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잔글
33번째 줄: 33번째 줄:
 
[[조선 광해군|광해군]],  [[조선 인조|인조]]시기 무신이다.
 
[[조선 광해군|광해군]],  [[조선 인조|인조]]시기 무신이다.
 
=='''내용'''==
 
=='''내용'''==
===[[이서]]집안에 대해서 ===
+
===[[이서]]집안에 대해서 ===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임숙(任叔), 호는 월봉(月峰)이다. [[효령대군|효령대군(孝寧大君)]]의 7대손이며 풍덕군수 [[이광윤|이광윤(李光胤)]]의 중손이다. 할아버지는 위장(衛將) 이간(李幹)이며 아버지는 목사 완령부원군(完寧府院君) [[이경록|이경록(李慶祿)]]이며, 어머니는 감찰 [[이학증|이학증(李學曾)]]의 딸이다.<ref> 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650 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 중앙연구원.</ref>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임숙(任叔), 호는 월봉(月峰)이다. [[효령대군|효령대군(孝寧大君)]]의 7대손이며 풍덕군수 [[이광윤|이광윤(李光胤)]]의 중손이다. 할아버지는 위장(衛將) 이간(李幹)이며 아버지는 목사 완령부원군(完寧府院君) [[이경록|이경록(李慶祿)]]이며, 어머니는 감찰 [[이학증|이학증(李學曾)]]의 딸이다.<ref> 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650 이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 중앙연구원.</ref>
  

2017년 11월 12일 (일) 00:44 판

이서(李曙)
대표명칭 이서
한자표기 李曙
생몰년 1580년-1637년
본관 전주
사망지 남한산성
시대 조선시대
국적 조선
대표저서 화포식언해, 마경언해
대표직함 어영제조
이경록(李慶祿)
상훈 정국공신
성격 무신
유형 인물



정의

광해군, 인조시기 무신이다.

내용

이서의 집안에 대해서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임숙(任叔), 호는 월봉(月峰)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의 7대손이며 풍덕군수 이광윤(李光胤)의 중손이다. 할아버지는 위장(衛將) 이간(李幹)이며 아버지는 목사 완령부원군(完寧府院君) 이경록(李慶祿)이며, 어머니는 감찰 이학증(李學曾)의 딸이다.[2]

광해군시기 이서의 활동

1603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시작하여 행사용(行司勇)·진도군수 등을 지냈다. [3]그후 1611년 남포 현감에 임명되었으나 형벌을 엄하게 하여 백성들이 힘들게 하고, 과부와 정을 통하였다는 상소를 받아 파직 당했다.[4]그러나 1년 후에는 다시 복직되어 장련 현감이 되었으며, [5]1615년(광해군 7)년에는 곡산 군수가 되었다. 하지만 대신들이 그럴 능력이 안된다고 상소하는 일이 있었으나 파직되는 일이 없었으며 오히려 광해군의 인정을 받아 1616년(광해군 8)에는 호랑이를 잡은 공으로 가선대부의 작위를 받았다.[6] 2년 후 1617년(광해군 9)에는 한 포도 대장이, 공로가 많은 부장 고대근이 포상을 받지 못했다고 논상을 청하였다. 당시 고대근의 종사관 이었던 이서의 공적도 들어나 포상을 받게 되었다. [7] 1618년(광해군 10) 대북파에서 폐모론이 일어나자 무인으로는 유일하게 이서만 동조하지 않아 대북파와 다른 정치적 입장을 보였으며 [8] 1621년에는 장단 부사에 임명되었다.

인조시기 이서의 활동

1623년 김류, 이귀와 함께 의거를 공모하였고, 이괄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인조반정을 일으키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 공로로 이서은 호조 판서에 올랐다. [9] 이후 이서는 호조판서에 임명되었고 정국 공신에 임명된다. 1624년 공신 녹훈에 불만을 품은 이괄은 반란을 일으키자, 이서는 경기 관찰사로서 이괄을 추격하는데 실패하였다. 그 여파로 관직에서 파직이 되나 다시 복직되어 완풍군이란 작위를 받는다. 그 해 인조에게 여러가지 군사 재편과 전략을 건의하였으며 남한산성 형세에 대해서 보고하였다. 남한산성을 쌓는데 필요성을 주장하고 산성을 증축하였다. 1628년에는 형조판서가 되었고, 1632년에는 공조판서가 되어 각처에 산성을 쌓아서 청나라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1634년에는 판 의금부사를 겸하고, 1636년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인조를 호위하여 남한산성에서 청나라군과 대치하다가 과로로 병사했다.[10] 주요 저작으론 화포식언해 마경언해 신전자취염초방등이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효령대군 이경록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이경록 이서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경록 이경록 처 덕수 이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이경록 처 덕수 이씨 이서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학증 이경록 처 덕수 이씨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ther B
광해군 이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반정 조선 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반정 이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반정 이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조반정 이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괄의 난 이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괄의 난 이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괄의 난 장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남한산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조선 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이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남한산성 이서 A는 B에 의해 중건되었다 A ekc:renovator B
화포식언해 이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마경초집언해 이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났을때 이서는 참여하였다.
1624년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이서는 반란군을 토벌 하려다가 실패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서 싸우다 병사했다

주석

  1. 차용걸, "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차용걸, "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 중앙연구원.
  3. 차용걸, "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사헌부에서 임숙영의 용납과 남포 현감 이서의 포학을 논하니 이서를 파직하게 하다", 『광해군일기(정초본)』 39권, 광해 3년(1611) 3월 22일 임술,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이후·이서·임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광해군일기(정초본)』 51권, 광해 4년(1612) 3월 10일 갑진,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곡산 군수 이서, 경기 감사 안응형 등의 자급을 더해 주다", 『광해군일기(정초본)』 104권, 광해 8년(1616) 6월 2일 신축,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포도 대장이, 공로가 많은데도 은전을 못받은 고대근의 논상을 청하다", 『광해군일기(정초본)』 119권, 광해 9년(1617) 9월 11일 계유,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8. 차용걸, "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이서·정홍익·민여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인조실록』 1권, 인조 1년(1623) 3월 17일 정미,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0. 차용걸, "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사료
    • 『광해군일기(정초본)』 39권, 온라인 참조: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광해군일기(정초본)』 51권, 온라인 참조: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광해군일기(정초본)』 104권, 온라인 참조: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광해군일기(정초본)』 119권, 온라인 참조: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인조실록』 1권, 온라인 참조: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웹자원
    • 차용걸, "이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 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