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 | ===생애=== | |
− | === | + | 1850년 서울 삼청동에서 대대로 무관을 지낸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86년 무과에 급제하고 20년 넘게 관직에 종사하여, 칠곡군수와 정산군수를 역임한 뒤 종2품관까지 지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975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ref>허영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628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화풍=== | |
− | === | + | 채용신 화법의 특징은 극세필을 사용하여 얼굴의 육리문(肉理文) 묘사에 주력한 점, 많은 필선을 사용하여 요철·원근·명암 등을 표현한 점, 정장관복초상(正裝官服肖像)인 경우 주인공의 오른쪽 어깨 위 등쪽으로 두 개의 볼록한 주름 같은 모습(단추)이 있는 점, 콧대 등 얼굴의 뼈가 나온 부분을 하얗게 칠하여 백광(白光)을 주는 점, 주인공이 깔고 앉아 있는 화문석의 문양과 각도가 시대적으로 변한 점 등이다.<ref>허영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628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초상화=== | |
+ | 채용신은 70여점의 초상화를 남겼다.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고종 어진]](高宗 御眞), [[영조 어진]](英祖 御眞), [[황현 초상]](黃玹 肖像), 최익현 초상([[최익현 초상(모덕사)|청양 모덕사 소장본]],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최익현 초상(춘산영당)|화순 춘산영당 소장본]] 등) 등이 전해져 내려오며, 그 밖에도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김영상]](金永相), [[전우]](田愚), [[최치원]](崔致遠) 등의 초상과 「고종대한제국동가도(高宗大韓帝國動駕圖)」 등을 그렸다. 「운낭자이십칠세상(雲娘子二十七歲像)」, 「황장길부인상(黃長吉夫人像)」 등 여인상도 그렸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 | |||
− | |||
− | |||
−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표준영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 ||
+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청양 모덕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화순 춘산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 [[조선 고종]]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영조 어진]] || [[조선 영조]]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 + | | [[영조 어진]] || [[조석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영조 어진]]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영조 어진]] || [[국립고궁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황현 초상]] || [[황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황현 초상]]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1900년]] || [[영조 어진]] 이모본이 제작되었다. |
+ | |- | ||
+ | | 1901년 4월 || [[채용신]]이 고종 어진을 도사하였다. | ||
+ | |- | ||
+ | | 1905년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제작되었다. | ||
|- | |- | ||
− | | | + | | 1909년 || [[최익현 초상(모덕사)]]이 제작되었다. |
|- | |- | ||
− | | | + | | 1911년 4월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이 제작되었다. |
|- | |- | ||
+ | | 1911년 5월 || [[황현 초상]]이 제작되었다. | ||
+ | |- | ||
+ | | 1987년 12월 26일 || [[영조 어진]]이 보물 제932호로 지정되었다. | ||
+ | |- | ||
+ | | 2006년 12월 29일 || [[황현 초상]]이 보물 제1494호로 지정되었다. | ||
+ | |- | ||
+ | | 2007년 2월 27일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보물 제1510호로 지정되었다. | ||
+ | |- | ||
+ | |||
|} | |} | ||
83번째 줄: | 114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 + | | 36.4460330|| 127.0085530|| [[최익현 초상(모덕사)]]은 [[청양 모덕사]]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37.5238510|| 126.9804700||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34. | + | | 34.957749 || 126.977884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은 [[화순 춘산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37.5238510 || 126.9804700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37.5765660 ||126.9748840|| [[영조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
− | |||
− | |||
===갤러리=== | ===갤러리=== | ||
===영상=== | ===영상===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113번째 줄: | 139번째 줄: | ||
#*허영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628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허영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628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975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0975 채용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http:// | + | #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B1%84%EC%9A%A9%EC%8B%A0&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03143 채용신]",<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인물검색』<sup>online</sup></online></html>, NAVER Corp. |
− | # | + | # "채용신", 『문화원형 용어사전』, 문화콘텐츠닷컴.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5906&cid=50826&categoryId=50826 채용신]", 문화원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인물]]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인물]] |
2017년 11월 7일 (화) 19:24 판
채용신(蔡龍臣) | |
대표명칭 | 채용신 |
---|---|
한자표기 | 蔡龍臣 |
생몰년 | 1850년-1941년 |
본관 | 평강(平康) |
이칭 | 동근(東根) |
호 | 석지(石芝),석강(石江),정산(定山) |
자 | 대유(大有) |
출생지 | 서울 삼청동 |
사망지 | 전북 정읍 |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국적 | 조선 |
대표저서 | 고종대한제국동가도,운낭자이십칠세상,황장길부인상 |
대표직함 | 칠곡군수,정산군수 |
부 | 채권영(蔡權永) |
모 | 밀양 박씨(密陽 朴氏) |
유형 | 화가 |
목차
정의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에 걸쳐 활동했던 한국의 화가이다.[1]
내용
생애
1850년 서울 삼청동에서 대대로 무관을 지낸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86년 무과에 급제하고 20년 넘게 관직에 종사하여, 칠곡군수와 정산군수를 역임한 뒤 종2품관까지 지냈다.[2][3]
화풍
채용신 화법의 특징은 극세필을 사용하여 얼굴의 육리문(肉理文) 묘사에 주력한 점, 많은 필선을 사용하여 요철·원근·명암 등을 표현한 점, 정장관복초상(正裝官服肖像)인 경우 주인공의 오른쪽 어깨 위 등쪽으로 두 개의 볼록한 주름 같은 모습(단추)이 있는 점, 콧대 등 얼굴의 뼈가 나온 부분을 하얗게 칠하여 백광(白光)을 주는 점, 주인공이 깔고 앉아 있는 화문석의 문양과 각도가 시대적으로 변한 점 등이다.[4]
초상화
채용신은 70여점의 초상화를 남겼다. 고종 어진(高宗 御眞), 영조 어진(英祖 御眞), 황현 초상(黃玹 肖像), 최익현 초상(청양 모덕사 소장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화순 춘산영당 소장본 등) 등이 전해져 내려오며, 그 밖에도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김영상(金永相), 전우(田愚), 최치원(崔致遠) 등의 초상과 「고종대한제국동가도(高宗大韓帝國動駕圖)」 등을 그렸다. 「운낭자이십칠세상(雲娘子二十七歲像)」, 「황장길부인상(黃長吉夫人像)」 등 여인상도 그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익현 초상(모덕사) | 표준영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최익현 초상(모덕사) | 청양 모덕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화순 춘산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 조선 고종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영조 어진 | 조선 영조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영조 어진 | 조석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영조 어진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영조 어진 | 국립고궁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황현 초상 | 황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황현 초상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00년 | 영조 어진 이모본이 제작되었다. |
1901년 4월 | 채용신이 고종 어진을 도사하였다. |
1905년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제작되었다. |
1909년 | 최익현 초상(모덕사)이 제작되었다. |
1911년 4월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이 제작되었다. |
1911년 5월 | 황현 초상이 제작되었다. |
1987년 12월 26일 | 영조 어진이 보물 제932호로 지정되었다. |
2006년 12월 29일 | 황현 초상이 보물 제1494호로 지정되었다. |
2007년 2월 27일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이 보물 제1510호로 지정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4460330 | 127.0085530 | 최익현 초상(모덕사)은 청양 모덕사에 소장되어 있다. |
37.5238510 | 126.9804700 | 최익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4.957749 | 126.977884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은 화순 춘산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
37.5238510 | 126.9804700 | 고종 어진(국립중앙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765660 | 126.9748840 | 영조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채용신",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채용신",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허영환, "채용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허영환, "채용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