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군통제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37번째 줄: 37번째 줄:
 
|-
 
|-
 
| [[수군통제사]] || [[삼도수군통제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수군통제사]] || [[삼도수군통제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수군통제사]] || [[이창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수군통제사]] || [[이억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2017년 11월 8일 (수) 16:50 판

수군통제사
(水軍統制使)
대표명칭 수군통제사
한자표기 水軍統制使
이칭 삼도통제사, 삼도수군통제사, 통곤(統閫)
유형 제도
관련개념 수군절도사



정의

조선 중기에 신설된 종2품 서반 관직.[1]

내용

삼도통제사·삼도수군통제사 또는 통곤(統閫)이라고도 한다. 경상·전라·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 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이다.[2]

조선시대 임진왜란(壬辰倭亂) 중에 설치된 종이품(從二品) 서반 외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수군(水軍)의 총지휘관(總指揮官)으로 임진왜란 때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으로 하여금 경상(慶尙)·전라(全羅)·충청(忠淸) 삼도의 수군을 총지휘하게 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치한 군직(軍職)이다. 1593년(선조 26)에 처음으로 두었다.[3]

통제사는 정3품 수군절도사보다 상위직으로, 각 도의 지방행정의 최고직인 관찰사와는 같은 품계였으나, 그보다 상위 품계에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았다.[4] 2대 수군통제사는 원균(元均)이었고, 4대 통제사 이시언(李時言)부터는 거의 경상우수사가 겸직하였다. 엄격한 상피제(相避制)가 적용되었다.[5] 법제적으로 임기는 2년이었으나 이 기간은 거의 지켜지지 않았고, 중임되는 경우도 있었다.[6]

통제사가 지휘한 통제영(統制營)은 한산도에 최초로 두었는데, 초대 통제사 이순신의 본직이 전라좌수사였으므로 전라좌수영(지금의 여수시)이 첫 통제영이라는 견해도 있다. 임진왜란 뒤 통제영은 거제 오아포(烏兒浦)와 전라좌수영 등지로 옮겼다가 1604년 두룡포(豆龍浦 : 지금의 경상남도 통영시)로 옮겨 1895년(고종 32) 7월 폐영될 때까지 300여 년간 존치되었으며, 그 동안 208인의 통제사가 채임되었다.[7]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수군통제사 수군절도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군통제사 이순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군통제사 원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군통제사 삼도수군통제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군통제사 이창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수군통제사 이억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통제사",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수군통제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통제사",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통제사",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군통제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조성도, "수군통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