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문헌'클래스에 맞게 틀 바꿔서 적용해 주세요.  
 
*'문헌'클래스에 맞게 틀 바꿔서 적용해 주세요.  
  
{{개념정보
+
{{문헌정보
 
|사진= 한글팀 오복도 01.jpg
 
|사진= 한글팀 오복도 01.jpg
|사진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
|사진출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6178&cid=51293&categoryId=51293 오복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대표명칭= 오복도
 
|대표명칭= 오복도
 
|한자표기= 五服圖
 
|한자표기= 五服圖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
|이칭=
|유형= 문헌
+
|유형=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관련개념=  
+
|저자=
 +
|역자=
 +
|편자=
 +
|저술시기=
 +
|간행시기=
 +
|간행처=
 +
|간행지=
 +
|간행인=
 +
|시대=
 +
|수량=
 +
|크기=
 +
|판본=
 +
|판사항=
 +
|형태사항=
 +
|표기문자=
 +
|소장처=
 +
|청구기호=
 +
|지정번호=
 +
|지정일=
 
}}
 
}}
 
=='''정의'''==
 
=='''정의'''==

2017년 11월 1일 (수) 23:58 판

  • '문헌'클래스에 맞게 틀 바꿔서 적용해 주세요.


오복도(五服圖)
"오복도", 『e뮤지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대표명칭 오복도
한자표기 五服圖
유형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정의

저자와 간행년이 모두 미상인 문헌으로 대전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1]

내용

문헌의 보존상태

비교적 큰 대형의 고서로 벌집문양이 잘 남아 있는 표지의 좌측상단에 오복도(五服圖)라고 큰 글씨로 서명이 적혀 있다. 전체적인 책의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2]

문헌의 대략적인 내용

첫 장을 넘기면 오복연혁도목록이라고 해서 천자제후정통방기복도, 군위신복도, 신위군복도, 신종군복도... 등이 적혀 있으며, 그 뒤로는 가계도 같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3]

문제점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에서 오복도의 소장처를 대전대학교 박물관으로 밝히고 있으나,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http://museum.dju.ac.kr/)는 2017년 08월 16일 현재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복도 상례초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오복도 대전대학교 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오복도 오복연혁도목록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As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장동우, 「한강(寒岡)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의 예학사(禮學史)的 위상(位相)」, 『퇴계학과 유교문화』,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Vol.58 No.-,2016, 75-126(52쪽).
    • 김순미,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의 오복도(五服圖) 연구」, 『嶺南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Vol.- No.18, 2010, 361-388(28쪽).
    • 김시황, 「상례(喪禮) 오복제도(五服制度) 연구(硏究)」, 『퇴계학과 유교문화』,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Vol.22 No.-, 1994, 45-68(2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