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가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3번째 줄: 33번째 줄:
 
=='''내용'''==
 
=='''내용'''==
 
===[[해동가요]]의 판본에 대해서===
 
===[[해동가요]]의 판본에 대해서===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3대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이본으로 [[해동가요 박씨본|박씨본(朴氏本)]]·[[해동가요 일석본|일석본(一石本)]]·[[해동가요 주씨본|주씨본(周氏本)]]·[[해동가요 U.C본|U.C본(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에 소장됨.)]] 등 4종이 있다. 이 중 [[해동가요 일석본]]은 표지에 ‘해동풍아(海東風雅)’라 하고 본문의 서두에는 [[해동가요]]’라 하였다. [[해동가요 주씨본]]은 [[주시경|주시경(周時經)]]이 교열·교정한 것으로 [[최남선|최남선(崔南善)]]이 소장하여 [[해동가요 육당본|육당본(六堂本)]]이라 일컫기도 한다. [[해동가요 일석본]]과 [[해동가요 주씨본]]은 6·25 때 소실되었다. [[해동가요 일석본]]의 전사본(轉寫本)으로 [[조윤제|조윤제(趙潤濟)]]와 [[이재수|이재수(李在秀)]]의 두 전사완본(傳寫完本)이 있다. [[정병욱|정병욱(鄭炳昱)]], [[김근수|김근수(金根洙)]]가 각각 [[해동가요 무명씨|무명씨]]를 전사한 것이 전한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3대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이본으로 [[해동가요 박씨본|박씨본(朴氏本)]]·[[해동가요 일석본|일석본(一石本)]]·[[해동가요 주씨본|주씨본(周氏本)]]·[[해동가요 U.C본|U.C본(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에 소장됨.)]] 등 4종이 있다. 이 중 [[해동가요 일석본]]은 표지에 '해동풍아(海東風雅)'라 하고 본문의 서두에는 '[[해동가요]]'라 하였다. [[해동가요 주씨본]]은 [[주시경|주시경(周時經)]]이 교열·교정한 것으로 [[최남선|최남선(崔南善)]]이 소장하여 [[해동가요 육당본|육당본(六堂本)]]이라 일컫기도 한다. [[해동가요 일석본]]과 [[해동가요 주씨본]]은 6·25 때 소실되었다. [[해동가요 일석본]]의 전사본(轉寫本)으로 [[조윤제|조윤제(趙潤濟)]]와 [[이재수|이재수(李在秀)]]의 두 전사완본(傳寫完本)이 있다. [[정병욱|정병욱(鄭炳昱)]], [[김근수|김근수(金根洙)]]가 각각 [[해동가요 무명씨|무명씨]]를 전사한 것이 전한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동가요]] 편찬과정===
 
