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김홍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김홍도
+
|대표명칭= 문익점
|한자표기= 金弘道
+
|한자표기= 文益漸
 
|영문명칭=
 
|영문명칭=
|본관= 김해(金海)
+
|본관= 남평(南平)
|이칭=
+
|이칭= 문익첨(文益瞻)
|시호=  
+
|시호= 충선공(忠宣公)
|호= 단원(檀園), 단구(丹邱), 서호(西湖), 고면거사(高眠居士), 취화사(醉畫士), 첩취옹(輒醉翁)
+
|호= 삼우당(三憂堂)
|자= 사능(士能)
+
|자= 일신(日新)
 
|생년= 1745년
 
|생년= 1745년
 
|몰년= 미상
 
|몰년= 미상
|출생지=
+
|출생지= 경상남도 산청
 
|사망지=
 
|사망지=
 
|시대= 조선
 
|시대= 조선
 
|국적=
 
|국적=
|대표저서= 단원풍속화첩
+
|대표저서=  
|대표직함= 도화서화원
+
|대표직함=
 
|배우자=  
 
|배우자=  
|부= 김석무(金錫武)
+
|부= 문숙선(文淑宣)
 
|모=  
 
|모=  
 
|자녀=  
 
|자녀=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정의==
1745년에 태어난 조선 후기의 화가이다.
+
 
  
 
==내용==
 
==내용==
===김홍도의 생애===
 
무반가의 서얼 집안에서 출생한 김홍도는 10~14살 무렵에,  [[강세황]]의 안산 집에 드나들며 그림을 배우게 된다. <ref>홍준표, 「김홍도 생애의 재구성」, 『미술사논총』34, 2012, 107쪽.</ref>
 
그 후 [[강세황]]의 천거로 [[도화서]]화원(圖畫署畫員)이 되었다. 1773년에는 [[조선 영조|영조]]의 어진(御眞)과 왕세자([[조선 정조|정조]])의 초상을 그렸다. 1781년(정조 5년)에는 [[조선 정조|정조]]의 어진 익선관본(翼善冠本)을 그릴 때 [[한종유|한종유(韓宗裕)]]·[[신한평|신한평(申漢枰)]] 등과 함께 동참화사(同參畫師)로 활약하였다.<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을 따라 호를 ‘단원’이라 하였다. 1791년 [[조선 정조|정조]]의 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을 그릴 때도 참여하였다. <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796년에 편찬된 『[[불설대보무모은중경 언해]]』 에 담긴 [[변상도]]를 그렸다. 1797년 편찬된 『[[오륜행실도]]』 언해의 그림에 김홍도의 화풍이 많이 남아있어 그가 직접 그렸거나, 당시 그의 화풍이 매우 유행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김홍도의 작품세계===
 
====산수화====
 
김홍도의 작품은 50세를 중심으로 전후 2기로 나누어지는 화풍상의 변화를 보인다. 산수화의 경우 50세 이전인 1778년 작인 「[[서원아직육곡병|서원아집육곡병(西園雅集六曲屛)]]」이 말해 주듯이, 주로 중국의 화보(畫譜)에 의존하는 경향이 보인다. 50세 이후로는 진경산수(眞景山水)를 즐겨 그렸다. 그러면서 ‘단원법’이라 불리는 보다 세련되고 개성이 강한 독창적 화풍을 만들었다. 만년에는 풍속화로 관심이 바뀌었다.
 
<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인물화====
 
인물화에서도 자신만의 특이한 경지를 개척하였다. 특히, 「[[군선도병|군선도병(群仙圖屛)]]」과 같이 도교(道敎)와 불교(佛敎)에 관계되는 신선들을 많이 그렸다. 후기가 되면 화폭의 규모도 작아지고, 단아하면서도 분방하며 생략된 필치로 바뀌게 된다.
 
<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풍속화====
 
후기에 그는 풍속화를 많이 그렸다. 조선 후기 서민들의 생활상을 해학적 감정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의 풍속화들은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더불어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경향을 잘 대변해 준다.
 
