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초조대장경]]을 보완하기 위해 대각국사 [[의천]] | + | [[초조대장경]]을 보완하기 위해 대각국사 [[의천]]이 1091년([[고려 선종]] 8)부터 1102년([[고려 숙종]] 7)까지 조성한 불경이다. |
=='''내용'''== | =='''내용'''== | ||
− |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 유학 중 장소(章疏) | + |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 유학 중 장소(章疏) 3,000천여 권을 수집해 귀국한 뒤 이를 더욱 보강하여 1090년 경 엮어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을 바탕으로 삼았다. [[흥왕사]]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설치한 뒤 이 목록을 근거로 1091년 경 조성을 시작하여 1102경에 이르기까지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계속되었다.<ref>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ref> 그러나 이 교장의 판목은 1232년(고종 19) 몽골군의 침입으로 흥왕사와 함께 소실되어, 현재는 일본의 [[일본 동대사|동대사]](東大寺) 도서관 등에 인본(印本)이 일부 보관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조선 초에 중수·간행된 것이 순천(順天) [[순천 송광사|송광사]](松廣寺)에 전해오고 있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752&cid=42957&categoryId=42957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3/C023.htm "고려대장경"(최대섭)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92번째 줄: | 93번째 줄: | ||
#웹자원 | #웹자원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752&cid=42957&categoryId=42957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8752&cid=42957&categoryId=42957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560 교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560 교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2월 9일.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19일 (일) 09:07 판
교장 (敎藏) |
|
대표명칭 | 교장 |
---|---|
한자표기 | 敎藏 |
이칭 | 속장경(續藏經) |
유형 | 유물 |
시대 | 고려 |
소장처 | 전남 순천 송광사 |
관련인물 | 의천 |
관련장소 | 동대사(東大寺) |
관련유물유적 | 초조대장경,재조대장경 |
|
목차
정의
초조대장경을 보완하기 위해 대각국사 의천이 1091년(고려 선종 8)부터 1102년(고려 숙종 7)까지 조성한 불경이다.
내용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 유학 중 장소(章疏) 3,000천여 권을 수집해 귀국한 뒤 이를 더욱 보강하여 1090년 경 엮어낸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을 바탕으로 삼았다. 흥왕사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설치한 뒤 이 목록을 근거로 1091년 경 조성을 시작하여 1102경에 이르기까지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계속되었다.[1] 그러나 이 교장의 판목은 1232년(고종 19) 몽골군의 침입으로 흥왕사와 함께 소실되어, 현재는 일본의 동대사(東大寺) 도서관 등에 인본(印本)이 일부 보관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조선 초에 중수·간행된 것이 순천(順天) 송광사(松廣寺)에 전해오고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대섭-고려대장경 | 고려대장경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고려대장경 | 재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고려대장경 | 초조대장경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고려대장경 | 교장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
의천 | 신편제종교장총록 | A는 B를 간행하였다 | A dcterms:publisher B |
의천 | 교장 | A는 B를 간행하였다 | A dcterms:publisher B |
교장 | 신편제종교장총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교장 | 순천 송광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교장 | 일본 동대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090년 | 의천이 신편제교장총록을 조성하였다. |
1091년-1102년 | 의천이 교장을 조성하였다. |
1232년 | 교장이 몽고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002107 | 127.275970 | 교장은 순천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 59쪽.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속장경",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상상,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