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념정보 | {{개념정보 | ||
|사진=민족_일러_정부사업.png | |사진=민족_일러_정부사업.pn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대표명칭=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
|한자표기= | |한자표기=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976년부터 2년간 시행된 특별 식수(植樹) | + | 1976년부터 2년간 시행된 특별 식수(植樹)운동이다.<ref>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 230쪽.</ref> |
=='''내용'''== | =='''내용'''== | ||
===배경=== | ===배경=== | ||
− | [[새마을운동]]과 연계된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시행 등으로 산림녹화운동이 절정에 달했던 | + | 1976년은 [[새마을운동]]과 연계된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시행 등으로 산림녹화운동이 절정에 달했던 해였다. 당시 [[새마을운동]] 본부 및 [[산림청]]은 마을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특별 식수운동을 전개하였다. 마을 별로 남아 있는 흙이 붉게 드러난 민둥산을 없애는 것이 목적이었다. |
===시행 및 성과=== | ===시행 및 성과=== | ||
− | [[산림청]]은 | + | 1976년 3월 20일, [[산림청]]은 매년 3월 21일부터 4월 20일로 정해진 주민 식수기간에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을 전개하도록 각 시, 도에 지시하였다.<br/> |
− | 또한 이 지시에서 마을 주변 1km 내외의 토착지, 포착지, 절개지를 | + | 또한 이 지시에서 마을 주변 1km 내외의 토착지, 포착지, 절개지를 완전히 없애고, 중앙과 각 시,도 및 영림서에 국민식수추진본부를, 시,도,군,면에는 조림상담실을 설치하여 조림작업을 지휘하는 한편 그 실적과 상황을 종합 보고하도록 하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032000329207010&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03-20&officeId=00032&pageNo=7&printNo=9378&publishType=00020 山林廳(산림청)계획 5億(억)여그루 植樹(식수)]",『경향신문』, 1976년 3월 20일.</ref><br/> |
1977년 2월 21일까지 350ha 면적의 식수(植樹)에 성공하였으며<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22100209207033&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2-21&officeId=00020&pageNo=7&printNo=17042&publishType=00020 部處別(부처별) 중점시책]",『동아일보』, 1977년 2월 21일.</ref>, 정부 주도가 아닌 마을 주민들이 자진해서 나무를 심은 모범사례가 되었다.<ref>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 230쪽.</ref> | 1977년 2월 21일까지 350ha 면적의 식수(植樹)에 성공하였으며<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022100209207033&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2-21&officeId=00020&pageNo=7&printNo=17042&publishType=00020 部處別(부처별) 중점시책]",『동아일보』, 1977년 2월 21일.</ref>, 정부 주도가 아닌 마을 주민들이 자진해서 나무를 심은 모범사례가 되었다.<ref>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 230쪽.</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4/C064.htm "무진장조림단지"(정영렬)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62번째 줄: | 63번째 줄: | ||
#*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 | #*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분류:민족/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19일 (일) 10:53 판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
|
대표명칭 |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
유형 | 제도 |
관련개념 |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새마을운동 |
목차
정의
1976년부터 2년간 시행된 특별 식수(植樹)운동이다.[1]
내용
배경
1976년은 새마을운동과 연계된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시행 등으로 산림녹화운동이 절정에 달했던 해였다. 당시 새마을운동 본부 및 산림청은 마을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특별 식수운동을 전개하였다. 마을 별로 남아 있는 흙이 붉게 드러난 민둥산을 없애는 것이 목적이었다.
시행 및 성과
1976년 3월 20일, 산림청은 매년 3월 21일부터 4월 20일로 정해진 주민 식수기간에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을 전개하도록 각 시, 도에 지시하였다.
또한 이 지시에서 마을 주변 1km 내외의 토착지, 포착지, 절개지를 완전히 없애고, 중앙과 각 시,도 및 영림서에 국민식수추진본부를, 시,도,군,면에는 조림상담실을 설치하여 조림작업을 지휘하는 한편 그 실적과 상황을 종합 보고하도록 하였다.[2]
1977년 2월 21일까지 350ha 면적의 식수(植樹)에 성공하였으며[3], 정부 주도가 아닌 마을 주민들이 자진해서 나무를 심은 모범사례가 되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산림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새마을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사방사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977호-헐벗은 산에 나무를 심자(게시일: 2016년 12월 7일)
주석
- ↑ 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 230쪽.
- ↑ "山林廳(산림청)계획 5億(억)여그루 植樹(식수)",『경향신문』, 1976년 3월 20일.
- ↑ "部處別(부처별) 중점시책",『동아일보』, 1977년 2월 21일.
- ↑ 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 23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山林廳(산림청)계획 5億(억)여그루 植樹(식수)",『경향신문』, 1976년 3월 20일.
- "部處別(부처별) 중점시책",『동아일보』, 1977년 2월 21일.
- 단행본
- 이경준 외,『한국의 산림녹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