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신한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7번째 줄: | 7번째 줄: | ||
|이칭= 신한첩 | |이칭= 신한첩 | ||
|유형= | |유형= | ||
− | |저자= [[조선 효종]], [[조선 현종]], [[장렬왕후 | + | |저자= [[조선 효종]], [[조선 현종]], [[장렬왕후]], [[인선왕후]] ,[[명성왕후]] |
|역자= | |역자= | ||
|편자= | |편자=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시대 [[조선 효종|효종]], [[조선 현종|현종]], [[장렬왕후 | + | 조선시대 [[조선 효종|효종]], [[조선 현종|현종]], [[장렬왕후]], [[인선왕후 ]], [[명성왕후]]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를 하나로 묶은 첩(帖)이다 |
==내용== | ==내용== | ||
===[[숙명신한첩]]의 구성=== | ===[[숙명신한첩]]의 구성=== | ||
− | 『[[숙명신한첩]]』은 [[조선 효종|효종]]의 둘째 딸인 [[숙명공주]]가 출가한 후 40여 년간 왕과 왕비, 대비 등과 주고받은 한글로 쓴 친필 문안편지를 모은 총 68편의 서첩이다. 이 중에는 [[조선 효종|효종]]의 편지 9편・[[조선 현종|현종]]의 편지 2편・[[인선왕후 | + | 『[[숙명신한첩]]』은 [[조선 효종|효종]]의 둘째 딸인 [[숙명공주]]가 출가한 후 40여 년간 왕과 왕비, 대비 등과 주고받은 한글로 쓴 친필 문안편지를 모은 총 68편의 서첩이다. 이 중에는 [[조선 효종|효종]]의 편지 9편・[[조선 현종|현종]]의 편지 2편・[[인선왕후]]의 편지 53편・[[명성왕후]]의 편지 1편・[[숙명공주]]의 편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사가였던 [[심익현]] 집안에서 전해져 내려오다가 [[김일근]]이 소장하던 것을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인수하였다.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쪽.</ref>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쪽.</ref> | ||
『[[숙명신한첩]]』은 1962년 故김일근 선생이 발견할 당시에 표지가 소실되어 있었고, 부분적으로 서첩 뒤편 하단부가 훼손되어 있다. 『[[숙휘신한첩]]』과 대조하여 볼 때 앞뒤가 빠졌을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수록된 편지는 모두 68편이나 서첩 뒤편에 빠진 부분이 있다면 먼저 발견된 『[[숙휘신한첩]]』의 내용으로 보아 '명성왕후 어셔'로 분류된 편지가 몇 편 더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쪽.</ref> | 『[[숙명신한첩]]』은 1962년 故김일근 선생이 발견할 당시에 표지가 소실되어 있었고, 부분적으로 서첩 뒤편 하단부가 훼손되어 있다. 『[[숙휘신한첩]]』과 대조하여 볼 때 앞뒤가 빠졌을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수록된 편지는 모두 68편이나 서첩 뒤편에 빠진 부분이 있다면 먼저 발견된 『[[숙휘신한첩]]』의 내용으로 보아 '명성왕후 어셔'로 분류된 편지가 몇 편 더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쪽.</ref>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숙명신한첩]]의 사회 배경과 역사사료적 가치=== | ===[[숙명신한첩]]의 사회 배경과 역사사료적 가치=== | ||
− | 『[[숙명신한첩]]』이 쓰인 시기는 학문과 사상을 매개로 한 일대의 정쟁의 시기였다. 17세기 [[이이|율곡]]학파로 대표되는 [[서인]]과 [[이이|퇴계]]학파로 대표되는 [[남인]]의 성리학 이념 논쟁이 성행했던 시기였다. [[예송논쟁]]이 일어났는데, 이 논쟁의 주인공인 [[조선 효종|효종]]·[[장렬왕후 | + | 『[[숙명신한첩]]』이 쓰인 시기는 학문과 사상을 매개로 한 일대의 정쟁의 시기였다. 17세기 [[이이|율곡]]학파로 대표되는 [[서인]]과 [[이이|퇴계]]학파로 대표되는 [[남인]]의 성리학 이념 논쟁이 성행했던 시기였다. [[예송논쟁]]이 일어났는데, 이 논쟁의 주인공인 [[조선 효종|효종]]·[[장렬왕후]]·[[인선왕후]]의 글씨가 『[[숙명신한첩]]』에 실려있다. 특히 [[숙명공주]]의 어머니인 [[인선왕후]]의 편지가 많은데 내용은 일상생활의 안부이지만 궁중풍속이나 앞서 말한 정치사건 및 상황 등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다.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10쪽.</ref> | <ref>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10쪽.</ref>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 [[김일근]] || [[숙명신한첩]] || A는 B에게 있었다 || ekc:formerLocation | | [[김일근]] || [[숙명신한첩]] || A는 B에게 있었다 || ekc:formerLocation | ||
|- | |- | ||
− | | [[숙명신한첩]] || [[명성왕후 | + | | [[숙명신한첩]] || [[명성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 | |- | ||
| [[숙명신한첩]] || [[조선 현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 [[숙명신한첩]] || [[조선 현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
64번째 줄: | 64번째 줄: | ||
| [[숙명신한첩]] || [[조선 효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 [[숙명신한첩]] || [[조선 효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
|- | |- | ||
− | | [[숙명신한첩]] || [[인선왕후 | + | | [[숙명신한첩]] || [[인선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 | |- | ||
− | | [[숙명신한첩]] || [[장렬왕후 | + | | [[숙명신한첩]] || [[장렬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 | |- | ||
| [[숙명공주]] || [[숙명신한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edm:isRelatedTo | | [[숙명공주]] || [[숙명신한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edm:isRelatedTo | ||
74번째 줄: | 74번째 줄: | ||
| [[조선 현종]]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 [[조선 현종]]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
|- | |- | ||
− | | [[인선왕후 | + | | [[인선왕후]] || [[조선 효종]] || A는 B의 아내이다 || ekc:hasHusband |
|- | |- | ||
− | | [[명성왕후 | + | | [[명성왕후]] || [[조선 현종]] || A는 B의 아내이다 || ekc:hasHusband |
