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분류:역인초/지선문맥제안)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분류: | + | {{인물정보 |
+ | |사진= |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유숙 | ||
+ | |한자표기=劉淑 | ||
+ | |영문명칭= | ||
+ | |본관=한양(漢陽) | ||
+ | |이칭= | ||
+ | |시호= | ||
+ | |호=혜산(蕙山) | ||
+ | |자=선영(善永), 야군(野君) | ||
+ | |생년=1827(순조 27) | ||
+ | |몰년=1873(고종10) | ||
+ | |출생지= | ||
+ | |사망지= | ||
+ | |시대=조선 | ||
+ | |국적= | ||
+ | |대표저서= | ||
+ | |대표직함= | ||
+ | |배우자= | ||
+ | |부= | ||
+ | |모= | ||
+ | |자녀= | ||
+ | |전임자= | ||
+ | |후임자= | ||
+ | |상훈= | ||
+ | |능묘= | ||
+ | |성격= | ||
+ | |유형= | ||
+ | }} | ||
+ | |||
+ | =='''정의'''== | ||
+ | 조선 말기의 화가. | ||
+ | |||
+ | =='''내용'''== | ||
+ | 도화서(圖畵署) 화원으로 사과(司果) 벼슬을 역임하였다. 1852년([[조선 철종|철종]] 3)과 1861년 [[철종 어진|철종어진(哲宗御眞)]] 제작에 참여하였고 1872년([[조선 고종|고종]] 9) 고종어진도사(高宗御眞圖寫)의 수종화사(隨從畵師)로 종사하였다. 『[[예림갑을록|예림갑을록(藝林甲乙錄)]]』에 의하면, 유숙은 [[전기|전기(田琦)]], [[김수철|김수철(金秀哲)]], [[이한철|이한철(李漢喆)]], [[유재소|유재소(劉在韶)]], [[박인석|박인석(朴寅碩)]] 등 당대의 화가들과 교유하며 [[김정희|김정희(金正喜)]]의 지도를 받았던 인물이었다. 또한 그는 [[벽오사|벽오사(碧梧社)]]라는 중인 시사 모임의 일원이었다. [[벽오사]]는 1847년 [[유최진|유최진(柳最鎭)]]의 집 벽오당에서 만들어진 여항문인들의 모임으로, 여기에 유숙을 비롯하여 [[전기]], [[유재소]]와 같은 화가들도 참여하여 그림을 그렸다.<ref>박광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376 최석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작품=== | ||
+ | *[[무후대불도|무후대불도(武后大佛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 | *[[화외소거도|화외소거도(花外小車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 | *[[벽오사소집도|벽오사소집도(碧梧社小集圖)]](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오로화첩(五老畵帖)』(1861)) | ||
+ | *[[철종 어진]](국립고궁박물관 소장, 1861) | ||
+ |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869, 보물 제1499-1호) | ||
+ |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869, 보물 제1499-1호) | ||
+ |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869, 보물 제1499-1호) | ||
+ | |||
+ | =='''지식관계망'''== | ||
+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유숙]] || [[전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유숙]] || [[김수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유숙]] || [[이한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유숙]] || [[유재소]]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유숙]] || [[박인석]]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김정희]] || [[유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벽오사]] || [[유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 [[유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 [[유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 [[유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박광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376 최석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7349&cid=40942&categoryId=33383 최석정]",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online</online></html>. | ||
+ | *신병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6678&cid=59015&categoryId=59015 최석정]", 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캐스트』<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 | [[분류:인물]] |
2017년 11월 16일 (목) 00:55 판
유숙(劉淑) | |
대표명칭 | 유숙 |
---|---|
한자표기 | 劉淑 |
생몰년 | 1827(순조 27)-1873(고종10) |
본관 | 한양(漢陽) |
호 | 혜산(蕙山) |
자 | 선영(善永), 야군(野君) |
시대 | 조선 |
정의
조선 말기의 화가.
내용
도화서(圖畵署) 화원으로 사과(司果) 벼슬을 역임하였다. 1852년(철종 3)과 1861년 철종어진(哲宗御眞) 제작에 참여하였고 1872년(고종 9) 고종어진도사(高宗御眞圖寫)의 수종화사(隨從畵師)로 종사하였다. 『예림갑을록(藝林甲乙錄)』에 의하면, 유숙은 전기(田琦), 김수철(金秀哲), 이한철(李漢喆), 유재소(劉在韶), 박인석(朴寅碩) 등 당대의 화가들과 교유하며 김정희(金正喜)의 지도를 받았던 인물이었다. 또한 그는 벽오사(碧梧社)라는 중인 시사 모임의 일원이었다. 벽오사는 1847년 유최진(柳最鎭)의 집 벽오당에서 만들어진 여항문인들의 모임으로, 여기에 유숙을 비롯하여 전기, 유재소와 같은 화가들도 참여하여 그림을 그렸다.[1]
작품
- 무후대불도(武后大佛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화외소거도(花外小車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벽오사소집도(碧梧社小集圖)(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오로화첩(五老畵帖)』(1861))
- 철종 어진(국립고궁박물관 소장, 1861)
-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869, 보물 제1499-1호)
-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869, 보물 제1499-1호)
-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서울역사박물관 소장, 1869, 보물 제1499-1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유숙 | 전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유숙 | 김수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유숙 | 이한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유숙 | 유재소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유숙 | 박인석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김정희 | 유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벽오사 | 유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이하응 초상(흑단령포본) | 유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이하응 초상(와룡관학창의본) | 유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이하응 초상(금관조복본) | 유숙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