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속성은 김씨(金氏)이며 자는 무진(無盡), 호는 연파(蓮坡) 또는 아암(兒庵). 속명은 팔득(八得)이고 혜장(惠藏)은 법명이다.
+
===생애===
===출생 및 성장===
+
1850년 서울 삼청동에서 대대로 무관을 지낸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86년 무과에 급제하고 20년 넘게 관직에 종사하여, 칠곡군수와 정산군수를 역임한 뒤 종2품관까지 지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975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ref>허영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628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전라남도 해남 출신으로, 어려서 출가하여 [[해남 대둔사]](大芚寺:현 대흥사)의 [[월송화상|월송화상(月松和尙)]]으로부터 [[구족계]]를 받았다. 그 뒤 [[춘계|춘계(春溪)]]와 [[천묵|천묵(天默)]]으로부터 내전과 외전을 배우고, 당대의 대강사인 [[유일|유일(有一)]]과 [[정일|정일(鼎馹)]]로부터 불교공부를 계속하였다.<br/>27세 때 [[정암|정암(晶巖)]]의 밑에서 선리를 터득하여 [[문신|문신(文信)]]의 적손(嫡孫)이 되었고 30세 때 [[두륜대회|두륜대회頭輪大會]](두륜산내의 승려대회)를 주도하여 선(禪), 교(敎) 양종의 거목으로 인정받았다.
+
===화풍===
===정약용과의 교유===
+
채용신 화법의 특징은 극세필을 사용하여 얼굴의 육리문(肉理文) 묘사에 주력한 점, 많은 필선을 사용하여 요철·원근·명암 등을 표현한 점, 정장관복초상(正裝官服肖像)인 경우 주인공의 오른쪽 어깨 위 등쪽으로 두 개의 볼록한 주름 같은 모습(단추)이 있는 점, 콧대 등 얼굴의 뼈가 나온 부분을 하얗게 칠하여 백광(白光)을 주는 점, 주인공이 깔고 앉아 있는 화문석의 문양과 각도가 시대적으로 변한 점 등이다.<ref>허영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628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801년([[조선 순조|순조]] 1년) 전라도 강진에 유배된 [[정약용]]과 깊은 교우관계를 맺어 [[다산초당]]과 [[강진 백련사|백련사]]를 오가며 교류하였다.<br/>[[정약용]]은 [[혜장]]의의 비명(碑銘)에서, “『[[논어]]』 또는 율려(律呂)·성리(性理)의 깊은 뜻을 잘 알고 있어 유학의 대가나 다름없었다.”고 칭찬하였다.<br/>1811년 가을 [[두륜산|두륜산(頭輪山)]] 북암(北庵)에서 입적하였다. 제자에 [[색성|색성(賾性)]]·[[자굉|자굉(慈宏)]]·[[응언|응언(應彦)]]·[[법훈|법훈(法訓)]] 등이 있었으며, 모두 불교계의 거장이었다. 저서에는 『[[아암집]]』 3권이 있다.<ref>이재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30 혜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초상화===
 +
채용신은 70여점의 초상화를 남겼다.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고종 어진]](高宗 御眞), [[영조 어진]](英祖 御眞), [[황현 초상]](黃玹 肖像), 최익현 초상([[최익현 초상(모덕사)|청양 모덕사 소장본]],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최익현 초상(춘산영당)|화순 춘산영당 소장본]] 등) 등이 전해져 내려오며, 그 밖에도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김영상]](金永相), [[전우]](田愚), [[최치원]](崔致遠) 등의 초상과 「고종대한제국동가도(高宗大韓帝國動駕圖)」 등을 그렸다. 「운낭자이십칠세상(雲娘子二十七歲像)」, 「황장길부인상(黃長吉夫人像)」 등 여인상도 그렸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정약용과 저술"(정창섭) 지식관계망]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혜장]] || [[정약용]]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표준영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청양 모덕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화순 춘산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의순]] || [[혜장]]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 [[조선 고종]]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혜장]] || [[강진 백련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혜장]] || [[대둔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혜장]] || [[두륜대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영조 어진]] || [[조선 영조]]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혜장]] || [[아암집]]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
| [[영조 어진]] || [[조석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혜장]] || [[두륜산]] ||A는 B의 사망지이다 ||A edm:isRelatedTo B
+
| [[영조 어진]]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영조 어진]] ||  [[국립고궁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황현 초상]] || [[황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황현 초상]]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1801년 || [[혜장]]이 [[두륜대회]]를 주도하였다.
+
| [[1900년]] || [[영조 어진]] 이모본이 제작되었다.
 +
|-
 +
| 1901년 4월 || [[채용신]]이 고종 어진을 도사하였다.
 +
|-
 +
| 1905년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제작되었다.  
 
|-
 
|-
|1801년 || [[혜장]]이 [[정약용]]과 조우하였다.
+
| 1909년 || [[최익현 초상(모덕사)]]이 제작되었다.  
 
|-
 
|-
|1811년 || [[혜장]]이 [[두륜산]]에서 입적하였다.
+
| 1911년 4월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이 제작되었다.  
 
