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 식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
86번째 줄: | 86번째 줄: | ||
*논문 | *논문 | ||
** 권혁명, 「16세기 息影亭 詩壇의 詩世界 硏究 : 林億齡, 梁應鼎, 金成遠, 鄭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 권혁명, 「16세기 息影亭 詩壇의 詩世界 硏究 : 林億齡, 梁應鼎, 金成遠, 鄭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
− | ** 황민선, 「누정연작제영 〈息影亭 20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 + | ** 황민선, 「누정연작제영 〈息影亭 20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
− | ** 박연호, 「식영정 원림의 공간 특성과 〈성산별곡〉」, | + | ** 박연호, 「식영정 원림의 공간 특성과 〈성산별곡〉」, 『韓國文學論叢』40, 2005, 33-58쪽. |
*웹자원 | *웹자원 | ||
** 윤국병,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572 식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국병,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572 식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5,00570000,36&flag=Y 식영정]",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5,00570000,36&flag=Y 식영정]",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http://www.k-heritage.tv/www/jsp/heritage/search/search.jsp?searchText=%EB%8B%B4%EC%96%91+%EC%8B%9D%EC%98%81%EC%A0%95 식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 *"[http://www.k-heritage.tv/www/jsp/heritage/search/search.jsp?searchText=%EB%8B%B4%EC%96%91+%EC%8B%9D%EC%98%81%EC%A0%95 식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
2017년 11월 22일 (수) 23:11 기준 최신판
식영정 (息影亭) |
|
대표명칭 | 식영정 |
---|---|
한자표기 | 息影亭 |
이칭 | 정송강유적 |
시대 | 조선/1560년 |
지정번호 | 전라남도 기념물 제1-1호 |
지정일 | 1972년 1월 29일 |
소장처 | 소재지: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지곡리 |
|
목차
정의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이다.[1] 환벽당(環碧堂), 송강정(松江亭)과 함께 정송강유적(鄭松江遺蹟)이라고 불린다.[2]
내용
원래 16세기 중반 서하당(棲霞堂) 김성원(金成遠)이 스승이자 장인인 석천 임억령(林億齡)을 위해 지은 정자라고 한다. 식영정이라는 이름은 임억령이 지었는데 '그림자가 쉬고 있는 정자'라는 뜻이다. 담양 식영정 바로 옆에는 김성원이 자신의 호를 따서 서하당이라고 이름 붙인 또 다른 정자를 지었는데, 없어졌다가 최근 복원되었다. 『서하당유고』 행장에 따르면, 김성원이 36세 되던 해인 1560년(명종 15)에 담양 식영정과 서하당을 지었음을 알 수 있다. 김성원은 정철의 처외재당숙으로 정철보다 11년이나 연상이었으나, 정철이 이곳 성산에 와 있을 때 환벽당에서 같이 공부하던 동문이다. 식영정 건너편에 있는 환벽당은 어린 시절 정철의 운명을 바꾸어놓게 한 사촌 김윤제가 기거했던 곳이다. 이런 연유로 환벽당(環碧堂), 송강정(松江亭)과 함께 정송강유적(鄭松江遺蹟)이라고 불린다.[3]
식영정 이십영
당시 사람들은 임억령(林億齡), 김성원(金成遠), 고경명(高敬命), 정철(鄭澈) 네 사람을 '식영정 사선(息影亭 四仙)'이라 불렀는데, 이들이 성산의 경치 좋은 20곳을 택하여 20수씩 모두 80수의 식영정 이십영(息影亭 二十詠)을 지은 것은 유명한 이야기이다. 이 식영정 이십영은 후에 정철의 『성산별곡』의 밑바탕이 되었다. 그는 이곳을 근거지로 하여 송순, 김인후, 기대승 등을 스승으로 삼았으며 고경명, 백광훈, 송익필 등과 교유하였다. [4]
규모
정자의 규모는 정면 2칸, 측면 2칸이고 단층 팔작지붕이며, 온돌방과 대청이 절반씩 차지한다. 가운데 방을 배치하는 일반 정자들과 달리 한쪽 귀퉁이에 방을 두고, 앞면과 옆면을 마루로 깐 것이 특이하다. 자연석 기단 위에 두리기둥[圓柱]을 세운 굴도리 5량의 헛집구조이다. [5]
부속 건물 및 변천
식영정 옆에는 1973년에 『송강집(松江集)』의 목판을 보존하기 위한 장서각을 건립하였으며, 1972년에는 부속 건물로 부용당(芙蓉堂)을 건립하고, 입구에 『성산별곡』 시비를 세웠다. 주변에는 정철이 김성원과 함께 노닐던 자미탄(紫薇灘), 노자암, 견로암, 방초주(芳草州), 조대(釣臺), 서석대(瑞石臺) 등 경치가 뛰어난 곳이 여러 곳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광주호의 준공으로 거의 물속에 잠겨버렸다. [6]
지식 관계망
- 조선 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 시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담양 식영정 | 송강가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담양 식영정 | 성산별곡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담양 식영정 | 정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담양 식영정 | 김성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담양 식영정 | 임억령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담양 식영정 | 고경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식영정 이십영 | 정철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식영정 이십영 | 김성원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식영정 이십영 | 임억령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식영정 이십영 | 고경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식영정 이십영 | 담양 식영정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시각자료
갤러리
식영정 [1]
주석
- ↑ 윤국병, "식영정(息影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식영정 (息影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식영정 (息影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식영정 (息影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식영정 (息影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식영정 (息影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권혁명, 「16세기 息影亭 詩壇의 詩世界 硏究 : 林億齡, 梁應鼎, 金成遠, 鄭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황민선, 「누정연작제영 〈息影亭 20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 박연호, 「식영정 원림의 공간 특성과 〈성산별곡〉」, 『韓國文學論叢』40, 2005, 33-58쪽.
- 웹자원
유용한 정보
- "식영정",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