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령 묘음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재령 묘음사 현암과 관련 있는 정지국사 지천의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4/monk_jeong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2017년 11월 22일 (수) 16:24 판
재령 묘음사 (載寧 妙音寺) |
|
대표명칭 | 재령 묘음사 |
---|---|
한자 | 載寧 妙音寺 |
주소 | 황해도 재령군 장수면 서림리 |
건립시기 | 신라시대 |
정의
황해도 재령군 장수면에 있는 신라시대 사찰.
내용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고려 초기 이엄(利嚴)이 여기에 머무르면서 참선하였으므로 신라 때 창건한 사찰임을 알 수 있다.[1]
그 뒤 1679년(숙종 5) 재난을 만나 불타버린 뒤 1701년(숙종 27) 벽안(碧眼)이 중창하여 내려오다가,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 화를 입어 1901년 금순(錦淳)이 옛터에 다시 세웠다.[2]
1903년 영친왕의 기도소로 삼아 특별히 향촉(香燭)이 하사되기도 하였으며, 1934년 주지 박혜명(朴慧明)이 대웅전을 개축하고 부속건물을 세워 사찰의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3]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 재령 묘음사 현암과 관련 있는 정지국사 지천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재령 묘음사 | 재령 묘음사 현암 | A의 암자는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이엄 | 재령 묘음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재령 묘음사 | 벽안 | A는 B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재령 묘음사 | 금순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재령 묘음사 | 영친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주석
- ↑ "묘음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묘음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묘음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묘음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