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명항선생 토적송공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유물유적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오명항선생 토적송공비 |한자표기=吳命恒先生討賊頌功碑 |영문명칭= |이칭= |유형=유적 |시대=...) |
(→내용)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운 오명항(吳命恒)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790000,31&flag=Y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오명항이 죽은 뒤 16년이 지난 1744년(영조 20)에 안성의 군관민이 세웠다. <ref>정진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232 오명항선생 토적송공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1978년 11월 10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되었다. 총높이 309㎝, 비 높이 214㎝, 너비 93㎝, 두께 29㎝이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3142&cid=40942&categoryId=33383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앞면은 이인좌의 난 토벌 당시 그의 종사관이었던 우의정 조현명(趙顯明)과 병조판서 박문수(朴文秀)가 글을 짓고 글씨를 썼으며, 전액(篆額)은 대제학 이광덕(李匡德)이 썼다. 전액에는 ‘조선국사로도순무사오공안성토적송덕공비(朝鮮國四路都巡撫使吳公安城討賊頌德功碑)’라 되어 있다. 뒷면에는 이인좌의 난 때 토벌을 위하여 동원된 장령(將領)들과 사졸(士卒) 및 인원의 인적사항이 병조판서 김시경(金始烱)의 글씨로 새겨져 있고, 우측면에는 군수 민제장(閔濟章)을 비롯하여 공을 세운 안성관원의 명단이 있다.<ref>정진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232 오명항선생 토적송공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2017년 11월 9일 (목) 14:10 판
오명항선생 토적송공비 (吳命恒先生討賊頌功碑) |
|
대표명칭 | 오명항선생 토적송공비 |
---|---|
한자표기 | 吳命恒先生討賊頌功碑 |
유형 | 유적 |
시대 | 조선 |
지정번호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9호 |
지정일 | 1978년 11월 10일 |
소장처 | 경기 안성시 낙원동 609번지 |
관련인물 | 오명항, 박문수 |
|
정의
조선 후기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운 문신 오명항의 업적 기념비.
내용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운 오명항(吳命恒)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1] 오명항이 죽은 뒤 16년이 지난 1744년(영조 20)에 안성의 군관민이 세웠다. [2]
1978년 11월 10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되었다. 총높이 309㎝, 비 높이 214㎝, 너비 93㎝, 두께 29㎝이다. [3]
앞면은 이인좌의 난 토벌 당시 그의 종사관이었던 우의정 조현명(趙顯明)과 병조판서 박문수(朴文秀)가 글을 짓고 글씨를 썼으며, 전액(篆額)은 대제학 이광덕(李匡德)이 썼다. 전액에는 ‘조선국사로도순무사오공안성토적송덕공비(朝鮮國四路都巡撫使吳公安城討賊頌德功碑)’라 되어 있다. 뒷면에는 이인좌의 난 때 토벌을 위하여 동원된 장령(將領)들과 사졸(士卒) 및 인원의 인적사항이 병조판서 김시경(金始烱)의 글씨로 새겨져 있고, 우측면에는 군수 민제장(閔濟章)을 비롯하여 공을 세운 안성관원의 명단이 있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여수 진남관 | 이시언 | A는 B를 건설하였다 | A ekc:constructor B |
여수 진남관 | 통영 세병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여수 진남관 | 이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정진각, "오명항선생 토적송공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정진각, "오명항선생 토적송공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여수 진남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여수 전라좌수영 진남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돌베개, 2008. 온라인 참조: "진남관", 답사여행의 길잡이: 한려수도와 제주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더 읽을 거리
- 주남철, "여수 진남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