOf B |
최치원 초상(학남서원) | 합천 해인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모 | 최치원 초상(운암영당)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도포 | 최치원 초상(운암영당)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639404 | 128.679428 | 최치원 초상(학남서원)은 청도 학남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최치원 초상(학남서원)[3]
주석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13쪽.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17쪽.
- ↑ 臥草-조성재, "고운영정",
『다음 블로그 - 강산애드』online , 작성일: 2016년 03월 23일.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김용만, "고운 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논문
- 장일규, 「최치원 관련 유적의 분포와 숭모」, 『韓國史學報』 제63호, 2016.
- 단행본
- 손상국, 『최치원을 추억하다』, 신아출판사, 2016.
- 전시도록
- 국립진주박물관, 『지리산 :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국립진주박물관, 2009.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국립경주박물관, 『고운최치원』, 국립경주박물관,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