===[[해동가요]] 편찬과정===
[[해동가요 박씨본]]에 의하면, 『[[해동가요]]』는 1754년(영조 30)에 편찬자가 가집 편찬을 거의 완료하고 자신의 서문을 썼고, 그 다음해 [[장복소|장복소(張福紹)]]와 자신의 발문을 첨가하여 편찬을 완결하였다. 이 초찬본을 [[해동가요 을해본|을해본(乙亥本)]]이라 하나 전하지 않는다([[해동가요 박씨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 본을 수정, 보완하여 1763년에 제2차본이라 할 개찬본을 내었으니 이를 [[해동가요 계미본|계미본(癸未本)]]이라고 한다([[해동가요 일석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편자는 [[해동가요 계미본]]을 완성한 이후에도 수정과 보완을 계속하여 1767년 시조 「[[봉하친경친잠|봉하친경친잠(奉賀親耕親蠶)]]」 2수를 지어 본편에 보충하고, [[각조체격|각조체격(各條體格)]]’과 ‘[[고금창가제씨|고금창가제씨(古今唱歌諸氏)]]’의 명단을 작성하여 책 끝에 붙이고, [[청구가요|청구가요(靑邱歌謠)]]’라는 부편(附篇)을 엮어 권말에 수록했다. 이것이 제3차본이라 할 [[해동가요 정해본|정해본(丁亥本)]]이다([[해동가요 주씨본]]과 U.C.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러한 수정과 보완의 노력은 그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음이 1769년에 [[김중열|김중열(金重說)]]과 [[박문욱|박문욱(朴文郁)]]이 쓴 『[[청구가요]]』 후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해동가요 박씨본]]에 의하면, 『[[해동가요]]』는 1754년(영조 30)에 편찬자가 가집 편찬을 거의 완료하고 자신의 서문을 썼고, 그 다음해 [[장복소|장복소(張福紹)]]와 자신의 발문을 첨가하여 편찬을 완결하였다. 이 초찬본을 [[해동가요 을해본|을해본(乙亥本)]]이라 하나 전하지 않는다([[해동가요 박씨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 본을 수정, 보완하여 1763년에 제2차본이라 할 개찬본을 내었으니 이를 [[해동가요 계미본|계미본(癸未本)]]이라고 한다([[해동가요 일석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편자는 [[해동가요 계미본]]을 완성한 이후에도 수정과 보완을 계속하여 1767년 시조 「[[봉하친경친잠|봉하친경친잠(奉賀親耕親蠶)]]」 2수를 지어 본편에 보충하고, '[[각조체격|각조체격(各條體格)]]'과 '[[고금창가제씨|고금창가제씨(古今唱歌諸氏)]]'의 명단을 작성하여 책 끝에 붙이고, '[[청구가요|청구가요(靑邱歌謠)]]'라는 부편(附篇)을 엮어 권말에 수록했다. 이것이 제3차본이라 할 [[해동가요 정해본|정해본(丁亥本)]]이다([[해동가요 주씨본]]과 U.C.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러한 수정과 보완의 노력은 그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음이 1769년에 [[김중열|김중열(金重說)]]과 [[박문욱|박문욱(朴文郁)]]이 쓴 『[[청구가요]]』 후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동가요]]의 중요성 과 현재 간행된 판본===
 
===[[해동가요]]의 중요성 과 현재 간행된 판본===
 
『[[해동가요]]』는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시조가 수록된 3대가집(三大歌集)에 속한다. 풍부한 작품의 수록은 물론,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교량적 위치에서 후대 가집의 편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당시대까지 활동하던 가객의 명단을 작성한 것과 시조를 얹어 부르는 악곡의 풍격과 특징을 제시한 것은 시조 음악 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다만 세 차례에 걸쳐 편찬된 『[[해동가요]]』의 원전이 그대로 전하는 것은 없고 그 전사본만 남아 있는 실정이어서 원전 출현이 기대된다. [[해동가요 박씨본]]은 1979년 [[규장문화사|규장문화사(奎章文化社)]]에서 영인되었고, [[이재수]]의 [[해동가요 이재수본|전사본]]은 [[동광문화사|동광문화사(東光文化社)]]에서 『[[고전문학선]]』에 수록하여 영인되었다. [[해동가요 주씨본]]은 1930년 [[경성대학]]에서 인쇄되었고, 이를 1974년 [[아세아문화사|아세아문화사(亞細亞文化社)]]가 영인하기도 하였다. [[해동가요 교주본|교주본]]으로는 1950년에 [[김삼불|김삼불(金三不)]]이 [[해동가요 일석본]]의 [[해동가요 유명씨|유명씨]]부와 [[해동가요 주씨본]]을 교합하여 [[정음사|정음사(正音社)]]에서 『[[해동가요]]』로 출판한 것이 있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동가요]]』는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시조가 수록된 3대가집(三大歌集)에 속한다. 풍부한 작품의 수록은 물론,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교량적 위치에서 후대 가집의 편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당시대까지 활동하던 가객의 명단을 작성한 것과 시조를 얹어 부르는 악곡의 풍격과 특징을 제시한 것은 시조 음악 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다만 세 차례에 걸쳐 편찬된 『[[해동가요]]』의 원전이 그대로 전하는 것은 없고 그 전사본만 남아 있는 실정이어서 원전 출현이 기대된다. [[해동가요 박씨본]]은 1979년 [[규장문화사|규장문화사(奎章文化社)]]에서 영인되었고, [[이재수]]의 [[해동가요 이재수본|전사본]]은 [[동광문화사|동광문화사(東光文化社)]]에서 『[[고전문학선]]』에 수록하여 영인되었다. [[해동가요 주씨본]]은 1930년 [[경성대학]]에서 인쇄되었고, 이를 1974년 [[아세아문화사|아세아문화사(亞細亞文化社)]]가 영인하기도 하였다. [[해동가요 교주본|교주본]]으로는 1950년에 [[김삼불|김삼불(金三不)]]이 [[해동가요 일석본]]의 [[해동가요 유명씨|유명씨]]부와 [[해동가요 주씨본]]을 교합하여 [[정음사|정음사(正音社)]]에서 『[[해동가요]]』로 출판한 것이 있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해동가요]]의 판본에 대해서===
 