|-
 
|-
 +
|  1911년 5월 || [[황현 초상]]이 제작되었다.
 +
|-
 +
| 1987년 12월 26일  || [[영조 어진]]이 보물 제932호로 지정되었다.
 +
|-
 +
| 2006년 12월 29일 || [[황현 초상]]이 보물 제1494호로  지정되었다.
 +
|-
 +
| 2007년 2월 27일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보물 제1510호로 지정되었다.
 +
|-
 +
 
|}
 
|}
  
83번째 줄: 114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4.7406953 ||126.7047464|| [[설록다원강진]]은 [[혜장]]과 관련이 있다
+
| 36.4460330|| 127.0085530|| [[최익현 초상(모덕사)]]은 [[청양 모덕사]]에 소장되어 있다.
 
|-
 
|-
|34.578880 || 126.746931|| [[다산초당]]은 [[혜장]]과 관련이 있다
+
| 37.5238510|| 126.9804700||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34.587811 || 126.748251|| [[강진 백련사]][[혜장]]의 수행지였다
+
| 34.957749 || 126.977884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화순 춘산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
 
|-
|34.479307 || 126.619390 ||[[두륜산]]은 [[혜장]]의 사망지이다
+
| 37.5238510 || 126.9804700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37.5765660 ||126.9748840|| [[영조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html>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2/S0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갤러리===
 
===갤러리===
 
===영상===
 
===영상===
*'''U-남도여행길잡이 강진군-백련사(게시일: 2011년 2월 9일)'''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r5izySd1vb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주석'''==
 
=='''주석'''==
113번째 줄: 139번째 줄:
 
#*허영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628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허영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628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975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975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336 혜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B1%84%EC%9A%A9%EC%8B%A0&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03143 채용신]",<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인물검색』<sup>online</sup></online></html>, NAVER Corp.
#한보광,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89618&cid=42980&categoryId=42980 혜장]",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채용신", 『문화원형 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5906&cid=50826&categoryId=50826 채용신]", 문화원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인물]]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인물]]

2017년 11월 7일 (화) 19:24 판

채용신(蔡龍臣)
대표명칭 채용신
한자표기 蔡龍臣
생몰년 1850년-1941년
본관 평강(平康)
이칭 동근(東根)
석지(石芝),석강(石江),정산(定山)
대유(大有)
출생지 서울 삼청동
사망지 전북 정읍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국적 조선
대표저서 고종대한제국동가도,운낭자이십칠세상,황장길부인상
대표직함 칠곡군수,정산군수
채권영(蔡權永)
밀양 박씨(密陽 朴氏)
유형 화가



정의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에 걸쳐 활동했던 한국의 화가이다.[1]

내용

생애

1850년 서울 삼청동에서 대대로 무관을 지낸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86년 무과에 급제하고 20년 넘게 관직에 종사하여, 칠곡군수와 정산군수를 역임한 뒤 종2품관까지 지냈다.[2][3]

화풍

채용신 화법의 특징은 극세필을 사용하여 얼굴의 육리문(肉理文) 묘사에 주력한 점, 많은 필선을 사용하여 요철·원근·명암 등을 표현한 점, 정장관복초상(正裝官服肖像)인 경우 주인공의 오른쪽 어깨 위 등쪽으로 두 개의 볼록한 주름 같은 모습(단추)이 있는 점, 콧대 등 얼굴의 뼈가 나온 부분을 하얗게 칠하여 백광(白光)을 주는 점, 주인공이 깔고 앉아 있는 화문석의 문양과 각도가 시대적으로 변한 점 등이다.[4]

초상화

채용신은 70여점의 초상화를 남겼다. 고종 어진(高宗 御眞), 영조 어진(英祖 御眞), 황현 초상(黃玹 肖像), 최익현 초상(청양 모덕사 소장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화순 춘산영당 소장본 등) 등이 전해져 내려오며, 그 밖에도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김영상(金永相), 전우(田愚), 최치원(崔致遠) 등의 초상과 「고종대한제국동가도(高宗大韓帝國動駕圖)」 등을 그렸다. 「운낭자이십칠세상(雲娘子二十七歲像)」, 「황장길부인상(黃長吉夫人像)」 등 여인상도 그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익현 초상(모덕사) 표준영정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최익현 초상(모덕사) 최익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최익현 초상(모덕사) 채용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익현 초상(모덕사) 청양 모덕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최익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채용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최익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채용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화순 춘산영당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조선 고종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채용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조 어진 조선 영조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영조 어진 조석진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영조 어진 채용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영조 어진 국립고궁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황현 초상 황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황현 초상 채용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00년 영조 어진 이모본이 제작되었다.
1901년 4월 채용신이 고종 어진을 도사하였다.
1905년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제작되었다.
1909년 최익현 초상(모덕사)이 제작되었다.
1911년 4월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이 제작되었다.
1911년 5월 황현 초상이 제작되었다.
1987년 12월 26일 영조 어진이 보물 제932호로 지정되었다.
2006년 12월 29일 황현 초상이 보물 제1494호로 지정되었다.
2007년 2월 27일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보물 제1510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4460330 127.0085530 최익현 초상(모덕사)청양 모덕사에 소장되어 있다.
37.5238510 126.9804700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4.957749 126.977884 최익현 초상(춘산영당)화순 춘산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37.5238510 126.9804700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7.5765660 126.9748840 영조 어진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채용신",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채용신",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허영환, "채용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허영환, "채용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허영환, "채용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채용신",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유용한 정보

  1. "채용신",『네이버 인물검색』online, NAVER Corp.
  2. "채용신", 『문화원형 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 온라인 참조: "채용신", 문화원형 용어사전, 『네이버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