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황사화쟁국사비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위도= 35.840911 | |위도= 35.840911 | ||
|수량= | |수량= | ||
− | |관련인물= | + | |관련인물= [[원효|원효(元曉)]]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경주 분황사|경주 분황사(慶州 芬皇寺)]] | |관련장소= [[경주 분황사|경주 분황사(慶州 芬皇寺)]]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 +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경주 분황사|분황사(芬皇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 대좌. |
=='''내용'''== | =='''내용'''== | ||
+ | 크기는 높이 60㎝, 가로 100㎝, 세로 40㎝이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로 지정되었고, 상대·중대·하대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ref>이강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898 분황사 화쟁국사 비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경주 분황사|분황사(芬皇寺)]] 내의 우물 옆에 놓여 있는 것으로, [[원효|원효대사(元曉大師)]]를 기리는 비의 받침돌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970000,37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낮은 직육면체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네 모서리가 떨어져 나가 많이 훼손되었다. 윗면에는 비를 꽂아두기 위한 홈이 파 놓았고, 옆면에는 옅은 안상(眼象)을 새겼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970000,37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고려 명종]] 때에도 [[경주 분황사|분황사]]에 화쟁국사비(和諍國師碑)를 세웠다고 전해지지만, 오늘날에는 남아 있지 않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0620 원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한문준|한문준(韓文俊)]]이 건립한 [[화쟁국사비|화쟁국사비(和諍國師碑)]]가 세워진 경위는 [[원효|원효대사]]를 위한 비석이나 시호(諡號)가 없음을 애석하게 여긴 왕이 ‘대성화쟁국사(大聖和諍國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비석을 세우도록 한 것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970000,37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오랫동안 방치되어 오다가 [[김정희|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절 근처에서 발견하였고,<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970000,37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를 확인하는 '차신라화쟁국사지비적(此新羅和諍國師之碑蹟)'<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2801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이라는 글귀를 받침돌에 새겨두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970000,37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31번째 줄: | 41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 +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김정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 | +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화쟁국사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화쟁국사비]] || [[원효]]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 | +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화쟁국사비]]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 ||
50번째 줄: | 56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웹자원 | *웹자원 | ||
−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2801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0620 원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970000,37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이강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898 분황사 화쟁국사 비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문화유산]] |
2017년 11월 8일 (수) 22:09 판
분황사화쟁국사비부 (芬皇寺和諍國師碑趺) |
|
대표명칭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
한자표기 | 芬皇寺和諍國師碑趺 |
시대 | 고려시대 |
지정번호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 |
지정일 | 1979년 01월 25일 |
소장처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3 분황사 |
관련인물 | 원효(元曉) |
관련장소 | 경주 분황사(慶州 芬皇寺) |
|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분황사(芬皇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 대좌.
내용
크기는 높이 60㎝, 가로 100㎝, 세로 40㎝이며,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로 지정되었고, 상대·중대·하대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1]
분황사(芬皇寺) 내의 우물 옆에 놓여 있는 것으로, 원효대사(元曉大師)를 기리는 비의 받침돌이다.[2]
낮은 직육면체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네 모서리가 떨어져 나가 많이 훼손되었다. 윗면에는 비를 꽂아두기 위한 홈이 파 놓았고, 옆면에는 옅은 안상(眼象)을 새겼다.[3]
고려 명종 때에도 분황사에 화쟁국사비(和諍國師碑)를 세웠다고 전해지지만, 오늘날에는 남아 있지 않다.[4]
한문준(韓文俊)이 건립한 화쟁국사비(和諍國師碑)가 세워진 경위는 원효대사를 위한 비석이나 시호(諡號)가 없음을 애석하게 여긴 왕이 ‘대성화쟁국사(大聖和諍國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비석을 세우도록 한 것이다.[5]
오랫동안 방치되어 오다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절 근처에서 발견하였고,[6] 이를 확인하는 '차신라화쟁국사지비적(此新羅和諍國師之碑蹟)'[7]이라는 글귀를 받침돌에 새겨두었다.[8]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김정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화쟁국사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화쟁국사비 | 원효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 화쟁국사비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주석
- ↑ 이강근, "분황사 화쟁국사 비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효",
『두산백과』online .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두산백과』online .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두산백과』online . - "원효",
『두산백과』online . - "분황사화쟁국사비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이강근, "분황사 화쟁국사 비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분황사 화쟁국사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