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정지상 |한자표기= 鄭知常 |영문명칭= |본관= |이칭= |시호= |호= |자= |생년= ? |몰년= 1135년 |출생...)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시대= 고려시대 | |시대= 고려시대 | ||
|국적= 고려 | |국적= 고려 | ||
− | |대표저서= 신설(新雪), 향연치어(鄕宴致語), 백률사(栢律寺), 서루(西樓) | + | |대표저서= 신설(新雪), 향연치어(鄕宴致語), 백률사(栢律寺), 서루(西樓), 정사간집(鄭司諫集) |
|대표직함= | |대표직함= | ||
|배우자= | |배우자=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서경 출신으로 초명은 정지원(鄭之元)이며, 호는 남호(南湖)이다. | + | 서경 출신으로 초명은 정지원(鄭之元)이며, 호는 남호(南湖)이다.<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946 정지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서울을 서경으로 옮길 것을 주장해, [[김부식|김부식(金富軾)]]을 중심으로 한 유교적·사대적인 성향이 강하던 개경 세력과 대립하였다. 서경을 거점으로 [[묘청|묘청(妙淸)]] 등이 난을 일으키자, 적극 가담해 금나라를 정벌하자고 주장하며 칭제건원(稱帝建元)을 하였다. 그러나 개경 세력의 [[김부식]]이 이끄는 토벌군에게 패해 개경에서 참살되었다.[ | + | 서울을 서경으로 옮길 것을 주장해, [[김부식|김부식(金富軾)]]을 중심으로 한 유교적·사대적인 성향이 강하던 개경 세력과 대립하였다. 서경을 거점으로 [[묘청|묘청(妙淸)]] 등이 난을 일으키자, 적극 가담해 금나라를 정벌하자고 주장하며 칭제건원(稱帝建元)을 하였다. 그러나 개경 세력의 [[김부식]]이 이끄는 토벌군에게 패해 개경에서 참살되었다.<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946 정지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시(詩)에 뛰어나 고려 열 두 시인의 한 사람으로 꼽혔으며 역학(易學)·불전(佛典)·노장철학(老莊哲學)에도 조예가 깊었다. 그림·글씨에도 능했으며 저서로는 『정사간집(鄭司諫集)』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8642 정지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작품으로는 『동문선(東文選)』에 「신설(新雪)」·「향연치어(鄕宴致語)」가, 『동경잡기(東京雜記)』에 「백률사(栢律寺)」·「서루(西樓)」등이 전하며, 『정사간집(鄭司諫集)』·『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에도 시 몇 수가 실려 있다.<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946 정지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작품으로는 『동문선(東文選)』에 「신설(新雪)」·「향연치어(鄕宴致語)」가, 『동경잡기(東京雜記)』에 「백률사(栢律寺)」·「서루(西樓)」등이 전하며, 『정사간집(鄭司諫集)』·『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에도 시 몇 수가 실려 있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57번째 줄: | 56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웹자원 | *웹자원 | ||
− | + | ** 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946 정지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8642 정지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2017년 11월 14일 (화) 18:44 판
정지상(鄭知常) | |
대표명칭 | 정지상 |
---|---|
한자표기 | 鄭知常 |
생몰년 | ?-1135년 |
출생지 | 서경(西京) |
시대 | 고려시대 |
국적 | 고려 |
대표저서 | 신설(新雪), 향연치어(鄕宴致語), 백률사(栢律寺), 서루(西樓), 정사간집(鄭司諫集) |
정의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서경 출신으로 초명은 정지원(鄭之元)이며, 호는 남호(南湖)이다.[1]
서울을 서경으로 옮길 것을 주장해, 김부식(金富軾)을 중심으로 한 유교적·사대적인 성향이 강하던 개경 세력과 대립하였다. 서경을 거점으로 묘청(妙淸) 등이 난을 일으키자, 적극 가담해 금나라를 정벌하자고 주장하며 칭제건원(稱帝建元)을 하였다. 그러나 개경 세력의 김부식이 이끄는 토벌군에게 패해 개경에서 참살되었다.[2]
시(詩)에 뛰어나 고려 열 두 시인의 한 사람으로 꼽혔으며 역학(易學)·불전(佛典)·노장철학(老莊哲學)에도 조예가 깊었다. 그림·글씨에도 능했으며 저서로는 『정사간집(鄭司諫集)』이 있다.[3]
작품으로는 『동문선(東文選)』에 「신설(新雪)」·「향연치어(鄕宴致語)」가, 『동경잡기(東京雜記)』에 「백률사(栢律寺)」·「서루(西樓)」등이 전하며, 『정사간집(鄭司諫集)』·『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에도 시 몇 수가 실려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지상 | 묘청의 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민병하, "정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병하, "정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지상",
『두산백과』online . - ↑ 민병하, "정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