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최익...)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역사인물초상화 | {{역사인물초상화 |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jp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9D%B5%ED%98%84_%EC%B4%88%EC%83%81 최익현 초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대표명칭=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대표명칭=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
|한자명칭= 崔益鉉 肖像 | |한자명칭= 崔益鉉 肖像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jpg|[[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ref>"[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9D%B5%ED%98%84_%EC%B4%88%EC%83%81 최익현 초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83번째 줄: | 87번째 줄: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
− |
2017년 11월 23일 (목) 22:49 기준 최신판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
한자명칭 | 崔益鉉 肖像 |
---|---|
작가 | 채용신 |
제작시기 | 1905년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문화재지정사항 | 보물 제1510호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51.5x41.5cm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우국지사인 최익현(1833~1906)의 모습을 그린 어진.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최익현의 초상화는 여러 점이 전해오는데 그중 국립중앙박물관본, 충남 청양 모덕사본, 경기 포천 채산사본 등 채용신이 그린 것들이 유명하다. 그 외에 심의 초상화로 춘산영당본 등이 전한다.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액자로 표구된 상태이다. 안료의 박락과 비단의 균열로 상태가 좋지 않다. <최익현 초상> 중 유일하게 최익현이 살아있을 때 그려진 작품이다.
화폭 오른쪽 상단에는 ‘면암 최익현 선생의 74세 초상 모관본(勉菴先生七十四歲像 毛冠本)’이라 하고, 좌측 하단에 ‘을사년(1905) 1월 상순에 정산군수 채용신이 그리다(乙巳孟春上澣 定山郡守時蔡石芝圖寫)’라고 쓰여 있다. 그리고 파초 모양의 도장과 석지(石芝)라 새긴 주문도장(朱文圖章), 그리고 또 다른 주문도장을 찍었다. 모관본 초상은 털모자로 보아, 의병장으로 활동하던 우국지사이자 항일지사로서 면암의 모습을 화가가 염두에 두고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유일하게 최익현 생존 시에 그려진 작품으로서, 서양화법과 전통화법이 혼용되어 실험적인 측면이 있으면서도 최익현의 외견과 성정을 잘 묘사한 걸작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최익현 초상>은 심의를 입고 거의 정면을 보고 있는 복부까지 내려오는 반신상이다. 머리에는 겨울철에 사냥꾼이 주로 사용하는 쓰개인 가죽감태를 쓰고 있다. 전체적으로 뚜렷한 외곽선 없이 검은색, 흰색, 굵은 갈색 선으로 터럭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심의는 흰색이 많이 박락되어 그 아래로 연필선 같은 것이 보인다. 의복의 검은 테두리에도 흑색의 농담을 달리하여 변화를 주었다. 허리띠의 입체감을 잘 살렸고 허리끈은 노랑, 분홍, 보라색을 점묘처럼 가했는데 덜 정교하다.
얼굴은 주름을 가는 갈색으로 묘사하고 더 짙은 갈색 선으로 음영을 표현하였으며, 전체적으로 가는 분홍색 선묘로 육리문을 그렸다. 눈동자는 선묘를 사용해 극사실적으로 표현하였고, 얼굴의 굴곡을 수많은 선묘로 묘사하는 서양화법을 구사하였다.[1]
입술을 꾹 다문 채 고개를 약간 숙이고 정면을 주시한 모습인데, 불의를 일체 용납하지 않았던 단호함과 강직함, 그리고 우국충정이 느껴지는 듯하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심의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가죽감태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05년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제작되었다. |
2007년 2월 27일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보물 제1510호로 지정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238510 | 126.9804700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2]
주석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조선미, "최익현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논문
- 김진아, 『蔡龍臣筆 崔益鉉 肖像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