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연곡사 북 승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구례 연곡사|연곡사(鷰谷寺)]] 북쪽 산 중턱에 위치한 승탑이다.<ref>신용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6 구례 연곡사 북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승탑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54호로 지정되었으며, 높이는 3m이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7744 연곡사 북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구례 연곡사|연곡사(鷰谷寺)]] 북쪽 산 중턱에 위치한 승탑이다.<ref>신용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6 구례 연곡사 북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승탑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54호로 지정되었으며, 높이는 3m이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7744 연곡사 북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화강암을 이용해 만든 전형적인 팔각당 승탑으로 상륜부의 일부가 | + | 화강암을 이용해 만든 전형적인 팔각당 승탑으로 상륜부의 일부가 파손되어 이후에 복원했으나 대체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세부 표현이 정교하다. 양식으로 보아 같은 경내에 있는 동 승탑을 본떠 만든 것으로 보인다.<ref>신용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6 구례 연곡사 북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사각형의 지대석 위에 구름무늬를 조각한 | + | 사각형의 지대석 위에 구름무늬를 조각한 팔각 하대석을 놓고, 그 위에 잎이 16장인 연화무늬를 새겨 간석(竿石)을 받치고 있다. 중대석 각면에는 안상(眼象) 안에 조식(彫飾)이 있고, 팔각 탑신의 각 면은 향로와 [[사천왕|사천왕상(四天王像)]] 등으로 장식했다. 상대석에는 둥근 테를 두르고 극락조인 [[가릉빈가|가릉빈가(伽陵頻迦)]]를 양각했다. 비교적 넓은 옥개석은 목조건축의 양식을 따라 이중연목(二重緣木), 기왓골 등을 세밀히 모각(模刻)했고, 상륜부는 완전하며 봉황 네 마리가 날개를 벌린 모양의 돌을 얹고 다시 연화석 보륜(寶輪) 등을 놓았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7744 연곡사 북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구례 연곡사|연곡사]]는 고려 초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 + | [[구례 연곡사|연곡사]]는 고려 초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이곳에는 북 승탑 외에도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구례 연곡사 동 승탑(求禮 鷰谷寺 東 僧塔)]](국보 제53호),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求禮 鷰谷寺 逍遙大師塔)]](보물 제154호) 등을 모시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540000,36 구례 연곡사 북 승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북 | + | 북 승탑에 대한 기록이나 구전은 남아 있지 않아 누구의 탑인지 확실하지 않다.<ref>신용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6 구례 연곡사 북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2001년 3월 | + | 2001년 3월 도굴꾼에게 파괴된 후 복원되었다.<ref>신용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6 구례 연곡사 북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승탑]] | [[분류:승탑]]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4일 (토) 11:43 판
구례 연곡사 북 승탑 (求禮 鷰谷寺 北 僧塔)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대표명칭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
영문명칭 | North Stupa of Yeongoksa Temple, Gurye |
한자 | 求禮 鷰谷寺 北 僧塔 |
주소 |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
문화재 지정번호 | 국보 제54호 |
문화재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
소유자 | 구례 연곡사 |
관리자 | 구례 연곡사 |
크기 | 높이 3m |
건립시대 | 고려시대 |
|
정의
내용
개요
연곡사(鷰谷寺) 북쪽 산 중턱에 위치한 승탑이다.[1] 이 승탑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54호로 지정되었으며, 높이는 3m이다.[2]
화강암을 이용해 만든 전형적인 팔각당 승탑으로 상륜부의 일부가 파손되어 이후에 복원했으나 대체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세부 표현이 정교하다. 양식으로 보아 같은 경내에 있는 동 승탑을 본떠 만든 것으로 보인다.[3]
사각형의 지대석 위에 구름무늬를 조각한 팔각 하대석을 놓고, 그 위에 잎이 16장인 연화무늬를 새겨 간석(竿石)을 받치고 있다. 중대석 각면에는 안상(眼象) 안에 조식(彫飾)이 있고, 팔각 탑신의 각 면은 향로와 사천왕상(四天王像) 등으로 장식했다. 상대석에는 둥근 테를 두르고 극락조인 가릉빈가(伽陵頻迦)를 양각했다. 비교적 넓은 옥개석은 목조건축의 양식을 따라 이중연목(二重緣木), 기왓골 등을 세밀히 모각(模刻)했고, 상륜부는 완전하며 봉황 네 마리가 날개를 벌린 모양의 돌을 얹고 다시 연화석 보륜(寶輪) 등을 놓았다.[4]
연곡사는 고려 초까지 스님들이 선(禪)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는데, 이 때문인지 이곳에는 북 승탑 외에도 구례 연곡사 동 승탑(求禮 鷰谷寺 東 僧塔)(국보 제53호),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求禮 鷰谷寺 逍遙大師塔)(보물 제154호) 등을 모시고 있다.[5]
북 승탑에 대한 기록이나 구전은 남아 있지 않아 누구의 탑인지 확실하지 않다.[6]
2001년 3월 도굴꾼에게 파괴된 후 복원되었다.[7]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구례 연곡사 | A는 B에 있다 |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구례 연곡사 동 승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가릉빈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주석
- ↑ 신용철, "구례 연곡사 북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연곡사 북승탑",
『두산백과』online . - ↑ 신용철, "구례 연곡사 북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연곡사 북승탑",
『두산백과』online . -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신용철, "구례 연곡사 북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용철, "구례 연곡사 북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신용철, "구례 연곡사 북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연곡사 북승탑",
『두산백과』online .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