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화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35번째 줄: 35번째 줄:
 
1881년([[조선 고종|고종]] 18)에 처남 [[유용수|유용수(柳龍洙)]]를 따라 지리산 청학동에 갔다가 [[동학]]에 입도(入道)하여 수도하다가, 1883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포교하였다. 정읍군내 농소리(農所里)·입암리(笠巖里)·신면리(神綿里)·음성리(陰城里)를 전전하다가, 전라북도 무장(茂長)에 가서 김모(金某)의 집에 포교소를 설치하였다.<ref>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591 손화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1881년([[조선 고종|고종]] 18)에 처남 [[유용수|유용수(柳龍洙)]]를 따라 지리산 청학동에 갔다가 [[동학]]에 입도(入道)하여 수도하다가, 1883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포교하였다. 정읍군내 농소리(農所里)·입암리(笠巖里)·신면리(神綿里)·음성리(陰城里)를 전전하다가, 전라북도 무장(茂長)에 가서 김모(金某)의 집에 포교소를 설치하였다.<ref>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591 손화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접주로서 1892년 전라북도 삼례의 [[교조신원운동|교조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에 많은 교도들을 동원하였다. 1893년에는 광화문 복합상소 때 호남 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가했으며, 충청북도 보은 장내리(帳內里) 집회에서도 많은 교도들을 동원하는 뛰어난 지도력을 발휘하였다.<ref>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591 손화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접주로서 1892년 전라북도 삼례의 [[교조신원운동|교조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에 많은 교도들을 동원하였다. 1893년에는 광화문 복합상소 때 호남 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가했으며, 충청북도 보은 장내리(帳內里) 집회에서도 많은 교도들을 동원하는 뛰어난 지도력을 발휘하였다.<ref>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591 손화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1894년 동학군의 전주화약(全州和約) 후에는 전라남도 나주(羅州) 지방으로 가서 폐정개혁(弊政改革) 운동을 지도하였다. [[2차 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킨 1894년 10월에는 일본군의 배후상륙에 대비하여 최경선(崔景善)과 함께 나주 부근에 주둔하여 일본군을 경계하였다. [[전봉준|전봉준(全琫準)]]의 공주(公州) 공략이 실패한 뒤에는 나주성을 공격하였으나 지형관계로 또 실패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3557 손화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
1894년 동학군의 전주화약(全州和約) 후에는 전라남도 나주(羅州) 지방으로 가서 폐정개혁(弊政改革) 운동을 지도하였다. [[2차 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킨 1894년 10월에는 일본군의 배후상륙에 대비하여 [[최경선|최경선(崔景善)]]과 함께 나주 부근에 주둔하여 일본군을 경계하였다. [[전봉준|전봉준(全琫準)]]의 공주(公州) 공략이 실패한 뒤에는 나주성을 공격하였으나 지형관계로 또 실패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3557 손화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12월에 일시 광주(光州)로 후퇴 입성하였다가, 정부군의 압박을 받고 그 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興德)으로 되돌아왔다. 여기서 이모씨의 재실(齋室)에 숨어 있다가, 1895년 1월 6일 재실지기 [[이봉우|이봉우(李鳳宇)]]의 고발로 체포되고 말았다. 전주 감영(監營)으로 압송되었다가 서울로 이송되었고, 여러 차례의 심문 끝에 [[전봉준]], [[김덕명]], [[최경선]], [[성두환]]과 함께 처형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3557 손화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12월에 일시 광주(光州)로 후퇴 입성하였다가, 정부군의 압박을 받고 그 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興德)으로 되돌아왔다. 여기서 이모씨의 재실(齋室)에 숨어 있다가, 1895년 1월 6일 재실지기 [[이봉우|이봉우(李鳳宇)]]의 고발로 체포되고 말았다. 전주 감영(監營)으로 압송되었다가 서울로 이송되었고, 여러 차례의 심문 끝에 [[전봉준]], [[김덕명]], [[최경선]], [[성두환]]과 함께 처형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03557 손화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2017년 10월 31일 (화) 12:43 판

손화중(孫華仲)
Joseon uibyeong.png
대표명칭 손화중
한자표기 孫華仲
생몰년 1861년-1895년
본관 밀양
초산(楚山)
화중(華仲)
시대 근대
손호열(孫浩烈)
유형 농민운동가


정의

조선 말기 동학농민운동 지도자.

내용

1881년(고종 18)에 처남 유용수(柳龍洙)를 따라 지리산 청학동에 갔다가 동학에 입도(入道)하여 수도하다가, 1883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포교하였다. 정읍군내 농소리(農所里)·입암리(笠巖里)·신면리(神綿里)·음성리(陰城里)를 전전하다가, 전라북도 무장(茂長)에 가서 김모(金某)의 집에 포교소를 설치하였다.[1]
접주로서 1892년 전라북도 삼례의 교조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에 많은 교도들을 동원하였다. 1893년에는 광화문 복합상소 때 호남 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가했으며, 충청북도 보은 장내리(帳內里) 집회에서도 많은 교도들을 동원하는 뛰어난 지도력을 발휘하였다.[2]
1894년 동학군의 전주화약(全州和約) 후에는 전라남도 나주(羅州) 지방으로 가서 폐정개혁(弊政改革) 운동을 지도하였다. 2차 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킨 1894년 10월에는 일본군의 배후상륙에 대비하여 최경선(崔景善)과 함께 나주 부근에 주둔하여 일본군을 경계하였다. 전봉준(全琫準)의 공주(公州) 공략이 실패한 뒤에는 나주성을 공격하였으나 지형관계로 또 실패하였다.[3]
12월에 일시 광주(光州)로 후퇴 입성하였다가, 정부군의 압박을 받고 그 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興德)으로 되돌아왔다. 여기서 이모씨의 재실(齋室)에 숨어 있다가, 1895년 1월 6일 재실지기 이봉우(李鳳宇)의 고발로 체포되고 말았다. 전주 감영(監營)으로 압송되었다가 서울로 이송되었고, 여러 차례의 심문 끝에 전봉준, 김덕명, 최경선, 성두환과 함께 처형되었다.[4]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손화중 동학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B
동학 최시형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B
최시형 손화중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손화중 교조신원운동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손화중 동학농민운동 A는 B에 참가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손화중 전봉준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손화중 김개남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손화중 최경선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92년 손화중교조신원운동에 참가하였다
1893년 손화중보은집회에 참가하였다
1894년 손화중1차 동학농민운동에 참가하였다
1894년 손화중2차 동학농민운동에 참가하였다
1895년 손화중이 처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720230 126.806633 손화중백산성에서 봉기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 YouTube, 작성일: 2014년 02월 09일.

주석

  1. 김용덕, "손화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용덕, "손화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손화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손화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김용덕, "손화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손화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정성미, "손화중", 『디지털고창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이이화, 『파랑새는 산을 넘고』, 김영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