===[[해동가요]]의 판본에 대해서===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3대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이본으로 [[해동가요 박씨본|박씨본(朴氏本)]]·[[해동가요 일석본|일석본(一石本)]]·[[해동가요 주씨본|주씨본(周氏本)]]·[[해동가요 U.C본|U.C본(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에 소장됨.)]] 등 4종이 있다. 이 중 [[해동가요 일석본]]은 표지에 ‘해동풍아(海東風雅)’라 하고 본문의 서두에는 [[해동가요]]’라 하였다. [[해동가요 주씨본]]은 [[주시경|주시경(周時經)]]이 교열·교정한 것으로 [[최남선|최남선(崔南善)]]이 소장하여 [[해동가요 육당본|육당본(六堂本)]]이라 일컫기도 한다. [[해동가요 일석본]]과 [[해동가요 주씨본]]은 6·25 때 소실되었다. [[해동가요 일석본]]의 전사본(轉寫本)으로 [[조윤제|조윤제(趙潤濟)]]와 [[이재수|이재수(李在秀)]]의 두 전사완본(傳寫完本)이 있다. [[정병욱|정병욱(鄭炳昱)]], [[김근수|김근수(金根洙)]]가 각각 [[해동가요 무명씨|무명씨]]를 전사한 것이 전한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3대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이본으로 [[해동가요 박씨본|박씨본(朴氏本)]]·[[해동가요 일석본|일석본(一石本)]]·[[해동가요 주씨본|주씨본(周氏本)]]·[[해동가요 U.C본|U.C본(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에 소장됨.)]] 등 4종이 있다. 이 중 [[해동가요 일석본]]은 표지에 '해동풍아(海東風雅)'라 하고 본문의 서두에는 '[[해동가요]]'라 하였다. [[해동가요 주씨본]]은 [[주시경|주시경(周時經)]]이 교열·교정한 것으로 [[최남선|최남선(崔南善)]]이 소장하여 [[해동가요 육당본|육당본(六堂本)]]이라 일컫기도 한다. [[해동가요 일석본]]과 [[해동가요 주씨본]]은 6·25 때 소실되었다. [[해동가요 일석본]]의 전사본(轉寫本)으로 [[조윤제|조윤제(趙潤濟)]]와 [[이재수|이재수(李在秀)]]의 두 전사완본(傳寫完本)이 있다. [[정병욱|정병욱(鄭炳昱)]], [[김근수|김근수(金根洙)]]가 각각 [[해동가요 무명씨|무명씨]]를 전사한 것이 전한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동가요]] 편찬과정===
 
