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소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 후소회 : 김은호의 낙청헌(絡靑軒) 화실에서 그림을 배운 제자들이 1936년에 결성한 단체로 백윤문(白潤文), 김기창(金基昶), 장우성(張遇...)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단체정보 | |
+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단체.png | ||
+ | |사진출처= 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 ||
+ | |대표명칭= 후소회 | ||
+ | |한자표기= 後素會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 동양화가단체단체 | ||
+ | |창립자= [[김기창]],[[백윤문]],[[장우성]],[[조중현]],[[이유태]] | ||
+ | |창립시대= 일제강점기/현대 | ||
+ | |창립일= 1936년 1월 18일 | ||
+ | |변경일= | ||
+ | |해체일= 현대 | ||
+ | |주요업무= | ||
+ | |담당업무= | ||
+ | |관련기관= | ||
+ | |관련단체= | ||
+ | |소재지= | ||
+ | |웹사이트= | ||
+ | }} | ||
+ | =='''정의'''== | ||
+ | 1936년에 개설한 김은호 문도 출신 동양화가들의 단체.<ref>강민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66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내용'''== | ||
+ | ===김은호 문도로 구성=== | ||
+ | 김은호(金殷鎬)의 낙청헌(絡靑軒) 화실에서 그림을 배운 제자들이 1936년에 결성한 단체로 백윤문(白潤文), 김기창(金基昶), 장우성(張遇聖), 한유동(韓維東), 이유태(李惟台), 조중현(趙重顯), 장운봉(張雲鳳; 뒤에 장덕(張德)으로 개명), 정홍거(鄭弘巨) 등이 참여했다.<ref>강민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66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채색화 확가 중심=== | ||
+ | 후소회는 일제 강점기 동양화단에서 채색화를 그린 화가들이 중심이었고, 수묵산수화를 주로 그린 [[이상범]]의 청전화숙과 쌍벽을 이루었다. 1936년 정식 창립하여 같은 해 10월 서울 태평로 조선실업구락부에서 창립전을 가졌다.<br/> | ||
+ | 후소회는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서의 화롱으로 유명하며 선전에 입선한 동양화 60점 중 21점이 후소회 회원들의 그림이었다. 백윤문·김기창이 특선작가로 장우성이 총독상과 창덕궁상, 이유태·조중현도 최고상을 받았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5h3188a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창립 70주년=== | ||
+ | 후소회는 1943년 제6회로 전람회를 잠시 중단하고 6·25전쟁 직전 제7회전, 1971년 제8회전, 1977년 제9회전을 열었다. 김은호의 1, 2대 제자 및 그와 관계있는 화가들이 중심이 되어 2006년에 창립 70주년을 맞이하여 제35회 회원전을 열렸으며 지금까지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단체이다.<ref>강민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66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후소회]] || [[김은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후소회]] || [[김기창]]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후소회]] || [[장우성]]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후소회]] || [[백윤문]]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후소회]] || [[한유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후소회]] || [[이유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후소회]] || [[조중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웹자원 | ||
+ | #* 강민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66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5h3188a 후소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
+ | [[분류:민족/교열요청]] |
2017년 10월 25일 (수) 00:13 판
후소회(後素會) | |
대표명칭 | 후소회 |
---|---|
한자표기 | 後素會 |
유형 | 동양화가단체단체 |
창립자 | 김기창,백윤문,장우성,조중현,이유태 |
창립시대 | 일제강점기/현대 |
창립일 | 1936년 1월 18일 |
해체일 | 현대 |
목차
정의
1936년에 개설한 김은호 문도 출신 동양화가들의 단체.[1]
내용
김은호 문도로 구성
김은호(金殷鎬)의 낙청헌(絡靑軒) 화실에서 그림을 배운 제자들이 1936년에 결성한 단체로 백윤문(白潤文), 김기창(金基昶), 장우성(張遇聖), 한유동(韓維東), 이유태(李惟台), 조중현(趙重顯), 장운봉(張雲鳳; 뒤에 장덕(張德)으로 개명), 정홍거(鄭弘巨) 등이 참여했다.[2]
채색화 확가 중심
후소회는 일제 강점기 동양화단에서 채색화를 그린 화가들이 중심이었고, 수묵산수화를 주로 그린 이상범의 청전화숙과 쌍벽을 이루었다. 1936년 정식 창립하여 같은 해 10월 서울 태평로 조선실업구락부에서 창립전을 가졌다.
후소회는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서의 화롱으로 유명하며 선전에 입선한 동양화 60점 중 21점이 후소회 회원들의 그림이었다. 백윤문·김기창이 특선작가로 장우성이 총독상과 창덕궁상, 이유태·조중현도 최고상을 받았다.[3]
창립 70주년
후소회는 1943년 제6회로 전람회를 잠시 중단하고 6·25전쟁 직전 제7회전, 1971년 제8회전, 1977년 제9회전을 열었다. 김은호의 1, 2대 제자 및 그와 관계있는 화가들이 중심이 되어 2006년에 창립 70주년을 맞이하여 제35회 회원전을 열렸으며 지금까지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단체이다.[4]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후소회 | 김은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후소회 | 김기창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후소회 | 장우성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후소회 | 백윤문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후소회 | 한유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후소회 | 이유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후소회 | 조중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강민기, "후소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민기, "후소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후소회",
『다음백과』online . - ↑ 강민기, "후소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