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미의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시대=근대 | |시대=근대 | ||
|날짜=1907년 08월 01일 | |날짜=1907년 08월 01일 | ||
− | |관련인물= | + | |관련인물= [[신돌석]], [[홍범도]], [[안중근]], [[박준성]], [[손재규]], [[이인영]], [[허위]], [[민긍호]], [[이강년]], [[전봉준]], [[문태수]]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관련장소= [[정미의병 발원 터]] |
|관련물품= | |관련물품= | ||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 ||
61번째 줄: | 61번째 줄: | ||
| [[정미의병]] || [[정미의병 발원 터]]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정미의병]] || [[정미의병 발원 터]]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 |- | ||
− | | [[신돌석]]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신돌석]]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홍범도]]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홍범도]]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113번째 줄: | 113번째 줄: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 ||
− | [[분류:민족/ | + | [[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20일 (월) 13:36 판
정미의병(丁未義兵) | |
대표명칭 | 정미의병 |
---|---|
한자표기 | 丁未義兵 |
유형 | 의병봉기 |
시대 | 근대 |
날짜 | 1907년 08월 01일 |
관련인물 | 신돌석, 홍범도, 안중근, 박준성, 손재규, 이인영, 허위, 민긍호, 이강년, 전봉준, 문태수 |
관련장소 | 정미의병 발원 터 |
정의
1907년 한일신협약 체결 이후부터 1910년까지 벌어진 무장 항일 구국 투쟁.[1]
내용
군대해산
1905년(광무 10) 통감부 설치 이후 조선병합을 서두르던 일제는 1907년 6월 헤이그사건을 빌미로 고종을 강제퇴위시키고 정미7조약을 강제로 체결한 뒤, 대한제국의 마지막 무력인 군대를 해산시켰다. 해산군인들은 해산당일 시위대 제1연대 제1대대장 박승환(朴昇煥)의 자결을 계기로 서울·원주·강화 진위대 등지에서 무장봉기를 하는 한편, 무기를 가지고 각지의 의병부대에 참여하였다. 해산군인의 의병참여는 당시 일제의 탄압으로 침체상태에 있던 후기 의병활동을 그 규모와 성격면에서 전환기를 맞게 하였다.[2]
13도창의군
정미의병의 항전은 1907년 12월부터 1908년 5월 사이에 있었던 13도창의군의 서울 진공 작전을 기점으로 최고조에 달하였다. 전라, 충청, 경기, 강원, 평안, 함경도 등 13도 의병 부대가 이인영을 총사령관으로 연합하여 서울 탈환을 목표로 삼았다. 비록 서울 진공 작전은 실패하였지만 남쪽으로는 제주도로부터 북쪽으로는 간도⋅연해주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에서 의병 투쟁이 전개되었다. 특히 1908년에는 강원도 의병, 1909년에는 전남 의병이 가장 강력한 투쟁을 벌였다. 일제의 잔학한 탄압을 피해 초기 대부대의 형태에서 후기 점차 소규모 유격 전투의 형태로 전환되어 갔다.[3]
의의와 평가
정미의병은 유생 이외에도 해산군인·평민·천민의병장 등이 대거 등장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인·공인·노동자·농민 등 전 계층이 의병항일전에 동참함으로써 전면항일전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4]
또한, 해산군인이 의병에 합류함에 따라 무기와 편제가 정예화되어 전력이 크게 향상되었고, 의병주도계층이 다양해짐에 따라 의병진이 점차 소규모화, 다원화되어 산간지대를 근거로 하는 유격전술을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었다.[5]
1910년 경술국치 때까지 명맥을 이어오던 정미의병은 점차 북상, 남북만주·연해주 지역으로 활동무대를 옮겨 항전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갔다. 그리하여 1920년대의 독립전쟁론에 입각하여, 항일전을 전개한 독립군으로 계승, 발전되었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미의병 | 헤이그특사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미의병 | 한일신협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한일신협약 | 군대해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한일신협약 | 한일신협약 체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완용 | 한일신협약 체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토 히로부미 | 한일신협약 체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군대해산 | 박승환의 자결 순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박승환의 자결 순국 | 박승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박승환의 자결 순국 | 정미의병 발원 터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정미의병 | 정미의병 발원 터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신돌석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홍범도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안중근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박준성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손재규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미의병 | 13도창의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인영 | 13도창의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허위 | 13도창의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민긍호 | 13도창의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강년 | 13도창의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전봉준 | 13도창의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문태수 | 13도창의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미의병 | 남한대토벌작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항일의병운동 | 정미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항일의병운동 | 을사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항일의병운동 | 을미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각자료
영상
- PatriotYou, EBS 경술국치 100년 기억, 그리고 미래 1부 의병, YouTube, 작성일: 2010년 09월 02일.
주석
- ↑ "정미의병",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정미의병",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정미의병",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윤병석, "정미의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병석, "정미의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병석, "정미의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