===[[해동가요]] 편찬과정===
[[해동가요 박씨본]]에 의하면, 『[[해동가요]]』는 1754년(영조 30)에 편찬자가 가집 편찬을 거의 완료하고 자신의 서문을 썼고, 그 다음해 [[장복소|장복소(張福紹)]]와 자신의 발문을 첨가하여 편찬을 완결하였다. 이 초찬본을 [[해동가요 을해본|을해본(乙亥本)]]이라 하나 전하지 않는다([[해동가요 박씨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 본을 수정, 보완하여 1763년에 제2차본이라 할 개찬본을 내었으니 이를 [[해동가요 계미본|계미본(癸未本)]]이라고 한다([[해동가요 일석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편자는 [[해동가요 계미본]]을 완성한 이후에도 수정과 보완을 계속하여 1767년 시조 「[[봉하친경친잠|봉하친경친잠(奉賀親耕親蠶)]]」 2수를 지어 본편에 보충하고, [[각조체격|각조체격(各條體格)]]’과 ‘[[고금창가제씨|고금창가제씨(古今唱歌諸氏)]]’의 명단을 작성하여 책 끝에 붙이고, [[청구가요|청구가요(靑邱歌謠)]]’라는 부편(附篇)을 엮어 권말에 수록했다. 이것이 제3차본이라 할 [[해동가요 정해본|정해본(丁亥本)]]이다([[해동가요 주씨본]]과 U.C.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러한 수정과 보완의 노력은 그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음이 1769년에 [[김중열|김중열(金重說)]]과 [[박문욱|박문욱(朴文郁)]]이 쓴 『[[청구가요]]』 후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해동가요 박씨본]]에 의하면, 『[[해동가요]]』는 1754년(영조 30)에 편찬자가 가집 편찬을 거의 완료하고 자신의 서문을 썼고, 그 다음해 [[장복소|장복소(張福紹)]]와 자신의 발문을 첨가하여 편찬을 완결하였다. 이 초찬본을 [[해동가요 을해본|을해본(乙亥本)]]이라 하나 전하지 않는다([[해동가요 박씨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 본을 수정, 보완하여 1763년에 제2차본이라 할 개찬본을 내었으니 이를 [[해동가요 계미본|계미본(癸未本)]]이라고 한다([[해동가요 일석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편자는 [[해동가요 계미본]]을 완성한 이후에도 수정과 보완을 계속하여 1767년 시조 「[[봉하친경친잠|봉하친경친잠(奉賀親耕親蠶)]]」 2수를 지어 본편에 보충하고, '[[각조체격|각조체격(各條體格)]]'과 '[[고금창가제씨|고금창가제씨(古今唱歌諸氏)]]'의 명단을 작성하여 책 끝에 붙이고, '[[청구가요|청구가요(靑邱歌謠)]]'라는 부편(附篇)을 엮어 권말에 수록했다. 이것이 제3차본이라 할 [[해동가요 정해본|정해본(丁亥本)]]이다([[해동가요 주씨본]]과 U.C.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러한 수정과 보완의 노력은 그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음이 1769년에 [[김중열|김중열(金重說)]]과 [[박문욱|박문욱(朴文郁)]]이 쓴 『[[청구가요]]』 후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동가요]] 작품의 체재===
 
===[[해동가요]] 작품의 체재===
52번째 줄: 51번째 줄:
  