<ref>홍준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079 김홍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56번째 줄: 40번째 줄: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홍도]] || [[강세황]]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 [[도화서]] || [[김홍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김홍도]] || [[김석무]]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김홍도]] || [[한종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김홍도]] || [[신한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동참화사]] || [[김홍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동참화사]] || [[신한평]]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동참화사]] || [[한종유]]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김홍도]] ||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김홍도]] || [[영조 어진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김홍도]] || [[왕세자 정조 초상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신한평]] ||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한종유]] ||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김홍도]] || [[정조 어진 원유관본 제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김홍도]] || [[서원아집육곡병]]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김홍도]] || [[군선도병]]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김홍도]] || [[변상도]]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변상도]]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 [[김홍도]] || [[오륜행실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김홍도]] || [[반차도]]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반차도]] || [[원행을묘정리의궤]]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104번째 줄: 46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1773년 || [[김홍도]]가 [[영조 어진]] 제작에 참여하였다
 
|-
 
| 1773년 || [[김홍도]]가 왕세자 [[조선 정조]] 초상 제작에 참여하였다
 
|-
 
| 1776년 || [[김홍도]]가 [[군선도병]]을 그렸다
 
|-
 
| 1778년 || [[김홍도]]가 [[서원아집육곡병]]을 그렸다
 
|-
 
| 1781년 || [[김홍도]]가 [[동참화사]]가 되어 정조 어진 익선관본 제작에 참여하였다
 
|-
 
| 1791년 || [[김홍도]]가 [[조선 정조]] 어진 원유관본 제작에 참여하였다
 
|-
 
| 1796년 || [[김홍도]]가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의 [[변상도]]를 그렸다
 
|-
 
| 1797년 || [[김홍도]]가 [[오륜행실도]] 편찬에 참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영상===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78/menu/372?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78&bbIdx=12044&brdType=R#n 패션 속 조선의 시대상을 화첩에 담다, 화가 김홍도]", 교과서e문화유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html>
 
<video
 
width="600"
 
height="480"
 
controls
 
preload="metadata">
 
<source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609003-001-V00003@N2R:1" type="video/mp4">
 
</video>
 
</html>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5&brdType=R 단원 김홍도 1부 불세출의 화가가 되다]", 7분다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html>
 
<video
 
width="600"
 
height="480"
 
controls
 
preload="metadata">
 
<source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568@N2R:1" type="video/mp4">
 
</video>
 
</html>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6&brdType=R 단원 김홍도 2부 조선의 패션을 담다]", 7분다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html>
 
<video
 
width="600"
 
height="480"
 
controls
 
preload="metadata">
 
<source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569@N2R:1" type="video/mp4">
 
</video>
 
</html>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8&brdType=R 단원 김홍도 3부 조선의 순간을 포착하다]", 7분다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html>
 
<video
 
width="600"
 
height="480"
 
controls
 
preload="metadata">
 
<source src="http://uci.k-heritage.tv/resolver/I801:1501001-001-V00571@N2R:1" type="video/mp4">
 
</video>
 
</html>
 
  
 
==주석==
 
==주석==
176번째 줄: 56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더 읽을 거리===
*단행본
 
**오주석, 『단원 김홍도: 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 화가』, 한겨레출판사, 2001.
 
**이재원, 『김홍도 : 정조의 이상정치, 그림으로 실현하다』, 살림, 2016.
 
*논문
 
**이양재, 「김홍도 연구」, 『미술세계』128, 1995.
 
**변영섭, 「스승과 제자, 강세황(姜世晃)이 쓴 김홍도(金弘道) 전기- 〈檀園記〉·〈檀園記 又一本〉」, 『미술사학연구』275·276, 한국미술사학회, 2012.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이영일,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7/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7&bbIdx=5178&brdType=R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보물 제527호)]", 감성포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문화재재단』<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4년 9월 11일.
 
*이영일,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7/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7&bbIdx=5181&brdType=R 김홍도의 일상 풍경, 빨래터와 무동(檀園 風俗圖帖, 보물 제527호)]", 감성포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문화재재단』<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4년 9월 11일.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2017년 10월 24일 (화) 19:32 판

문익점(文益漸)
대표명칭 문익점
한자표기 文益漸
생몰년 1745년-미상
본관 남평(南平)
이칭 문익첨(文益瞻)
시호 충선공(忠宣公)
삼우당(三憂堂)
일신(日新)
출생지 경상남도 산청
시대 조선
문숙선(文淑宣)


정의

내용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시각자료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