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36번째 줄: 36번째 줄:
 
===애국계몽운동===
 
===애국계몽운동===
 
집안은 부유한 명문대가 였으며 15세 때 가노(家奴)를 해방할 정도로 진취적 개화사상이 강하였다. 1905년(광무 9) 서울에 올라와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으며, [[을사조약]] 체결 이후 국권회복의 신념을 가지고 애국지사들과 교류하며 국운을 바로잡을 것을 결심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집안은 부유한 명문대가 였으며 15세 때 가노(家奴)를 해방할 정도로 진취적 개화사상이 강하였다. 1905년(광무 9) 서울에 올라와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으며, [[을사조약]] 체결 이후 국권회복의 신념을 가지고 애국지사들과 교류하며 국운을 바로잡을 것을 결심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1907년(융희 1) 고향으로 돌아와서 가산(家産)을 정리하여 호명학교(湖明學校)를 세우고, 대한협회 홍성지부를 조직하는 등 애국계몽운동을 하였다. 다시 서울로 올라와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에 참여하면서 1909년 『[[한성신보]]』의 간부를 지냈고, [[안창호]] 등과 함께 [[서북학회]](西北學會)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서북학회의 산하교육기관인 [[오성학교]](五星學校) 교감을 역임하였으며 [[청년학우회]] 설립에도 참여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1907년(융희 1) 고향으로 돌아와서 가산(家産)을 정리하여 호명학교(湖明學校)를 세우고, 대한협회 홍성지부를 조직하는 등 애국계몽운동을 하였다. 다시 서울로 올라와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에 참여하면서 1909년 『[[한성신보]]』의 간부를 지냈고, [[안창호]] 등과 함께 [[서북학회]](西北學會)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서북학회의 산하교육기관인 [[오성학교]](五星學校) 교감을 역임하였으며 [[청년학우회]] 설립에도 참여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무장 항일투쟁===
 
===무장 항일투쟁===
43번째 줄: 43번째 줄:
  
 
===청산리대첩===
 
===청산리대첩===
1920년 10월 20-23일, 청산리(靑山里) 계곡에서 유인되어 들어온 일본군을 맞아, [[나중소]](羅仲昭:참모총장)·[[박영희]](朴英熙:부관)·[[이범석]](李範奭:연성대장) 등과 함께 백운평(白雲坪)·천수평(泉水坪)·마록구(馬鹿溝) 등지에서 일본군과 3회의 격전을 전개, 일본군 3,300명을 일시에 섬멸하였다. 이를 [[청산리대첩 | 청산리전투]]라 하여 [[봉오동전투]]와 함께 독립전쟁사상 최대의 승리로 꼽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1920년 10월 20-23일, 청산리(靑山里) 계곡에서 유인되어 들어온 일본군을 맞아, [[나중소]](羅仲昭:참모총장)·[[박영희]](朴英熙:부관)·[[이범석]](李範奭:연성대장) 등과 함께 백운평(白雲坪)·천수평(泉水坪)·마록구(馬鹿溝) 등지에서 일본군과 3회의 격전을 전개, 일본군 3,300명을 일시에 섬멸하였다. 이를 [[청산리대첩 | 청산리전투]]라 하여 [[봉오동전투]]와 함께 독립전쟁사상 최대의 승리로 꼽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그 후 부대를 이동, 헤이룽강(黑龍江) 부근으로 전진하여 [[국민회군]]의 [[안무]](安武), [[도독부군]]의 [[최진동]](崔振東) 등과 연합하고 [[대한독립군단]]을 결성, 부총재에 취임하였다. 일본군의 격렬한 보복작전의 전개로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自由市)로 이동하다가 이듬해 헤이허(黑河)사변으로 타격을 받고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그 후 부대를 이동, 헤이룽강(黑龍江) 부근으로 전진하여 [[국민회군]]의 [[안무]](安武), [[도독부군]]의 [[최진동]](崔振東) 등과 연합하고 [[대한독립군단]]을 결성, 부총재에 취임하였다. 일본군의 격렬한 보복작전의 전개로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自由市)로 이동하다가 이듬해 헤이허(黑河)사변으로 타격을 받고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신민부 창설===
 
===신민부 창설===
53번째 줄: 53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7/C04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84번째 줄: 90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영상===
 
===영상===
*'''NATV 국회방송 - 청산리 대첩을 승리로 이끈 항일운동의 영웅, 김좌진(2015년 4월 19일)'''
+
*NATV 국회방송, [https://www.youtube.com/embed/hItLEKpQ_JA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청산리 대첩을 승리로 이끈 항일운동의 영웅 백야 김좌진], 작성일: 2015년 04월 19일.
 