 
===[[해동가요]] 작품의 배열===
 
===[[해동가요]] 작품의 배열===
작품의 배열을 보면 작가와 곡목을 아울러 고려했으며, [[해동가요 주씨본]]과 [[U.C.본]]은 대체로 일치한다. [[해동가요 유명씨|유명씨]]를 보면, [[해동가요 박씨본]]은 악곡에 따라 초중대엽(初中大葉)·이중대엽(二中大葉)·삼중대엽(三中大葉)·북전(北殿)·이북전(二北殿)·초수대엽(初數大葉)등 6개의 곡목을 제시하여 각 1수씩의 작품을 들고, 이어서 이수대엽이 와야 할 자리에는 진본(珍本) 『[[청구영언]]』처럼 곡목을 밝히지 않았지만 열성어제(列聖御製)·여말(麗末)·본조(本朝)의 세 부문으로 나누어 작가별로 작품을 배열하였다. [[해동가요 일석본]]과 [[해동가요 주씨본]]은 본문 앞머리에 6개의 곡목을 제시한 것과 초수대엽까지는 [[해동가요 박씨본]]과 같으나, 이수대엽을 명기한 것이 다르다. [[해동가요 주씨본]]에서는 [[해동가요 박씨본]]과 같이 본문에 열성어제·여말·본조라는 표시가 있는데, [[해동가요 일석본]]에서는 이러한 표시 없이 작품을 나열하였다. 작가 배열은 대체로 시대순으로 되어 있다. [[해동가요 무명씨|무명씨]]부는 곡목별 배열을 했으나, [[해동가요 주씨본]]은 건(乾)편만 전하고 곤(坤)편이 전하지 않아 [[해동가요 무명씨|무명씨]] 작품은 1수도 없다. 즉, [[해동가요 박씨본]]은 접소용(接騷聳)·낙시조(樂時調)·만수(蔓數)의 3항목으로 배열되고, [[해동가요 일석본]]에서는 삼수대엽(三數大葉)·낙시조·편락시조(編樂時調)·소용(騷聳)·편소용(編騷聳)·만수대엽(蔓數大葉)의 6항목으로 늘어났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작품의 배열을 보면 작가와 곡목을 아울러 고려했으며, [[해동가요 주씨본]]과 [[U.C.본]]은 대체로 일치한다. [[해동가요 유명씨|유명씨]]를 보면, [[해동가요 박씨본]]은 악곡에 따라 초중대엽(初中大葉)·이중대엽(二中大葉)·삼중대엽(三中大葉)·북전(北殿)·이북전(二北殿)·초수대엽(初數大葉)' 등 6개의 곡목을 제시하여 각 1수씩의 작품을 들고, 이어서 이수대엽이 와야 할 자리에는 진본(珍本) 『[[청구영언]]』처럼 곡목을 밝히지 않았지만 열성어제(列聖御製)·여말(麗末)·본조(本朝)의 세 부문으로 나누어 작가별로 작품을 배열하였다. [[해동가요 일석본]]과 [[해동가요 주씨본]]은 본문 앞머리에 6개의 곡목을 제시한 것과 초수대엽까지는 [[해동가요 박씨본]]과 같으나, 이수대엽을 명기한 것이 다르다. [[해동가요 주씨본]]에서는 [[해동가요 박씨본]]과 같이 본문에 열성어제·여말·본조라는 표시가 있는데, [[해동가요 일석본]]에서는 이러한 표시 없이 작품을 나열하였다. 작가 배열은 대체로 시대순으로 되어 있다. [[해동가요 무명씨|무명씨]]부는 곡목별 배열을 했으나, [[해동가요 주씨본]]은 건(乾)편만 전하고 곤(坤)편이 전하지 않아 [[해동가요 무명씨|무명씨]] 작품은 1수도 없다. 즉, [[해동가요 박씨본]]은 접소용(接騷聳)·낙시조(樂時調)·만수(蔓數)의 3항목으로 배열되고, [[해동가요 일석본]]에서는 삼수대엽(三數大葉)·낙시조·편락시조(編樂時調)·소용(騷聳)·편소용(編騷聳)·만수대엽(蔓數大葉)의 6항목으로 늘어났다.<ref>최동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493 해동가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해동가요]]의 작품 수===
 
===[[해동가요]]의 작품 수===
65번째 줄: 64번째 줄: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해동가요]]||[[해동가요 박씨본]]||A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해동가요]]||[[해동가요 박씨본]]||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해동가요]]||[[해동가요 일석본]]||A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해동가요]]||[[해동가요 일석본]]||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해동가요]]||[[해동가요 주씨본]]||A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해동가요]]||[[해동가요 주씨본]]||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해동가요]]||[[해동가요 U.C본]]||A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해동가요]]||[[해동가요 U.C본]]||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해동가요 주씨본]]||[[해동가요 육당본]]||A는 B와 유사하다||A owl:sames B
 
|[[해동가요 주씨본]]||[[해동가요 육당본]]||A는 B와 유사하다||A owl:sames B
 
|-
 
|-
|[[해동가요 주씨본]]||[[최남선]]||A는 B에의해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해동가요 주씨본]]||[[최남선]]||A는 B에 의해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해동가요 조윤제본]]||[[조윤제]]||A는 B에의해 필사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해동가요 조윤제본]]||[[조윤제]]||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
|[[해동가요 이재수본]]||[[이재수]]||A는 B에의해 필사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해동가요 이재수본]]||[[이재수]]||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
 
