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익 공신도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원익 공신도상.jpg |사진출처= |대표명칭=이원익 공신도상 |...)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역사인물초상화 | {{역사인물초상화 |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원익 공신도상.jp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원익 공신도상.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1,02240000,31&queryText=&cultnm=%EA%B4%91%EB%AA%85%20%EC%9D%B4%EC%9B%90%EC%9D%B5%20%EC%B4%88%EC%83%81%ED%99%94 광명 이원익 초상화 |
+ | ]",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 ||
|대표명칭=이원익 공신도상 | |대표명칭=이원익 공신도상 | ||
|한자명칭=李元翼 功臣圖像 | |한자명칭=李元翼 功臣圖像 | ||
82번째 줄: | 83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원익 공신도상.jpg|[[이원익 공신도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1,02240000,31&queryText=&cultnm=%EA%B4%91%EB%AA%85%20%EC%9D%B4%EC%9B%90%EC%9D%B5%20%EC%B4%88%EC%83%81%ED%99%94 광명 이원익 초상화 | ||
+ | ]",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98번째 줄: | 104번째 줄: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
− |
2017년 11월 23일 (목) 23:01 판
이원익 공신도상 | |
한자명칭 | 李元翼 功臣圖像 |
---|---|
작가 | 미상 |
제작시기 | 17세기 |
소장처 | 충현박물관 |
문화재지정사항 | 보물 제1435호 |
유형 | 공신도상 |
크기(세로×가로) | 167×89㎝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인 이원익(1547∼1634)의 모습을 그린 공신도상.
내용
공신도상의 제작 및 보관
<이원익 공신도상>은 이원익의 종손이 설립한 충현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이원익이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무사히 피난하도록 했던 공적을 인정받아 58세가 되던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녹훈된 것을 기념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해 조성된 청난공신(淸難功臣)과 선무공신(宣武功臣)의 도상에 비해 오사모 상단이 높아서 특이하다.[1] 이 오사모의 표현 때문에 제작시기를 공신 녹훈 당시보다 몇 년 늦춰보기도 한다.
현재 충현박물관에는 4점의 이원익 초상이 소장되어있는데 이 중 특이한 형태의 초상화가 있어 주목된다. <평양 생사당 구장 이원익 영정>이 그것으로 조선시대 사대부 초상으로는 특이하게 우안의 전신좌상으로 그려졌다. 공수자세가 아닌 오른손에 부채를 손에 들고 왼손에는 관대를 잡고 있는 자세가 특이한데 이를 근거로 화승이 그린 초상으로 추정한다.
<이원익 공신도상>은 17세기 초, 선조 대 공신도상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17세기 공신도상의 변모 과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작품으로서 의미가 있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다산 정약용의 이원익의 초상을 보고 남긴 화상찬 가운데 오리 이원익의 외모에 대한 부분이 있다.
![]() |
실상은 섬약한 아래턱이며 불그레한 콧날에 꾀죄죄하게 주근깨만 여기저기 박혀 있었다 |
![]() |
출처: "故領議政梧里李公畫像贊", 여유당전서, |
공신도상에 묘사된 모습
<이원익 공신도상>은 오사모에 흑단령을 입고 공수자세를 취한 채 의자에 앉아 있는 좌안칠분면의 전신좌상으로 그려졌다. 바닥에는 화려한 채전이 깔려있다. 단령에 공작흉배와 서대를 하고 있어 당시 그의 품계가 정1품임을 알 수 있다. 단령은 윤곽과 옷 주름을 간략한 선으로 묘사하였다. 단령의 무가 세모꼴로 접혀 올라가있으며, 공수한 팔 부분에는 흰 소매가 살짝 내비치고, 교의자는 신체 바깥으로 양 손잡이만이 암시적으로 드러나며, 단령의 트임 사이로 내비치는 의복이 둥글게 표현되고 있는 등 함께 호성공신에 책봉된 정탁의 초상, 같은 시기에 녹훈된 선무공신 및 청난공신의 초상과 거의 유사한 양식을 보여준다.[3]
얼굴은 마르고 긴 형태로 눈이 작은 모습이다. 코가 유난히 짧고 하관이 긴 모습으로 그려졌다. 수염은 얼굴 전체에 나있지만 성근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원익 공신도상 | 공신도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이원익 공신도상 | 이원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이원익 공신도상 | 충현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이원익 공신도상 | 호성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여유당전서 | 고영의정오리이공화상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고영의정오리이공화상찬 | 이원익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여유당전서 | 정약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좌안칠분면 | 이원익 공신도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사모 | 이원익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단령 | 이원익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흉배 | 이원익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서대 | 이원익 공신도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2005년 7월 7일 | 이원익 공신도상이 보물 제1435호로 지정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336050 | 126.8781500 | 이원익 공신도상은 충현박물관에 봉안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4쪽.
- ↑ "故領議政梧里李公畫像贊", 여유당전서,
『한국고전종합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65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조인수, "이원익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충현박물관, 『오리 이원익 영정 보물지정 기념전』, 오리 이원익 종가의 이야기, 충현박물관, 2005.
- 논문
- 권혁산, 「朝鮮 中期 『錄勳都監儀軌』와 功臣畵像에 관한 硏究」, 『미술사학연구』제266호, 한국미술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