<html>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hItLEKpQ_JA"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hItLEKpQ_JA"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97번째 줄: 103번째 줄:
 
#* 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528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강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528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30015&cid=42140&categoryId=42140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21세기 정치학대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사전연구사.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30015&cid=42140&categoryId=42140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21세기 정치학대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사전연구사.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1436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8408&cid=43671&categoryId=43671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명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민중서관.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78408&cid=43671&categoryId=43671 김좌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인명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민중서관.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민족/교열요청2]]

2017년 10월 31일 (화) 01:20 판

김좌진(金佐鎭)
이강훈, "김좌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김좌진
한자표기 金佐鎭
생몰년 1889년(고종 26)-1930년
본관 안동(安東)
백야(白冶)
명여(明汝)
출생지 충청남도 홍성
시대 근대
성격 독립운동가



정의

독립운동가.

내용

애국계몽운동

집안은 부유한 명문대가 였으며 15세 때 가노(家奴)를 해방할 정도로 진취적 개화사상이 강하였다. 1905년(광무 9) 서울에 올라와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으며, 을사조약 체결 이후 국권회복의 신념을 가지고 애국지사들과 교류하며 국운을 바로잡을 것을 결심하였다.[1]
1907년(융희 1) 고향으로 돌아와서 가산(家産)을 정리하여 호명학교(湖明學校)를 세우고, 대한협회 홍성지부를 조직하는 등 애국계몽운동을 하였다. 다시 서울로 올라와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에 참여하면서 1909년 『한성신보』의 간부를 지냈고, 안창호 등과 함께 서북학회(西北學會)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서북학회의 산하교육기관인 오성학교(五星學校) 교감을 역임하였으며 청년학우회 설립에도 참여하였다.[2]

무장 항일투쟁

1911년에 북간도에 독립군사관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자금조달 차 돈의동(敦義洞)에 사는 족질 김종근(金鍾根)을 찾아간 것이 원인이 되어, 2년 6개월간 서대문 형무소에 투옥되었다. 1916년 노백린(盧伯麟)·신현대(申鉉大) 등과 함께 박상진(朴尙鎭)·채기중(蔡基中) 등이 결성한 광복단에 가담해 격렬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18년 일본의 감시를 피해 만주로 건너가서 대종교(大倧敎)에 입교하고, 3·1독립선언에 전주곡이 되는 무오독립선언서에 39명 민족지도자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였다.[3]
그리고 서일(徐一)을 중심으로 한 대한정의단(大韓正義團)에 가담해 군사 책임을 맡고, 정의단을 군정부(軍政府)로 개편한 다음 사령관으로 추천되었다.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권고를 받아들여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로 개칭하고, 소속 무장독립군의 총사령관이 되어 독립군 편성에 주력하였다.[4]

청산리대첩

1920년 10월 20-23일, 청산리(靑山里) 계곡에서 유인되어 들어온 일본군을 맞아, 나중소(羅仲昭:참모총장)·박영희(朴英熙:부관)·이범석(李範奭:연성대장) 등과 함께 백운평(白雲坪)·천수평(泉水坪)·마록구(馬鹿溝) 등지에서 일본군과 3회의 격전을 전개, 일본군 3,300명을 일시에 섬멸하였다. 이를 청산리전투라 하여 봉오동전투와 함께 독립전쟁사상 최대의 승리로 꼽는다.[5] 그 후 부대를 이동, 헤이룽강(黑龍江) 부근으로 전진하여 국민회군안무(安武), 도독부군최진동(崔振東) 등과 연합하고 대한독립군단을 결성, 부총재에 취임하였다. 일본군의 격렬한 보복작전의 전개로 1921년 러시아령 자유시(自由市)로 이동하다가 이듬해 헤이허(黑河)사변으로 타격을 받고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6]

신민부 창설

1925년 닝안(寧安)에서 신민부(新民府)를 조직, 군사 집행 위원장이 되고 이어 성동사관학교를 세워 정예군 양성에 공헌, 그 동안 임시 정부로부터 군무총장(軍務總長)ㆍ국무위원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 오직 독립군 양성에만 전력하였다.[7]

부하의 배신

1929년 한족연합회(韓族聯合會)를 결성, 주석이 되어 항일 투쟁과 동포의 단결에 힘쓰다가 이듬해 과거의 부하였던 고려공산청년회(高麗共產靑年會)의 김일성(金一星)ㆍ박상실(朴相實) 등에게 융안현 중둥로 산시역(永安縣 中東路 山市驛) 자택 앞 정미소에서 암살당하였다. 1962년에 대한민국 건국 공로 훈장 중장(重章)이 수여되었다.[8]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서북학회 김좌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서북학회 안창호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김좌진 안창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한광복회 김좌진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김좌진 무오독립선언서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북로군정서 청산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좌진 북로군정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나중소 북로군정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범석 북로군정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독립군단 김좌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신민부 김좌진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김좌진 박상실 A는 B에 의해 살해되었다 A ekc:founder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김좌진", 『두피디아』online, 두산백과.
  2. "김좌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이강훈, "김좌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강훈, "김좌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좌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6. "김좌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7. "김좌진, 『인명사전』online, 민중서관.
  8. "김좌진, 『인명사전』online, 민중서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이강훈, "김좌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좌진", 『21세기 정치학대사전』online, 한국사전연구사.
    • "김좌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김좌진, 『인명사전』online, 민중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