|[[해동가요 조윤제본]]||[[해동가요 일석본]]||A의 출처는 B이다||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조윤제본]]||[[해동가요 일석본]]||A의 출처는 B이다||A dcterms:provenance B
85번째 줄: 84번째 줄:
 
|[[해동가요 이재수본]]||[[해동가요 일석본]]||A의 출처는 B이다||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이재수본]]||[[해동가요 일석본]]||A의 출처는 B이다||A dcterms:provenance B
 
|-
 
|-
|[[해동가요]]||[[해동가요 유명씨]]||A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해동가요]]||[[해동가요 유명씨]]||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해동가요]]||[[해동가요 무명씨]]||A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해동가요]]||[[해동가요 무명씨]]||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해동가요 무명씨]]||[[정병욱]]||A는 B에의해 필사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해동가요 무명씨]]||[[정병욱]]||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
|[[해동가요 무명씨]]||[[김근수]]||A는 B에의해 필사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해동가요 무명씨]]||[[김근수]]||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
 
|[[해동가요 을해본]]||[[해동가요 박씨본]]||A의 출처는 B이다||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을해본]]||[[해동가요 박씨본]]||A의 출처는 B이다||A dcterms:provenance B
 
|-
 
|-
|[[해동가요]]||[[김수창]]||A는 B에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해동가요]]||[[김수창]]||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해동가요]]||[[장복소]]||A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해동가요]]||[[장복소]]||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해동가요 계미본]]||[[해동가요 일석본]]||A의 출처는 B이다||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계미본]]||[[해동가요 일석본]]||A의 출처는 B이다||A dcterms:provenance B
121번째 줄: 120번째 줄:
 
|[[해동가요 주씨본]]||[[아세아문화사]]||A는 B에서 영인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주씨본]]||[[아세아문화사]]||A는 B에서 영인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
|[[해동가요]]||[[해동가요 교주본]]||A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해동가요]]||[[해동가요 교주본]]||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해동가요 교주본]]||[[김삼불]]||A는 B에의해 제작되었다||A dcterms:creator B
+
|[[해동가요 교주본]]||[[김삼불]]||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해동가요 교주본]]||[[해동가요 유명씨]]||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교주본]]||[[해동가요 유명씨]]||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145번째 줄: 144번째 줄:
 
|[[해동가요 U.C본]]||[[해동가요 유명씨]]||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U.C본]]||[[해동가요 유명씨]]||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청구영언]]||[[해동가요]]||A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청구영언]]||[[해동가요]]||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2017년 10월 17일 (화) 23:08 판

해동가요(海東歌謠)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해동가요
한자표기 海東歌謠
유형 문헌
저자 김수창
편자 김수창
간행시기 영조 연간
시대 조선시대



정의

조선 영조 때 김수장(金壽長)이 편찬한 가집(歌集).

내용

해동가요의 판본에 대해서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3대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이본으로 박씨본(朴氏本)·일석본(一石本)·주씨본(周氏本)·U.C본(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에 소장됨.) 등 4종이 있다. 이 중 해동가요 일석본은 표지에 '해동풍아(海東風雅)'라 하고 본문의 서두에는 '해동가요'라 하였다. 해동가요 주씨본주시경(周時經)이 교열·교정한 것으로 최남선(崔南善)이 소장하여 육당본(六堂本)이라 일컫기도 한다. 해동가요 일석본해동가요 주씨본은 6·25 때 소실되었다. 해동가요 일석본의 전사본(轉寫本)으로 조윤제(趙潤濟)이재수(李在秀)의 두 전사완본(傳寫完本)이 있다. 정병욱(鄭炳昱), 김근수(金根洙)가 각각 무명씨를 전사한 것이 전한다.[1]