|- | |- | ||
| [[조선 인조]]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 [[조선 인조]]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
|- | |- | ||
− | | [[장렬왕후 | + | | [[장렬왕후]] || [[조선 인조]] || A는 B의 아내이다 || ekc:hasHusband |
|- | |- | ||
|} | |} |
2017년 10월 19일 (목) 17:29 판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 | |
대표명칭 | 숙명신한첩 |
---|---|
한자표기 | 淑明宸翰帖 |
이칭 | 신한첩 |
저자 | 조선 효종, 조선 현종, 장렬왕후, 인선왕후 ,명성왕후 |
시대 | 조선 |
소장처 | 국립청주박물관 |
지정번호 | 보물 제1629호 |
지정일 | 2010년 01월 04일 |
목차
정의
조선시대 효종, 현종, 장렬왕후, 인선왕후 , 명성왕후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를 하나로 묶은 첩(帖)이다
내용
숙명신한첩의 구성
『숙명신한첩』은 효종의 둘째 딸인 숙명공주가 출가한 후 40여 년간 왕과 왕비, 대비 등과 주고받은 한글로 쓴 친필 문안편지를 모은 총 68편의 서첩이다. 이 중에는 효종의 편지 9편・현종의 편지 2편・인선왕후의 편지 53편・명성왕후의 편지 1편・숙명공주의 편지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사가였던 심익현 집안에서 전해져 내려오다가 김일근이 소장하던 것을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인수하였다. [1] 『숙명신한첩』은 1962년 故김일근 선생이 발견할 당시에 표지가 소실되어 있었고, 부분적으로 서첩 뒤편 하단부가 훼손되어 있다. 『숙휘신한첩』과 대조하여 볼 때 앞뒤가 빠졌을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수록된 편지는 모두 68편이나 서첩 뒤편에 빠진 부분이 있다면 먼저 발견된 『숙휘신한첩』의 내용으로 보아 '명성왕후 어셔'로 분류된 편지가 몇 편 더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2]
숙명신한첩의 서예사적 가치
조선시대에 쓰여진 한글 편지는 대부분 필사자와 편년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숙명신한첩』은 17세기 효종 대부터 현종 대까지 필사 시기가 분명하고 필적이 확실하다. 또한, 현전하는 왕후들의 언간 자료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이다. 이 편지들의 서체는 효종과 숙명공주의 정자체 2편, 반흘림체 1편, 흘림체 6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한글 궁체의 변천 시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궁체가 왕실에서부터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한글서예사를 파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3]
숙명신한첩의 사회 배경과 역사사료적 가치
『숙명신한첩』이 쓰인 시기는 학문과 사상을 매개로 한 일대의 정쟁의 시기였다. 17세기 율곡학파로 대표되는 서인과 퇴계학파로 대표되는 남인의 성리학 이념 논쟁이 성행했던 시기였다. 예송논쟁이 일어났는데, 이 논쟁의 주인공인 효종·장렬왕후·인선왕후의 글씨가 『숙명신한첩』에 실려있다. 특히 숙명공주의 어머니인 인선왕후의 편지가 많은데 내용은 일상생활의 안부이지만 궁중풍속이나 앞서 말한 정치사건 및 상황 등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다. [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숙명신한첩 |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 A는 B를 포함한다 | dcterms:hasPart |
숙명신한첩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 | A는 B를 포함한다 | dcterms:hasPart |
숙명신한첩 | 국립청주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edm:currentLocation |
김일근 | 숙명신한첩 | A는 B에게 있었다 | ekc:formerLocation |
숙명신한첩 | 명성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신한첩 | 조선 현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신한첩 | 조선 효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신한첩 | 인선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신한첩 | 장렬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dcterms:creator |
숙명공주 | 숙명신한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edm:isRelatedTo |
숙명공주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조선 현종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인선왕후 | 조선 효종 | A는 B의 아내이다 | ekc:hasHusband |
명성왕후 | 조선 현종 | A는 B의 아내이다 | ekc:hasHusband |
조선 인조 | 조선 효종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ekc:hasFather |
장렬왕후 | 조선 인조 | A는 B의 아내이다 | ekc:hasHusband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6491666 | 127.5099996 | 국립청주박물관에 숙명신한첩이 소장되어 있다. |
주석
- ↑ 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쪽.
- ↑ 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쪽.
- ↑ 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쪽.
- ↑ 장루비, 「《淑明宸翰帖》의 書體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10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국립청주박물관, 『조선 왕실의 한글 편지 숙명신한첩』, 국립청주박물관 2011.
-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역락 2013.
- 논문
- 정복동,「《신한첩》서의 심미 양식 고찰 : 《숙명신한첩》·《숙휘신한첩》을 중심으로」, 『서예학연구』23, 한국서예학회, 2013.
- 김연희, 「《숙휘공주신한첩》의 서체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웹자원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
『한국학자료센터』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순자. 조선 왕실의 한글편지", 『충청일보』, 작성일: 2011년 7월 5일.
- "현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