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번째 줄: 16번째 줄: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1910년 국권 상실 이래 기회만을 찾고 있던 일부 민족지도자들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民族自決主義) 원칙 발표, 재일 유학생의 2·8독립선언, 고종황제의 붕어(崩御) 등이 한 데 겹쳐 민족적 항일의식(民族的 抗日意識)이 고조되자, 이 때가 한국 민족의 독립을 꾀할 가장 좋은 기회라고 판단하고, 거족적인 [[3.1운동|3·1독립만세운동]]을 본격적으로 계획하였다. 거사 당일인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가 되자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한 청년이 단상으로 올라가 [[3.1독립선언서|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낭독하였다. 낭독이 거의 끝날 무렵에 학생들은 모자를 하늘로 날리며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다. 그들은 종로 쪽으로 뛰쳐나와 시위행진에 합류했다. 본래 독립선언식은 [[서울 탑골공원]]에서 열리기로 되어 있었으나 학생들의 희생을 고려하여 [[민족대표 33인|민족대표]]는 [[태화관]](泰和館)에 모여 있었다. [[서울 탑골공원]]의 학생들은 나타나지 않는 민족대표를 기다리다가 한 청년이 자진하여 등단,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던 것이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4929&cid=46623&categoryId=46623 3·1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1910년 국권 상실 이래 기회만을 찾고 있던 일부 민족지도자들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民族自決主義) 원칙 발표, 재일 유학생의 2·8독립선언, 고종황제의 붕어(崩御) 등이 한 데 겹쳐 민족적 항일의식(民族的 抗日意識)이 고조되자, 이 때가 한국 민족의 독립을 꾀할 가장 좋은 기회라고 판단하고, 거족적인 [[3.1운동|3·1독립만세운동]]을 본격적으로 계획하였다. 거사 당일인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가 되자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한 청년이 단상으로 올라가 [[3.1독립선언서|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낭독하였다. 낭독이 거의 끝날 무렵에 학생들은 모자를 하늘로 날리며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다. 그들은 종로 쪽으로 뛰쳐나와 시위행진에 합류했다. 본래 독립선언식은 [[서울 탑골공원]]에서 열리기로 되어 있었으나 학생들의 희생을 고려하여 [[민족대표 33인|민족대표]]는 [[태화관]](泰和館)에 모여 있었다. [[서울 탑골공원]]의 학생들은 나타나지 않는 민족대표를 기다리다가 한 청년이 자진하여 등단,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던 것이었다.<ref>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6772 삼일운동]",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작품 배경===
 
===작품 배경===

2017년 10월 17일 (화) 22:23 판


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문학진-삼일운동-1976s.jpg
작가 문학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 모인 조선인들이 3.1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모습을 그린 문학진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1910년 국권 상실 이래 기회만을 찾고 있던 일부 민족지도자들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民族自決主義) 원칙 발표, 재일 유학생의 2·8독립선언, 고종황제의 붕어(崩御) 등이 한 데 겹쳐 민족적 항일의식(民族的 抗日意識)이 고조되자, 이 때가 한국 민족의 독립을 꾀할 가장 좋은 기회라고 판단하고, 거족적인 3·1독립만세운동을 본격적으로 계획하였다. 거사 당일인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가 되자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한 청년이 단상으로 올라가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낭독하였다. 낭독이 거의 끝날 무렵에 학생들은 모자를 하늘로 날리며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다. 그들은 종로 쪽으로 뛰쳐나와 시위행진에 합류했다. 본래 독립선언식은 서울 탑골공원에서 열리기로 되어 있었으나 학생들의 희생을 고려하여 민족대표태화관(泰和館)에 모여 있었다. 서울 탑골공원의 학생들은 나타나지 않는 민족대표를 기다리다가 한 청년이 자진하여 등단,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던 것이었다.[1]

작품 배경

서울 탑골공원은 파고다 공원·탑공원·탑동공원이라고도 하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54호로 지정되었다. 작품 속 인물이 올라서 있는 탑골공원팔각정은 1919년 급서한 고종의 즉위 40년을 기념하기 위해 1902년 군악대의 연주장소로 지어진 정자였다. 현재는 이 탑골공원팔각정을 중심으로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 제 2호)[2]·대원각사비(보물 제 3호)[3]·앙부일구(仰釜日晷:해시계)[4] 받침돌(臺石) 등의 문화재와, 1980년에 제작 ·건립한 3·1운동기념탑·3·1운동벽화·손병희(孫秉熙)[5] 동상(孫秉熙銅像:1966년 건립)·한용운(韓龍雲)[6] 기념비(1967년 건립) 등이 남아 있다.[7]

그림 읽기

문학진-삼일운동-1976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문학진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국회사무처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독립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서울 탑골공원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탑골공원팔각정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3.1운동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탑골공원팔각정 서울 탑골공원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3.1운동 서울 탑골공원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3.1운동 민족대표 33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족대표 33인 독립선언식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erformed B
독립선언식 태화관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A ekc:isPerformedAt B
태화관 태화빌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족대표 33인 한용운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민족대표 33인 최남선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3.1독립선언서 최남선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3.1독립선언서 한용운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3.1독립선언서 보성사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보성사 이종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족대표 33인 이종일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문학진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를 제작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국회사무처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를 대여하였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독립기념관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를 소장하고 있다.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3.1운동이 일어났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국회사무처에 대여되었다.
36.783745 127.223215 독립기념관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를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진봉, "삼일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영호, "원각사지 십층석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충락,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은성, "앙부일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월 17일.
  5. 이현종, "손병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3월 19일.
  6. 정병조, "한용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9월 30일.
  7. "서울 탑골공원",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민족기록화1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9. "민족기록화1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 89-94쪽.
  2. 웹자원
    • 김진봉, "삼일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서울 탑골공원",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파고다공원",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