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 칠백의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 민족기록화_유물유적_금산 칠백의총.jpg
 
|사진= 민족기록화_유물유적_금산 칠백의총.jpg
|사진출처=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사진출처=  
 
|대표명칭= 금산 칠백의총   
 
|대표명칭= 금산 칠백의총   
 
|한자표기= 錦山 七百義塚   
 
|한자표기= 錦山 七百義塚   
51번째 줄: 51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파일:민족기록화_유물유적_금산 칠백의총.jpg|[[금산 칠백의총]]<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유물유적_금산 칠백의총.jpg|[[금산 칠백의총]]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선생일군순의비.jpg|1603년에 시워진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重峯趙憲先生一軍殉義碑)<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선생일군순의비.jpg|1603년에 시워진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重峯趙憲先生一軍殉義碑)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선생일군순의비요약.jpg|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 요약<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선생일군순의비요약.jpg|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 요약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jpg |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의 파비가 보존된 순의비각<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jpg |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의 파비가 보존된 순의비각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중봉선생일군순의비_안내문.jpg |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 안내판<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중봉선생일군순의비_안내문.jpg |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 안내판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2.jpg|순의비 모습<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2.jpg|순의비 모습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_현판.jpg | 순의비각 현판<ref>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_현판.jpg | 순의비각 현판
 
</gallery>
 
</gallery>
  

2017년 11월 9일 (목) 17:51 판

금산 칠백의총
(錦山 七百義塚)
민족기록화 유물유적 금산 칠백의총.jpg
대표명칭 금산 칠백의총
한자표기 錦山 七百義塚
이칭 칠백의총
유형 유적
시대 조선
지정번호 사적 제105호
지정일 1963년 01월 21일
소장처 충남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
관련인물 조헌, 영규
관련장소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정의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의병장 조헌을 비롯한 700의사의 유골을 안치한 무덤.

내용

1592년(선조 25) 8월 18일의 2차 금산전투에서 조헌의 700 의병과 영규대사 등 700인의 의사가 금산에서 순절하자, 4일 후인 22일 조헌의 제자 박정량(朴廷亮), 전승업(全承業) 등이 유골을 모아 하나의 큰 무덤을 만들고 이를 '칠백의총'이라 하였다.
그러나, 그동안 불교계에서는 조선 시대 뿌리 깊은 배불(排佛)정책으로 인해 승장 영규와 8백 명의 승군은 금산 칠백의총에 함께 묻히지 못했다고 주장해왔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금산 칠백의총 2차 금산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금산 칠백의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규 금산 칠백의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금산 칠백의총 금산 칠백의총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금산 칠백의총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KTV 대한뉴스] 대한뉴스 제 1101호-박정희 대통령, 칠백의총 시찰(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OPEN TV] [반만년의 역경을 이겨낸 한민족의 역사 현장]금산 칠백의총 (사적 제105호)(게시일: 2016년 2월 12일)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