해동가요 편찬과정

해동가요 박씨본에 의하면, 『해동가요』는 1754년(영조 30)에 편찬자가 가집 편찬을 거의 완료하고 자신의 서문을 썼고, 그 다음해 장복소(張福紹)와 자신의 발문을 첨가하여 편찬을 완결하였다. 이 초찬본을 을해본(乙亥本)이라 하나 전하지 않는다(해동가요 박씨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 본을 수정, 보완하여 1763년에 제2차본이라 할 개찬본을 내었으니 이를 계미본(癸未本)이라고 한다(해동가요 일석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편자는 해동가요 계미본을 완성한 이후에도 수정과 보완을 계속하여 1767년 시조 「봉하친경친잠(奉賀親耕親蠶)」 2수를 지어 본편에 보충하고, '각조체격(各條體格)'과 '고금창가제씨(古今唱歌諸氏)'의 명단을 작성하여 책 끝에 붙이고, '청구가요(靑邱歌謠)'라는 부편(附篇)을 엮어 권말에 수록했다. 이것이 제3차본이라 할 정해본(丁亥本)이다(해동가요 주씨본과 U.C.본은 이것의 전사본으로 추정됨.). 이러한 수정과 보완의 노력은 그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음이 1769년에 김중열(金重說)박문욱(朴文郁)이 쓴 『청구가요』 후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2]

해동가요의 중요성 과 현재 간행된 판본

해동가요』는 『청구영언』·『가곡원류』와 더불어 시조가 수록된 3대가집(三大歌集)에 속한다. 풍부한 작품의 수록은 물론,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교량적 위치에서 후대 가집의 편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당시대까지 활동하던 가객의 명단을 작성한 것과 시조를 얹어 부르는 악곡의 풍격과 특징을 제시한 것은 시조 음악 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다만 세 차례에 걸쳐 편찬된 『해동가요』의 원전이 그대로 전하는 것은 없고 그 전사본만 남아 있는 실정이어서 원전 출현이 기대된다. 해동가요 박씨본은 1979년 규장문화사(奎章文化社)에서 영인되었고, 이재수전사본동광문화사(東光文化社)에서 『고전문학선』에 수록하여 영인되었다. 해동가요 주씨본은 1930년 경성대학에서 인쇄되었고, 이를 1974년 아세아문화사(亞細亞文化社)가 영인하기도 하였다. 교주본으로는 1950년에 김삼불(金三不)해동가요 일석본유명씨부와 해동가요 주씨본을 교합하여 정음사(正音社)에서 『해동가요』로 출판한 것이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해동가요 해동가요 박씨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해동가요 일석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해동가요 주씨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해동가요 U.C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주씨본 해동가요 육당본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s B
해동가요 주씨본 최남선 A는 B에 의해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해동가요 조윤제본 조윤제 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이재수본 이재수 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조윤제본 해동가요 일석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이재수본 해동가요 일석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해동가요 무명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무명씨 정병욱 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무명씨 김근수 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을해본 해동가요 박씨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김수창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해동가요 장복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계미본 해동가요 일석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정해본 봉하진경진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정해본 각조체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정해본 고금창가제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정해본 청구가요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정해본 해동가요 U.C본 A의 출처는 B이다 A dcterms:provenance B
해동가요 박씨본 규장문화사 A는 B에서 영인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고전문학선 해동가요 이재수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고전문학선 동광문화사 A는 B에서 영인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주씨본 경성대학 A는 B에서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해동가요 주씨본 아세아문화사 A는 B에서 영인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해동가요 교주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동가요 교주본 김삼불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해동가요 교주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교주본 해동가요 주씨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교주본 정음사 A는 B에서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해동가요 박씨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박씨본 해동가요 무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주씨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주씨본 해동가요 무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일석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일석본 해동가요 무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해동가요 U.C본 해동가요 유명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청구영언 해동가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55년 해동가요 을해본이 간행되었다
1763년 해동가요 계미본이 간행되었다
1767년 해동가요 정해본이 간행되었다
1930년 해동가요 주씨본이 간행되었다
1950년 해동가요 교주본이 간행되었다
1974년 해동가요 주씨본이 영인되었다
1979년 해동가요 박씨본이 영인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영숙, 「李瀷 〈海東樂府〉의 古歌謠 歌話 수용과 再構 樣相」, 『大東漢文學』, Vol-23, 2005, 301-333쪽.
    • 김태웅, 「18세기 후반∼19세기 초중반 가곡문화의 변모와 가집 편찬의 양상」, 『국제어문』, Vol-72, 2017, 273-303쪽.

유용한 정보

  • 최동원, "해동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