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논문 | *논문 | ||
**김영두,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사학연구』 제 98호, 한국사학회, 2010, 1-39. | **김영두,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사학연구』 제 98호, 한국사학회, 2010, 1-39. | ||
− |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개념]]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분류:개념]] |
2017년 10월 28일 (토) 09:48 판
사육신 (死六臣) |
|
대표명칭 | 사육신 |
---|---|
한자표기 | 死六臣 |
관련개념 | 계유정난, 단종복위운동 |
정의
1456년(세조 2)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발각되어 죽은 6명의 신하.
내용
사육신(死六臣)은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빼앗고, 왕이 되자 이에 불복하고 단종 복위에 힘을 쓰다 목숨을 잃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과 1982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현창된 김문기를 부르는 말이다.[1]
이들은 명나라 사신을 위한 창덕궁 연회에 성삼문의 아버지 성승(成勝)과 유응부가 의장용 칼을 들고 왕 옆에 서게 될 기회를 이용해 세조를 없애려고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오히려 이 계획을 김질(金礩)이 밀고해 모두 체포되었는데 끝까지 항거하다 죽었다.[2]
이들 대부분은 현직 또는 전직 집현전 유신(儒臣)들로서 유교주의에 철저한 인물들이었으며, 세종뿐 아니라 세조에 의해서도 중용되었다. 따라서 단종복위계획은 세조의 왕위찬탈에 대한 저항이라는 명분과 함께, 당시 6조 직계제의 강행 등 세조의 전제권 강화에 대한 반발로도 이해된다.[3]
사육신의 이름이 거론된 것은 남효온의 『추강집(秋江集)』 6신전(六臣傳)이었는데, 구구전승으로 전해온 것을 스승인 김종직이나 김일손에게 확인하고 수록한 듯하다. 중종반정 이후 사림파의 절의 문제가 거론되면서 1511년(중종 6) 발간 금지되었던 『추강집』이 세상에 나올 수 있었고, 이를 계기로 사육신 문제가 정치적으로 공인되었다. 그러나 사육신은 세조 당시의 기록에서는 성삼문과 박팽년이 주모자인 것만 확실하며 그밖의 인물들은 명확하지 않아 이후에도 많은 논란이 있었다.[4]
사육신은 모두 사형을 당했고, 가족들 중에 남자는 사형, 여자는 노비가 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충절은 결국 인정되어, 1691년(숙종 17년) 명예가 회복되고 노량진 부근에 사당이 세워졌다.[5]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사육신 | 조선 세조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세조 | 계유정난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성삼문 | 사육신 | A는 B의 멤버이다 | A foaf:member B |
박팽년 | 사육신 | A는 B의 멤버이다 | A foaf:member B |
하위지 | 사육신 | A는 B의 멤버이다 | A foaf:member B |
이개 | 사육신 | A는 B의 멤버이다 | A foaf:member B |
유응부 | 사육신 | A는 B의 멤버이다 | A foaf:member B |
유성원 | 사육신 | A는 B의 멤버이다 | A foaf:member B |
김문기 | 사육신 | A는 B의 멤버이다 | A foaf:member B |
사육신 | 생육신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주석
- ↑ pmg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참조:"사육신",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사육신",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사육신",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사육신",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은석, 『Basic 중학생을 위한 국사 용어사전』, (주)신원문화사, 2006. 온라인참조:"사육신", 학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pmg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참조:"사육신",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사육신",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논문
- 김영두,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사학연구』 제 98호, 한국사학회, 2010,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